View : 758 Download: 0

교사효능감 및 부모자녀관계변인과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Title
교사효능감 및 부모자녀관계변인과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Efficacy, Perceived Parental Support, and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Strategy Use, and Performance in Mathematics
Authors
황혜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지금까지 수행된 학습에 관한 연구들은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습결과만을 고려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만이 학습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므로,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과 함께 사회적 환경요인과 학습의 과정요인을 포함하는 보다 거시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환경요인인 교사효능감과 부모자녀관계변인,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으로 학습동기, 학습과정변인인 학습전략사용을 포함하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효능감(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학습전략사용 및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둘째, 부모자녀관계변인(부모의 사회적 지원, 성취압력, 부모에 대한 지각 변인)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학습전략사용 및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Y남자고등학교 1학년 497명과 수학과목 담당교사 6명의 질문지에 대한 반응을 통계처리하였다. 교사대상의 연구도구로는 집단적 교사효능감검사와 개인적 교사효능감검사를 사용하였고, 학생대상의 연구도구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검사, 성취목표검사, 학습전략검사, 부모자녀관계검사를 사용하였고, 중간고사를 학업성취도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 중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만이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성취목표 중에서 숙달목표(r = .16, p < .05) 및 수행접근목표(r = .13, p < .05)와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관련성은 나타났으나,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아님이 나타났다. 학습전략중에서는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F(6, 445) = 15.38, p < .05). 둘째, 교사효능감중에서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다중공선성을 보이고, 다른 변인들과 전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결과분석시 제거되었다. 또한 개인적 교사효능감 역시 수행접근목표를 부적으로 예측한다(β = -1.12)는 결과, F(1, 496) = 7.31, p < .05, 를 제외하고는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 있어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 아님이 밝혀졌다. 셋째, 부모자녀관계변인과 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부모에 대해 느끼는 고마움, 죄송함, 존경, 친밀함과 부모의 사회적 지원이 다중공선성을 보였다. 따라서 다른 변인을 대표할 수 있는 부모의 사회적 지원만을 결과분석에 투입한 결과, 부모자녀관계변인은 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동기에 있어서 부모자녀관계변인은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에 대해 유의하게 예측하고 있음이 나타났고, 학습동기변인중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었다. 부모자녀관계변인중에서 부모의 성취압력, 부모의 사회적 지원, 부모와의 갈등 모두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숙달목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고,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부모와의 갈등은 수행접근목표와 수행회피목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다. 학습전략에 있어서 부모자녀관계변인은 학생의 인지전략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모두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고, 그 중에서 인지전략을 더 잘 설명하고 있었다. 부모의 성취압력, 부모의 사회적 지원, 부모와의 갈등은 모두 인지전략을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고,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부모와의 갈등은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다.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부모자녀관계변인은 유의미한 예측변수임이 밝혀졌다. 그 중에서 부모의 성취압력과 부모와의 갈등만이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는데, 학업성취도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나(β = .23), 부모와의 갈등과는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β = -.13).;Until now, researches for learning only consider learning results depend on individual character. Still, there are other factors affecting learning result, which is why more composite researches including social environment and learning process are needed. In this research, research questions are set up to conduct a research about social environment including teacher and parent-relation,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rocess including learning strategy use.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each theory were as follows: 1. Parent-child relationship (social support, achievement pressure and perceptions about parents) can significantly predic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learning strategy use and academic achievement? 2. Academic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can significantly predic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3.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can predice significantl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learning straregy use and academic achievement?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answers from 497 Y high school male students and their 6 mathematics teach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Measurements for teachers were collective self efficacy scales and teacher self efficacy scales, for students academic self efficacy scales, acievement Goals scales, learning strategy use scale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cales were used. Mathematics mid-term exam score was applied as a learning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nly 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self-efficacy. There are correlation between mastery goals and academic achievement(r = .16, p < .05), performance-approach goals and academic achievement(r = .13, p < .05). However, mastery goals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were not a predictor for academic achievement. Among learning strategie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s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F(6, 445) = 15.38, p < .05). Second, there was multicollinearity between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self efficacy,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didn’t have any effect on other valuables. Thus, collective teacher efficacy was eliminated. Teacher self-efficacy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use, and academic achievement except for performance-approach goals which weres predicted negatively (β = -1.12). Third, parental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er’s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use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esent researcher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teacher 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which are percepted to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