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대금독주곡<자시>의 음악분석

Title
대금독주곡<자시>의 음악분석
Other Titles
The musical analysis of Daegum solo piece -
Authors
임선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황병기의 작품 대금독주곡 <자시(子時)(1979)>의 음악적 구조를 분석하고 그 작품에 내재된 연주법과 선율구조를 파악하여, 그 음악적 특징을 밝히고자 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子時>의 악곡구조, 출현음 및 음의구조, 주요음 분석, 선율 분석, 리듬과 박자, 대금의 연주 기법(특수 주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 번째로,<子時>는 총 35마디로 이루어져 있는데, 크게 전반부와 싯구부, 후반부와 종지부로 구성되며 형식이나 음계, 기법 등은 전통음악적인 방식에서 완전히 벗어나 현대음악적인 새로운 어법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부분을 나누는 기준은 표현법, 박자, 대금의 주법, 분위기의 변화 등이며,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의 싯구부는 평소에 작곡가가 즐겨보던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짧은 구절을 대금 연주자가 악기를 내려놓고 직접 낭독한다. 전반부는 1마디~31마디에 해당하며 마디마다 박자가 계속 변하는 것이 특징이며, 출현음들이 어떠한 선법이나 조(key)의 범위 안에서 사용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대금의 전통음악적인 음형(shape of melody)을 보이고 있다. 후반부는 32마디의 한 마디로 되어 있으나 박자와 마디의 구분이 거의 없어 연주자의 호흡에 의해 여러 개의 프레이즈(phrase)들로 나눌 수 있으며, 대금의 난해한 특수 주법 등 현대음악적인 작곡기법을 사용해 대금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급격한 dynamic의 변화와 음정의 도약 등으로 인해 매우 극적인 효과를 만들어내며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종지부는 33마디~35마디에 해당하고 trumpet 느낌의 brass 음색을 만들어내는 것이 특징이며, 반복을 통해서 종지감을 느낄 수 있다. 마지막 마디인 35마디에서는 대금의 특수주법을 다양하게 사용하면서 조용히 끝을 맺는다. 두 번째로, 출현하는 음과 빈도수를 조사하여 구성음과 음의 구조를 파악하였다. 전통음악적인 선법에 大呂(E), 蕤賓(A)음이 더해짐으로써 조성 파괴적인 무조성으로 되어있음을 알게 되었다. 특이한 점은 仲呂(A♭)음이 단 한 번도 출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주요음 분석에서는 짧은 길이의 출현음과 지속음의 관계 속에서 주요음을 찾아내어 무조성 성격의 현대음악적인 음의 구조를 밝혀내었다. 네번째로 네 선율 분석에서는 세 번째 분석에서 얻은 주요음들을 연결해서 전체적인 선율 구조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재구성해 보았다. 전반부에서는 전통음악적인 음형(shape of melody)을 보이고 있으며, 후반부에서는 증음정, 도약진행 등으로 인해 현대음악적인 선율 진행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다섯번째로 박자 및 리듬에서는 기준이 되는 박을 전반부와 종지부에서는 마디별로 후반부에서는 phrase별로 나누어 리듬의 형태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디마다 박자가 거의 변하는 전반부에서는 16분 음표를 기준박으로 삼아 2개, 3개, 4개씩 묶이는 pattern을 보이고 있으며, 마디의 구분이 거의 없이 phrase의 연결로만 되어있는 후반부에서는 8분 음표를 기준박으로 삼아 주로 2개나 4개씩 묶이는 pattern을 보이고 있다. 여섯번째로 대금의 연주 기법(특수 주법)에서는 특히 후반부에 많이 등장하는 대금의 특수 주법에 관해 분석하였다. flute에서 많이 사용하는 혀 떠는 소리를 내는 주법을 대금으로 처음 시도하였고, 매우 특징적인 대금 소리에 목소리를 섞는 주법, trumpet 느낌의 brass 음색으로 연주하는 주법은 황병기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이처럼 <子時>는 대금의 전통음악적인 음의 구조나 기법에서 한 차원 더 나아가 현대음악적인 새로운 세계와 가능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It is studied for analyzing the musical structure of the Daegum solo by Hwang Byung-gi and understanding the playing method and melody structure which is immanent in the solo th clarify its musical characteristics. It's got the conclusion as below statements by analyzing the playing techniques of Daegum, rhythm and time, melody analysis, main note analysis, appearing note and not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song . is consisted of 35 bars, largely the first half part and verse part, and latter half part and the ending part. It is meaningful o suggest new modern musical expression in forms, scales, or techniques etc. deviating from the traditional musical ways. The criteria to divide the part are expression, time, the Daegum techniques, and changes of the mood, etc. The Daegum player directly gives a reading of the short phrase of CHAEGUNDAM that the composer used to read at ordinary times when in the verse part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latter part. The first half part is from bar 1 to bar 31, it has characteristic which is consequently changing tempo at every bar and it shows the traditional shape of melody of Daegum regardless that the appearing notes weren't used in the range of some key or mode. The latter part is just a bar among those 32 bars but it barely has sections of time and bar so it can be parted to some of phrases by the player's breath, and it used modern musical composing technique including some difficult special techniques of Daegum so ti suggested new possibility of Daegum. Also, characteristically sharp changes of dynamics and skips of interval made very dramatic effect and process. The ending part is from bar 33 to 35 and has characteristic points of making brass tones like trumpet and we can feel the cadence thru repeating. In the last bar 35th it used the special techniques of Daegum variously and ended quietly. In the analysis of the song, firstly, ti is understood the constituting notes and the structure of the notes by researching frequency and appearing notes. In is discovered that it is constructed an atonality which is key-destructive by adding note E, and A, on the traditional musical modes. Which is peculiar is that the note A flat doesn't appear at all. Secondly, in the main note analysis, it is found the structure of the modern musical note which shows atonality as finding main note in the relation between appearing note and sustaining note of short period. Thirdly, in melody analysis, it is rearrang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whole melody structure by connecting main notes which is got at the second analysis. In the first half part, it shows the traditional shape of melody, and in the latter half part, it shows the modern musical melody process form due to the augmented interval, ship, etc. Fourthly, it is analyzed its rhythmic form and character as dividing standard time in every bar at the first half and the ending part and in every phrase at the latter half part. The first half part that time is changing at every bar shows tied patterns to 2, 3, 4 pieces as following the 16 note standard time and the latter half part that doesn't have the bar section but is only connected by phrases shows tied patterns to 2 or 4 pieces as following the 8 note standard time. Fifthly, it is researched about the Daegum playing techniques especially about the special techniques which showed a lot at the latter half part. It is firstly tried the tongue-vibrating techniques in Daegum playing it is originally used in Flute and it is firstly use by Hwang Byung-gi the techniques adding voices on the special Daegum sound and the playing Daegum in brass tones like trumpet sound. Like this, is a piece of work that shows modern musical new world and possibility further from the traditional note structure and usual techniques of Daeg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