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경-
dc.creator유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7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8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63-
dc.description.abstract해금산조는 지영희류, 한범수류, 서용석류, 김영재류가 있다. 본 고는 이들 중 대표적 유파인 한범수류 산조를 중심으로 자진모리를 연구하였다. 한범수류 산조는 두 가지 다른 가락이 전해 지는데 그 두 가지 가락의 자진모리 악장을 I, II로 구분하여 선율과 리듬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먼저 선율 분석을 보면 한범수류 해금산조 자진모리에서 해금산조 I과 II의 조성은 모두 B^(b)계면조에서 E^(b)계면조로 이조하고 다시 B^(b)계면조로 이어지는 계면조 선율을 가지고 있는데 Bb계면조에서 본청은 B^(b), 꺾는 청은 C, 떠는 청은 F이고 E^(b)계면조에서 본청은 E^(b), 꺾는 청은 F, 떠는 청은 B^(b)이다. 두 번째로 시작음은 해금 I 이 B^(b), D^(b) , C, E^(b), F 로 여섯음, 해금 II 는 B^(b), D^(b), C, E^(b)로 다섯음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종지형은 해금 I 에서 B^(b)음 반복선율로 종지하는 형과 B^(b)-F-B^(b)음형의 두가지로 종지를 하는데 B^(b)음 반복선율로 종지하는 형은 총 16회 중 10회, B^(b)-F-B^(b)으로 종지하는 형은 6회로 나타났다. 해금 II에서는 11단락 모두 B^(b)음을 반복하여 종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동일, 유사선율의 비중을 살펴보면 해금산조 I에서는 동일 선율이 17선율, 41장단이 나타나고, 유사선율은 15선율, 40장단이 나타났다. 해금산조 II에서는 동일선율이 8선율, 18장단, 유사선율은 11선율, 24장단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동일, 유사선율을 합하면 산조 I에서는 총 120장단 중 81장단으로 67.5%가 산조 II에서는 전체 90장단 중에 42장단으로 46.7%가 동일, 유사선율이다. 다음은 리듬의 분석이다. 해금산조 I은 120장단 16단락으로 구성되어 있고, 해금산조 II는 90장단 11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금산조 I에서 푸는 가락은 15장단이 나오고 해금산조 II에서는 두 번에 걸쳐 16장단이 나타난다. 자진모리의 기본 리듬형은 점4분음표를 한 박으로, 4박을 한 장단으로 하는 것이다. 이 3분박을 A형, 헤미올라 리듬으로 이루어진 장단을 B형, 3분박과 헤미올라의 혼합형을 C형으로 정했다. 해금산조 I은 A형 59장단으로 49.2% 차지했다. B형은 27장단, C형은 19장단으로 변형장단이 46장단 38.3% 이다. 해금산조 II에서는 A형이 40장단으로 44.4% 를 차지하고 B형이 18장단, C형이 16장단으로 변형장단이 34장단, 37.8% 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기본형이 40%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헤미올라와 혼합박의 변형박이 리듬의 다채로움을 준다. 해금산조 I과 II는 총 179장단에서 81가지 리듬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 중 A형은 52종류 99장단이고 해금산조 I과 II가 중복되는 장단은 11종류, 45장단으로 45.5%가 중복된다. B형은 13종류, 45장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에서 중복되는 장단은 2종류 25장단인데 그 비율은 55.5%이다. 마지막으로 C형은 16종류 35장단으로 되어있다. 이중 중복되는 장단은 4종류 18장단으로 36.7%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17종류로 구성된 장단이 전체 해금산조의 49.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다양한 리듬의 변화는 산조의 특징인 즉흥성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Sanjo” is a form of folk solo instrumental music created in the late-19^(th) century Joseon Dynasty, whose name means literally a scattered tune or melody. This musical form is based on the Korean Sinawi and Pansori music. Sanjo begins with slow movement and gradually accelerates the tempo without pause between movements. The Sanjo performer composes or arranges his own music based on folk melody. Haegum Sanjo was started as the Sinawi Style by Ji Yonggu. Then the Haegum Sanjo form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960s by Ji Younghee and Han Bumsoo. These are the most popular Haegum Sanjo. Seo Yongsuk’s and Kim Youngjae’s Sanjo was introduced in late 1980s, and these four Haegum Sanjo are performed today. I will analyze melody and rhythmic patterns in Han Bumsoo’s Haegum Sanjo Jajinmori (fast movement). Han Bumsoo’s Sanjo was recorded in two versions. I will distinguish them as Haegum Sanjo I and II in this paper, and I will compare and contrast the two ver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usic in order to perform it better. Haegum Sanjo jajinmori I has 120 measures and 16 chapters; II has 90 measures and 11 chapters. The meter is 12/8 in Haegum Sanjo jajinmori. There are cadenzas in both jajinmori. Jajinmori I has 15 measures and II has 16 measures in two cadenzas. In this paper, I excluded rhythmic analysis of the cadenzas. The results I obtained from analyzing the Haegum Sanjo jajinmori are as follows: 1. The Melody (1) The key of Han Bumsoo’s Haegum Sanjo I and II is B^(b) Gyemyeonjo. The key changes to E^(b) Gyemyeonjo, then returns to B^(b). B^(b) is tonal center, C is the grace note from D^(b), and F is the vibration note for the scale. In E^(b) Gyemyeonjo, E^(b) is the tonal center, F is the grace note from G^(b), and B^(b) is the vibration note. Fingering position does not change in either I or II, and B^(b) is played with the index finger of the left hand. (2) The beginning notes of each chapter in Haegum Sanjo I are B^(b), D^(b), C, E^(b) and F. In II, they are B^(b), D^(b), C and E^(b). (3) The ending patterns of Haegum Sanjo jajinmori are of two types: ending with B^(b) and ending with B^(b)-F-B^(b). Jajinmori I has ten B^(b) ending patterns and six B^(b)-F-B^(b). Jajinmori II has only B^(b) ending patterns in all eleven chapters. (4) There are many identical and similar melodies in Haegum Sanjo: 67.5% in jajinmori I and 46.7% in jajinmori II have identical or similar melodies. Between jajinmori I and II, 29.2% and 34.4% are the same or similar. 2. The Rhythm (1) One measure is four units with four dotted 4th notes in jajinmori. This is triple rhythm. Jajinmori I has 59 measures (49.2%) of basic meter. Various meters are 46 measures (38.3%). Overall, 27 measures in jajinmori I are duple meter, and 19 measures out of 120 are cross rhythm of triple and duple meter. In jajinmori II, the basic meter has 40 measures (44.4%). Various meters make up 34 measures (37.8%). Duple meter occurs in 18 measures, and cross rhythm of triple and duple meter is present in 16 measures out of 90. Therefore, basic rhythmic patterns make up over 40%, and various rhythmic patterns such as cynchopation and hemiola rhythm appear. (2) There are 81 different rhythmic patterns out of 179 measures in Haegum Sanjo jajinmori I and II. This was not counting the cadenzas. I labeled triple rhythm as A, duple rhythm as B, and cross rhythm as C. In A, 45.5% of the rhythmic patterns were identical. B has 36.7% identical, and C has 49.2%. Various rhythmic patterns could be related with improvisation. In conclusion, Haegum Sanjo jajinmori has a strong character of Bb Gyemyeonjo and jajinmori. Haegum Sanjo I and II share many similar melody lines. However, the rhythmic patterns are very different compared to the melodies, demonstrating that improvisation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Haegum Sanjo jajinmori.-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I.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범위 및 방법 = 3 II. 선율 분석 = 7 A. 해금산조 I = 7 B. 해금산조 II = 21 C. 해금산조 I, II 상호 비교 = 31 III. 리듬 분석 = 36 A. 해금산조 I = 36 B. 해금산조 II = 47 C. 해금산조 I, II 상호 비교 = 55 IV. 결론 = 64 참고문헌 = 66 Abstract = 69 부록악보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572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범수류 해금산조 자진모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Haeggum Sanjo Jajinmori-
dc.creator.othernameYoo, Kyoung-
dc.format.pageX,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