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용전-
dc.creator정용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4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8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458-
dc.description.abstract정용전의 Piano Etude No.1 & No.2는 대조(Contrast)의 개념을 토대로 쓰인 곡이다. 이 아이디어는 정선율(Cantus firmus)과 대선율(Counterpoint)이 있는 대위에서 차용된 것이다. 이 곡의 음재료, 리듬(Rhythm), 다이나믹(Dynamics),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에서는 대조의 개념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Piano Etude No.1는 12음 작곡 기법을 바탕으로 작곡된 세 부분 형식(Ternary form)의 작품이다. 이 곡에서는 원형(Prime) 전회형(Inversion), 역행형(Retrograde), 역전회형(Retrograde-Inversion) 음열(Set)과 음열의 분할(Segmentation)을 활용하였다. 긴 음가와 짧은 음가의 대조를 이루는 리듬과 크고 작은 다이나믹의 대조가 사용되었다. Piano Etude No.2 역시 A-B-A'의 세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곡은 Piano Etude No. 1에서 사용된 음열과 그 음열에서 확장된 복합 추출 음열(Multiple derived set)을 활용하였고, 음열 외적 음악 재료로 세온음(Tritone)이 사용되었다. 이 곡에서는 Piano Etude No.1과 마찬가지로 리듬과 다이나믹이 대조를 이루고, 스타카토(Staccato)와 이음줄(Slur)의 아티큘레이션도 대조를 이룬다. 본 논문은 12음과 무조적인 음악 재료를 사용한 Piano Etude No.1과 Piano Etude No.2의 형식(Form), 음열, 음열 외적 요소, 리듬, 다이나믹 그리고 아티큘레이션을 대조를 중심으로 한 분석 연구이다.;This thesis is focused on analysis of my own composition, "Piano Etude No.1 & No.2 (2005)". The main idea of these etudes is 'contrast' that makes an important role in Counterpoint. 'Contrast' is a germ of these piano pieces so that can be found in form, motives, rhythm, dynamics and articulation. "Piano Etude No.1"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those parts are separated into nine subsections forming an Arch-form. This composition is based on 12-tone and short notes contrast with long notes in rhythmic aspect. Dynamic contrast also occur in this piece. "Piano Etude No.2" is in Ternary-form like previous piece. There are three main motives, contrasting with each others. Among 12-tone techniques Multiple derived-set originated in 026 Pitch class set from trichord is used. In terms of using intervals, tritone has a significant role to create Atonality in this composition. In addition to rhythmic and dynamic contrasts, clearly different articulations between slur and staccato is utilized in "Piano Etude No.2".-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 I. 서론 = 1 II. 본론 = 2 A. "Piano Etude No. 1" 분석 = 2 1. 형식(Form) = 2 2. 음열(Set) = 7 3. 리듬(Rhythm)과 다이나믹(Dynamics) = 10 B. "Piano Etude No. 2 " 분석 = 16 1. 형식(Form) = 16 2. 음열(Set) = 22 3. 음열 외적 음악 요소 = 25 4.리듬(Rhythm),다이나믹(Dynamics),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 28 III. 결론 = 35 참고 문헌 = 36 부록 (악보) = 38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051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용전의 "Piano Etude No.1 & No.2"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Piano Etude No.1 & No.2』-
dc.creator.othernameCheong, Yong-Jeon-
dc.format.pageⅵ,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