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3 Download: 0

유아기의 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시현황

Title
유아기의 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시현황
Other Titles
Teacher's perception and the Current Conditions About the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uthors
이명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history education is not only the basic concept so that young children may live as democratic citizens, but also the very important concept so that they may live by social members as well. Nevertheless, the young children's social education has been focused in the sociality concerned education, then the education of social science concept such as history has been handled indifferently. But, the history education needs in babyhood even if we see the young children's concern and interest, and they will understand their own roots through the history education and furthermore they will form the basis as citizens of the world. The teacher must know the contents of history and the teaching method suitable to the young children as well as what is the fundamental concept of history for the young children, so that this history education may be achieved properly in the classroom of babyhood. Because the method how to connect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process, and the educational activity in the young children's education with the actual teaching is planned and executed naturally by the teacher who teaches the young children. That is, if the current young children's education spot that should be planned and be decided by the teacher himself for the education activity is considered, his comprehension and concept for history education in babyhood can be seen as acting the very important factor for the young children's historical comprehension an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s and analyzes the spot teacher's recognition for the history education in babyhood and the enforcement present condition of young children's history education in order to discover the necessity about the history education in babyhood. And furthermore I wish to contribute the history education in babyhood may be achieved substantially. The study subjects to research this are as follows: 1. What about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for the history education in babyhood ? 2. What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history education enforcement in the kindergarten? This study selected the 300 teachers who is working for the kindergartens in Seoul City and Kyonggi Province as the subjects and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for the recognition about the history education in babyhood and its enforcement present condition. the total 232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study tool was used by correcting the questionnaire that was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of the related field of social science among the young children's social education. The corrected and modified questionnaire was received the validity verification for the contents from the 2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s. This study got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81.9% teachers responded 'Necessary' of the history education in babyhood, so it was exposed that most teachers wer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history education in babyhood. The reason was thought that it is helpful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that exist in the individual's root, culture, and life. Also,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it is possible from 3 to 5 years old for the history education.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ccordance with career, academic accomplishments, and taking the history connection subject course availability in teacher's recognition. Second, if the civil life area of the 6th kindergarten curriculum is examined about the ratio of item that recognize the contents including history education, it was about 9.45 among 19 items, and the items were appeared by 'Interest in the symbol and the tradition of our country (90.5%)', 'Interest in the symbol and the tradition of world countries (81.0%)', 'Interest in the unification of country (74.6%)', and 'To know the importance of community and to cooperate with it (74.1%)' etc. mainly. Also, they thought mostly the possible subjects to execute the history education as 'Our country and others (94.0%)' and 'Special days (71.4%)'. Third, it was exposed that history education is not enforced properly in the kindergarten generally because history education 'frequently Enforcement' appears by 6.5% in the kindergarten. Teachers desired the young children might be experienced through history education as 'To know about the flowing of usual order (32.8%)' and "To know about our country festivals and plays (31.5%)' mostly, and then they executed history education laying stress on the life subject. They thought the field trip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history education and also they use the education activity data that wa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order to get data for history education. Finally, they hoped the necessary teaching material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eaching tools, and reeducation for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teacher's service training system in order to be attained history education abuzz in the kindergarten. Through the reeducation, they also hoped to be introduced the activity for history education, to be introduced the teaching method, and to be educated the basic theory about history education.;본 연구는 유아기의 역사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 및 역사교육의 실시현황을 알아보고 분석함으로써 유아기의 역사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발견하고 나아가 유아기에 역사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기의 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유아기의 역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2. 역사교육이 가능한 연령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3. 유아기의 역사교육의 내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4. 유아기의 역사교육의 주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에서 역사교육 실시현황은 어떠한가? 2-1. 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의 실시현황은 어떠한가? 2-2. 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을 통해 경험하기를 바라는 내용은 무엇인가? 2-3. 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의 실시방법은 무엇인가? 2-4. 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을 실시할 때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2-5. 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이 실시되기 위한 지원방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유치원과 경기도, 부산 소재 유치원에 재직중인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서울시와 경기도 교육청에 공개된 유치원 명단 중 무작위로 50곳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유치원에 전화를 통해 허락을 받은 곳 25곳과 개인적으로 섭외한 유치원 15곳에 재직중인 유치원 교사 3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중 회수된 설문지는 240부(80%)이다. 이 중 응답에 오류가 있는 설문지는 연구에서 제외시킨 결과 설문지 총232부(77.3%)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사회교육 중 사회과학관련 분야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한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정·보완된 설문지는 유아교육과 전공교수2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의 역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교사의 81.9%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대부분의 교사들이 유아시기의 역사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개인의 뿌리와 문화, 삶에 존재하는 조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역사교육이 가능한 연령에 대해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만3세에서 만5세에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교사의 인식에는 경력, 학력, 역사관련 과목 수강여부에 따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치원 6차 교육과정 사회생활 영역 내용은 모두 19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항목 중 역사교육이 포함되었다고 인식하는 모든 항목에 교사가 표시한 결과, 19개의 항목 중 9.45개 항목에 대하여 유아기 역사교육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대답하였다. 그 항목은 ‘우리나라의 상징과 전통에 관심가지기’, ‘세계 여러나라의 상징과 전통에 관심가지기’, ‘통일에 관심가지기’, ‘두레의 소중함을 알고 협력하기’등이었다. 또한 유치원 활동지도 자료집 중 역사교육을 실시하기에 가능한 주제는 ‘우리나라와 다른나라(94.0%)’, ‘특별한 날들(71.4%)’이라고 교사들은 생각했다. 셋째, 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의 실시현황을 보면 ‘실시함’이 37.9%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역사교육을 통해서 유아들이 경험하기 바라는 것은 ‘일상적인 순서의 흐름에 대해 아는 것(32.8%)’과 ‘우리나라의 명절 및 놀이에 대해 아는 것(31.5%)’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역사교육을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현장학습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역사교육을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교육부에서 간행한 교육활동 자료집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역사교육에 필요한 교재, 교구의 연구 및 개발과 교사연수를 통한 역사교육에 대한 재교육을 희망하였다. 재교육을 통해 역사교육을 위한 활동소개 및 교수방법 소개와 역사교육에 대한 기초이론을 교육받기를 희망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