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윤정-
dc.creator신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8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7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8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꿈밭 어린이집 만 5세 유아들의 조형 활동을 통해 수학 활동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유아들의 조형 활동 양상을 살펴보고, 조형 활동에서 경험하는 수학적 경험에 대해 문화 기술적 방법을 통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꿈밭 어린이집 만 5세 유아 조형 활동 양상은 어떠한가? 2. 만 5세 장미 반 유아들은 조형 활동에서 어떠한 수학 내용을 경험 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M시에 위치한 꿈밭 어린이집 내 만 5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이 학급 유아 26명과 교사 2명이었다. 2005년 8월 16일부터 2005년 10월 3일까지 총 24회 참여 관찰과 총 2회의 형식적인 교사면담, 비형식적인 유아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현장약기, 녹음, 문서 자료 수집, 사진 촬영 등을 통해 이루어졌고, 현장 약기와 녹음 내용은 현장노트로 만들었으며, 면담자료는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1982)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미반의 자유선택시간에 일어나는 조형 활동은 유아의 주도로 다양한 주제의 조형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유아는 자유선택활동시간의 시작과 끝에 맞추어 조형 활동을 하였으며, 조형 활동과정 전반에 걸쳐 수학적 활동을 경험하였다. 유아들은 역할 놀이 위해 필요한 물건을 조형영역에서 직접 제작하였고, 조형영역에서 만든 작품을 쌓기 놀이의 놀이감으로 사용하였다. 이처럼 조형 활동은 다른 영역의 놀이와 통합되기도 하였다. 둘째, 장미반 유아들은 조형 활동을 통해서 분류, 서열화, 수, 전체와 부분, 측정, 공간과 기하, 시간 그리고 패턴 등의 수학 내용을 경험하고 있었다. 유아는 자신에게 필요한 재료들을 찾으면서 사물이 가진 형태적 속성인 색, 크기, 모양 등을 준거로 하는 분류의 경험을 갖게 된다. 그리고 주변 세계를 잘 이해하기 위하여 다양한 속성을 근거로 사물들을 일관된 규칙아래 순서 짓는다. 조형 활동 중 유아는 여러 가지 상황에서 수를 세거나 활용하는 기회가 있었으며 이는 유아의 수 관련 지식 발달을 촉진하였다. 또한 조형 활동의 재료 혹은 도구 등을 서로 나누어 쓰거나 로봇의 팔, 다리, 몸체 등 각 부분을 만들고 합체하여 하나의 로봇을 만드는 과정 등을 통해 전체와 부분을 이해 할 수 있었다. 유아는 직관으로 어림짐작하며 직접 비교하거나 비형식적인 측정도구를 만들어 측정에 사용하게 되었다. 유아들의 그림에는 위상학적 관계의 이해가 나타나 있었고, 조형 활동 중 도형의 모양을 탐색함으로써 유아는 유클리드 기하를 경험하게 되었다. 규칙적인 어린이집의 일과를 통해 사회적 활동에 따른 시간을 경험하는 유아는 조형 활동으로 달력과 시계를 만들면서 문화적 시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조형 활동을 통해 유아는 색과 여러 가지 모양을 규칙성 있게 배열하여 패턴을 구성하기도 하였다.;The purpose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experience mathematical activities through art activities in kindergarten by means of ethnographic study. The researcher intends to analyze aspects of art activity of 5 year old children in kindergarten, contents of mathematical activities they experience by means of art activity and experiences of math in the process of art activity. To meet the above purpose, three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What are the aspects of art activity that shown by five-year-old children at kum-bat kindergarten? 2. How do the children experience mathematical activities through art activ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 class of five-year old children, in a kum-bat kindergarten located in Kyoung-gi Do. The participants were twenty six children and two teachers. Twenty four observations were conducted during a period from August 15, 2005 to October 3, 2005. The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ing two kindergarten teachers. Field jotting, audio-tape recording, documental collection, and photographing were also used to record the data. The contents of field jotting and recording were transcribed in field notes, and the contents of interview were duplicated and materialized. While collecting the data, analytical notes were written. After the data collection was completed, full-scal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carried out. The cases were 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based upon the methodology of Bodgan & Biklen (199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rt activity taken place during the free play time was led by children. As soon as the children started the art activity, the province had been established. By the time the activity ended, various mathematical experiences had occurred. Various themes can be expressed in molding activities. Children made materials needed for a role-play and they used art crafts they had made as block play's toy. In this way, molding activity was combined with other provinces of playing. Secondly, through art activity, children in a Jang-mi class were experiencing mathematics such as assorting, ranking, number, whole and part, measuring, spatial and geometry, time and pattern. To find materials needed for their art activity, those children assorted the materials. By comparing the finished work in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with other works, they experienced ranking. Children adequately used Chinese number words and Korean number words to count in various different contexts of art activity. By putting the parts together to make one finished product, children were able to learnthe concept of the whole and part. Children made informal equipment when they needed to measure the length and the width. When a child drew, topological relations based on closeness were shown. By making a calendar and watch, they experienced the cultural instrument of measuring time. They could experience routine social time of kindergarten. Furthermore, children made patterns using various shapes and colors with a beautiful ex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자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유아 수학교육의 이해 = 7 1. 유아 수학교육의 목적 = 7 2. 유아 수학교육의 내용 = 8 B. 유아 조형 활동의 이해 = 12 1. 조형 활동의 의미 = 12 2. 유아 조형 교육의 목표 및 내용 = 13 C. 통합적 유아교육과정 이해 = 15 1. 통합 유아교육과정의 의미 = 15 2. 유아 수학교육과 조형 활동 = 16 Ⅲ. 연구 방법 = 18 A.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 = 18 B. 연구대상 = 19 1. 꿈밭 어린이집 = 19 2. 장미반 = 21 3. 교사 = 22 4. 유아 = 24 C. 연구 절차 = 26 1. 연구과정 = 26 2. 자료수집 = 26 3. 자료분석 = 27 Ⅳ. 장미반의 하루일과와 전형적인 조형 활동 = 30 A. 장미반의 전형적인 하루 일과 = 30 B. 장미반의 조형 활동 = 31 1. 전형적 조형 활동 = 32 2. 조형 활동 주제 = 35 Ⅴ. 조형 활동에서 경험하는 수학활동 내용 = 38 A. 분류 = 38 B. 서열화 = 41 C. 수 = 44 D. 전체와 부분 = 47 E. 측정 = 50 F. 공간과 기하 = 54 G. 시간 = 58 H. 패턴 = 61 Ⅵ. 논의 및 결론 = 65 A. 논의 = 65 B. 결론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2 부 록 = 79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83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만 5세유아가 조형영역에서 경험하는 수학활동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athematical activities in art activity of Five-Year Old Kindergarten Children: An Ethnographic Study-
dc.creator.othernameShin, Yoon-Chong-
dc.format.page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