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4 Download: 0

만 5세 슬기반 유아들의 조형활동 내용과 교사의 역할에 관한 문화기술적연구

Title
만 5세 슬기반 유아들의 조형활동 내용과 교사의 역할에 관한 문화기술적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rt activity and teacher's role of Five Years-Old Kindergarten Children : An ethnograpic study
Authors
정연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about the activities taking place during a art activity at class consisting of 5 years old. Also it tries to figure out what activities are taken place by 5 years old who are capable of infinite imagination and thinking. The role of the teacher in this class was also studied. It was emphasized on what kinds of various activities the 5 years old who have various different experiences do during art activity and what the teachers do during this period and to figure out and understand this in depths. The questions established for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How is the art activity performed during 5-years's class free activity time? 2. What contents are shown through the art activity of 5-years children? 3. What is the role of the teacher when 5-years children perform their art activity? This research was done by using culture technical research method through observation and in depths interview. The observations took place during the period of March, 8th to April 10th at a kindergarten called Han-gyul which is situated at city S placed in Gyonggi province. The observation took place 19 times. at 5 years class consists of 33 five year olds, one teacher and one assistant teacher. A formal interview with the teacher took place three times in total and informal interview took place throughout the research period. At the kindergarten, the modeling activity was briefly sketched, recorded,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also field jotting and the record at the scene was drawn up. Also the interview with the teacher were all duplicated and was collected as data. The collected data was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and analyzed as Bogdan and Biklen(1992) showed. And then this was encoded and categorized for analysis. The conclusion made by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during the free period modeling activity,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infants frequently occurred and during the period when various activities took place, searching and free expression was made. The appreciation for their own piece of work as well as others' were seen altogether. Also it was performed together with other interest fields such as language or chatting. Wisdom class' modeling activity made possible for the infants to participate freely and they were given the chance to freely and originally express their thoughts through activities such as drawing, decorating and making something with solids after viewing instruments and data. Secondly, the contents of art activity which took place at class consisting of five years old were searching, expressing and appreciating. During the art activity, children were able to figure out the special features of it by searching the materials and tools presented by the teachers. And the infants exchanged their thoughts and figured out the special quality of the material and went on to fulfill their plans. The children had the chance to express their thoughts during this activity, and this could be splitted into original, language and visual expression. Through the art activity the child by oneself freely showed expression and individual character. They could also explain verbally what they had drawn or about their piece of work and present it in front of their peers. They also used tools to show what they had thought during this activity through visual devices. What they had observed and learned was symbolized visually and using this they were able to show visually what they had been thinking. They not only did this for their piece of work, but also observed the peers' works and exchanged their thoughts and compared it with others' works. Thirdly, the teacher's role at this class were encouraging the children's activity, explaining and showing how the activity should be done, proposing activity that will assemble with the child ability, offering various materials, showing how to work together and showing appreciation of the work. During the art activity, the teachers complimented and showed sufficient interest, showing and explaining how the activity should take place as well as donating various materials. Also they proposed activities which will match the child's level and taught how to work together and showed how to appreciate their own work and other infant's works by exchanging their thoughts or simply talking about the work.;본 연구에서는 만 5세 슬기반 유아들의 자유선택활동시간동안에 이루어지는 조형 활동에서 조형적인 요소를 더 많이 경험 할 수 있고 발달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만 5세를 대상으로 학기 초에 이루어지는 조형 활동의 내용은 무엇이며 이에 따라 교사의 역할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고자하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조형영역에서 다양한 형태의 활동과 경험이 가능한 만 5세 유아들의 조형 활동 내용과 그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역할은 어떠한지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슬기반 자유선택활동 시 조형 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2. 슬기반 유아들의 조형 활동에 대한 내용은 무엇인가? 3. 슬기반의 조형 활동에서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에 의한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2005년 3월 8일부터 2005년 4월 10일까지 경기도 S시에 위치한 한결 유치원 만 5세반으로 총 19회의 참여관찰을 하였다. 슬기반은 만 5세반으로 교사 1인과 보조교사 1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유아 3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와는 총 3회의 형식적인 면담을 하였고, 비형식적인 면담은 수시로 이루어졌다. 유치원에서 조형 활동 상황을 현장 약기로 작성, 녹음, 문서 자료 수집, 현장 약기(field jotting)와 현장기록을 작성하였다. 또한 교사와의 면담은 전사본을 만들어 자료화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1992)이 제시한 것과 같이 수집된 자료를 유형별로 나누어 해석하고, 이것을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 활동에서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교사와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빈번히 일어났으며 다양한 활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탐색하고 자유롭게 표현하며 나와 다른 사람의 작품을 감상하기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다른 흥미영역인 언어영역이나 이야기나누기와 같은 다른 활동과도 연계되어 이루어졌다. 슬기반의 조형 활동은 유아들이 스스로 활동에 자유로운 참여가 가능했으며 자료 및 도구의 탐색과정을 거쳐 유아들이 보고 느끼고 생각한 것들을 그리기, 꾸미기, 평면이나 입체로 만들기 등의 구체적인 활동을 통해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만 5세 슬기반에서 이루어진 조형 활동의 내용을 살펴보면 탐색하기, 표현하기, 감상하기였다. 유아들은 조형 활동에서 교사가 제시한 여러 가지 재료와 도구를 스스로 탐색하여 보고 그 특징을 경험하여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유아들과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면서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여 계획한 것을 실행하였다. 조형활동에서 유아들은 표현하기를 하였는데 창의적, 언어적, 시각적 표현으로 나눌 수 있었다. 조형 활동을 통해서 유아 개인의 자유롭고 개성이 나타나는 창의적 표현을 하였으며 자신이 그린 그림이나 작품에 대해서 언어적으로 설명하고 또래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는 언어적 표현을 하였다. 또한 조형 활동에서 유아들이 생각한 것을 여러 가지 재료와 도구를 가지고 시각적으로 표현을 하였다. 유아가 직접 보고 경험한 것을 표상활동을 통해 시각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자신이 사고하고 지각한 것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작품뿐만 아니라 또래의 작품을 보고 서로 의견을 이야기하고 다른 사람의 작품을 비교하고 직접 느낄 수 있는 감상하기를 하였다. 셋째, 슬기반 조형 활동에서 이루어진 교사의 역할을 살펴보면 유아의 활동을 격려하기, 활동에 대한 설명 및 시범보이기, 유아의 능력수준에 맞추어 제안하기, 다양한 재료 제공하기, 협동작업 제시하기, 작품 감상하게 하기의 특성이 나타났다. 조형 활동에서 교사는 유아들의 활동에 대해서 적절한 반응과 함께 격려하기를 하였으며 활동에 대해 직접 시범을 보이고 설명을 하였으며, 유아의 능력수준에 맞추어 제안을 하였으며 다양한 재료를 제공하고, 또래 간 의견교환이 이루어지며 협력하여 작품을 만들어 갈 수 있는 협동작업을 제시하였고, 전시나 이야기나누기를 통해 유아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