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만 5세 사랑반 유아들의 사회극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Title
만 5세 사랑반 유아들의 사회극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Other Titles
Socio-dramatic Play of 5-year-old Children in Sarang Class : An Ethnographic Study
Authors
정수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들의 사회극놀이의 시작과정과 사회극놀이를 원활히 지속하게 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랑반 유아들의 사회극놀이의 시작하는 과정은 어떠한가? 2. 사랑반 유아들의 사회극놀이의 원활한 지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S구에 위치한 성등 유치원내 만 5세 한 학급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이 학급 유아 23명과 교사 1명이었다. 2005년 4월 6일부터 2005년 9월 1일까지 총 25회 참여 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현장 약기(field jottings)를 바탕으로 현장기록(field recofds)를 작성하였다. 또한 교사와 총 2회의 형식적인 교사면담, 비형식적인 유아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현장약기, 녹음, 문서 자료 수집, 사진 촬영 등을 통해 이루어졌고, 현장 약기와 녹음 내용은 현장노트로 만들었으며, 면담자료는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1982)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놀이를 시작하는 과정으로 주제 정하기, 역할정하기, 무대배경 꾸미기 및 소품 만들기, 역할설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은 순서대로 일어날 수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으며 한두 과정이 생략되어서 진행되기도 하였다. 주제선정은 역할부터 먼저 정하고 시작하는 형태이거나 어제나 오전에 하던 놀이의 연속극 형태이거나 매스컴를 모방 또는 교사의 의해 선정되는 형태가 있었다. 유아들에게 있어서 역할을 정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이었고, 역할을 정하는데 있어 서로 먼저 말하거나 가위바위보 방법 또는 키재기 방법을 사용하였다. 무대배경 꾸미기 및 소품을 만드는 것은 그것 자체로 인해 극이 시작되기도 하였고, 극의 주제와 역할을 정한 다음 필요에 의해 제작되기도 하였다. 역할 설정과정에 있어 유아는 학년, 나이, 사는 곳, 하는 일 등 역할에 대해 구체적인 설정을 자의적 또는 타의적으로 결정하였다. 둘째, 유아들의 사회극놀이를 원활하게 지속하는데 있어 배역, 연기력, 감독, 조연들의 협조, 소품, 교사의 지원, 극의 내용에 대한 만족, 언어적 의사소통과 같은 요인들이 영향을 주었다. 유아들은 마음에 맞는 상대 배역으로 인해 놀이에 대한 의욕을 보였고, 자신 또한 마음에 드는 역할이 주어졌을 때 의욕을 갖고 극에 참여했다. 그러나 마음에 맞는 친구가 떠났을 때는 놀이를 중단하기도 하였다. 극중에서 연기력이 뛰어난 유아들은 다른 유아들까지 극에 몰입하게 하였고, 극이 중단되려고 하는 시점에서 극을 재생시키기도 하였다. 감독 역할을 하는 유아들은 극의 전체적 흐름을 잘 조절함으로 극의 원활한 진행을 하게 했으나 다소 독단적인 성향의 감독은 극의 흐름을 방해하기도 하였다. 독단적인 감독이라 하더라도 극이 유지되는 것은 조연 역할을 맡아주는 유아들의 협조가 있기 때문이다. 교사의 간접적 지원인 매력적인 소품들은 유아들로 하여금 스스로 탐색하게 하였고, 극에 참여하는 동기가 되기도 하였다. 적절하지 못한 시기에 교사의 개입은 극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못하기도 하였으나, 놀이에 적절한 방향제시와 소외된 유아들에 대한 지원은 유아들의 사회극놀이를 원활하게 하였다. 극의 내용진행에 만족할 때 유아들은 극 중에 남아 있지만, 극의 내용이 같은 내용으로 반복적으로 흘러가거나, 놀이 주제가 전환 되었을 때 내용진행이 만족되지 않으면 흥미를 잃어버리기도 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상호적이고 보완적인 의사소통으로 사회극놀이를 오래 지속시켰고, 반복적인 언어적 의사소통의 경우 모방적인 반복보다는 의견수용과 명확한 의사전달을 위한 반복을 사용함으로 사회극놀이를 지속시켜 나갔다.;In order to find the factor that activates or impedes the process of beginning and unfolding of a sociodramatic play by children,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m through the method of Ethonographic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5-year-old class at a kinder garden located in Busan and the object of the study was 21 children and 1 teacher in this class. A total of 25 observations by participation, a total of 2 form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children were conducted from April 13, 2005 through September 1, 2005. Data collection was made from field jottings and the recorded content from field not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encoding and categorizing as suggested by Bogdan and Biklen (199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setting the theme and role, decorating the stage, making the props and setting the role was done in the process of starting the social role-play. This process usually took place in order but it did not always, and also few steps were omitted in some cases. The theme was set by starting the play first to find the theme, continuing the play from before, imitating the media, or taking it from what the teacher told. Setting the role was an important process. To set the role, they used the method of saying the desired role first, scissor-paper-rock, or measuring the height. Some plays were started by the stage background itself, but sometimes the stage background was set according to the theme and roles. In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characters, children on their will or on another's will set the grade, age, address, and job for characters. Secondly, character, ability to act, producer, cooperation of supporting actors, props, support from the teacher, satisfaction to content, and verbal communication affected the social role-play to run smoothly. Children showed their motivation due to getting the partner they like or having character they want. However when there were very few lines compared to other children or when their friend left, they stopped participating in the play. The children with the great ability to act made others to be absorbed in the play, and also made the play very interesting. Children who took their part as a director helped the play run smoothly but few distracted the play by their self-centered characteristics. Even with the self-centered director, the play continued because of the supporting characters' help. The attractive props made by the teacher influenced the children to participate in the play, but the destruction of props caused conflicts. The intervention of a teacher at an inappropriate time did not affect the play, but suggesting the right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isolated children helped the play run smoothly. Few children lost their interest by a change of the play or a flow of the story in a similar pattern, but most of them participated in the play with the interest in the content. Also, children continued the dramatic play with the aid of mutual and supplementary communication. And the verbal communication for continuing the dramatic play is not repeated to just imitate, but for clear expression and reception of other opin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