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성아-
dc.creator이성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6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7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6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수학교육내용에 대한 지식이 어떠한지를 개념도 분석을 해 봄으로써 유아수학교육의 내용을 결정하는 지식을 알아보고 유아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수학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지식은 어떠한가? 1) 상위개념의 내용은 어떠한가? 2) 교사의 변인(학력, 담당연령, 연수경험)에 따른 상위개념의 내용은 어떠한가? 3) 수학교육내용인식에 따른 상위개념의 내용은 어떠한가? 4) 상위개념에 연결된 종속개념의 내용은 어떠한가? 2. 유아수학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지식수준은 어떠한가? 1) 상위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의 총수, 위계, 특성점수는 어떠한가? 2) 교사의 변인(학력, 담당연령, 연수경험)에 따른 종속개념의 총수, 위계, 특성점수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과 체크리스트를 통해 이루어졌다. 교사가 지닌 지식의 내용 및 지식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Novak의 개념도(concept map)를 사용하여 ‘유아수학교육의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지식을 알아본 결과 교사의 개념도에서 총20개의 상위개념을 사용하였으며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낸 상위개념은 ‘수’개념으로 교사30명중 30명(100%) 교사 모두에게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도형(83.3%), 순서(70%), 분류(66.7%), 통계(60%), 측정(56.7%), 시간(50%), 공간(50%)순이었다. 교사의 변인에 따른 상위개념내용에서는 학력에 따라서는 순서, 시간, 공간에서 유의미하였고 담당연령에 따라서는 분류에서 유의미하였으며 연수경험에 따라서는 순서, 공간에서 유의미하였다. 유아수학내용인식에 따른 상위개념내용에서는 유아수학 내용인식간에 분류와 순서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유아수학내용인식과 상위개념 내용간에는 대부분이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종속개념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것은 순서짓기의 서열화와 분류하기의 같은 것 짝짓기, 1:1짝짓기로 나타났다. 종속개념의 빈도를 살펴보면 수의 종속개념이 총125개(31%)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는 도형(19%), 분류(11%), 순서(10%), 측정(9%), 공간(8%) 시간(7%), 통계(5%)순이였다. 둘째, 교사의 지식수준을 알아본 결과 상위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의 총수, 위계, 특성점수의 평균은 수의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변인에 따라서는 학력의 경우 종속개념 수에서는 수, 순서, 통계, 시간, 공간에 위계에서는 순서, 통계, 시간, 공간에 유의미하였고 담당연령의 경우 종속개념 수에서는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위계에서는 분류에 유의미하였고 연수경험의 경우 종속개념 수, 위계에서는 공간에 대하여 유의미하였다. 학력, 담당연령, 연수경험에 따른 특성점수에서는 수에 모두 유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교사의 수학내용지식과 개념도의 내용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교사들은 중요하게 인식하는 수학내용과 알고 있는 수학적 내용을 개념도에 나타내었다. 하지만 교사들의 수학내용지식부족으로 개념들을 위계화와 구조화시키는 것에 어려움을 나타냈으므로 교사교육을 통한 수학내용지식에 관련된 연수경험이 필요하며 Novak등이 제시한 개념도를 작성해 보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념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만들어 보고 자신의 오개념을 수정하며 수학내용에 있어서 균형있는 지식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가 필요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finding out the knowledge, which could be basis to determine the contents and method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n providing principle information for educating kindergarten teacher.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t up. 1. The questions about teacher`s knowledge related with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1) What is the contents of the superordinate concept? 2) What is the contents of the superordinate concept about teachers related variables (education, age and training experience)? 3) What is the contents of the superordinate concept about teachers` recognition linked with 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4) What is the contents of the subordinate concept linked with the superordinate concept? 2. The questions about teachers` knowledge level related with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1) How is total number, rank or characterized point of the subordinate concept contained in the superordinate concept? 2) How is total number, rank or characterized point of the subordinate concept in aspect of the variables related with teachers? This research was executed by individual interview on 30 kindergarten teachers with the questionare. In order to measure teachers` knowledge level and structure, Concept Map of Novak was us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20 superordinate concepts were educed from the check of teachers` knowledge. The superordinate concepts that teacher used many, were Number(100%), and then the superordinate concepts that teachers used next, were Diagram(83.3%), Order(70%), Classification(66.7%), Statistics(60%), Measurement(56.7), Time(50%), and Space(50%) in order. In the superordinate concept about teachers related variables, their education level was meaningful to Order, Time and Space. Teachers` age was meaningful to Classification and their training experience was meaningful to Order and Space. In the superordinate concept about teachers`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Classification showed meaningful co-relation with Order. Significantly recognized mathematics contents showed meaningful co-relation with the superordinate concept. In the result of analysing subordinate concept, Ranking, Pairing same things and Pairing one to one showed the most frequencies. In the aspect of frequency of the subordinate concepts, Number showed 125(31%), and then Diagram(19%), Classification(11%), Order(10%), Measurement(9%), Space(8%), Time(7%) and Statistics(5%) in order. Second, considering the result of teachers` knowledge level, total number, rank and average of characterized points showed the highest in Number. In consideration of the variables related with teachers, teachers` education level in the subordinate concept was meaningful to Number, Order, Statistics, Time and Space. Rank was meaningful to Order, Statistics, Time and Space. Teachers` age was not meaningful in the subordinate concept. Teachers` training experience was meaningful to Rank and in the subordinate concept. Teachers` characterized point was meaningful to Number in aspect of Education, Age and Training experience. Considering above results, teachers` mathematics knowledge was very close to Concept Map. Concept Map showed teachers` significantly recognized mathematics contents and already learned mathematical contents. There was difficulty in ranking and structuring concepts due to the deficiency of teachers` mathematics knowledge. So, teachers should raise up their mathematics knowledge by some training and should get systematic and balanced knowledge through the exercise of generating Concept Ma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유아교사와 지식사회 = 6 B. 유아교사교육과 개념도 = 8 C. 유아수학교육의 내용 = 13 D. 관련연구 = 20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연구도구 = 25 C. 연구절차 = 27 D. 자료분석 = 28 Ⅳ. 결과 및 해석 = 32 A. 유아수학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지식 = 32 B. 유아수학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지식수준 = 42 Ⅴ. 논의 및 결론 = 51 A. 논의 = 51 B.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5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74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치원교사의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개념도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Kindergarten Teachers` Concept Map Analysis about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dc.creator.othernameLee, Sung-Ah-
dc.format.pagex,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