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혜영-
dc.creator홍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9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7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10-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상담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탐색적으로 조사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맞는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 개발과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자유반응 개방형 질문지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상담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해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들은 상담에 대한 주된 반응은 불쾌감, 불안,두려움,걱정 등 부정적 반응이었고, 상담실은 도움이 될 것 같긴 하지만 왠지 불쾌하고 긴장되고 가기 싫은 곳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상담실 역할이나 기능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잘 알고 있지 않았다. 상담을 받는 사람은 뭔가 문제가 있고 이상한 사람이라는 반응이 높았고, 상담선생님은 문제해결을 해주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내담자의 역할에 대해서는 대부분 막연하거나 피상적으로 알고 있었다. 주된 상담방해요인은 낙인에 대한 두려움, 개방에 대한 어려움 등이었다. 이런 부정적인 인식 및 태도의 원인은 상담에 대한 정보부족과 무관심, 오해와 선입견 때문인 것으로 예상되었다. 위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부정적 정서의 완화, 상담에 대한 이해, 상담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이해, 상담효과에 대한 인식, 상담과정 및 내담자 역할에 대한 이해 등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된 9분20초 분량의 영상물이다. 다음으로,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반 중고등학교 청소년 384명과 청소년상담실에 처음으로 상담을 하러 온 청소년내담자 84명을 대상으로 구획분할 교차요인설계(Split-Plot Factorial design: SPF)를 하여 실험, 통제, 비교집단에 따른 사전사후 효과 분석을 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는 상담준비도, 불안, 상담만족도, 상담예상회기수 등으로 측정되었다. 사전사후검사로는 상담준비도검사와 불안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는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을, 통제집단에는 같은 길이의 중성자극 영상프로그램을, 비교집단에는 상담안내지시문을 보여주었다.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의 효과분석을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청소년들은 중성자극 영상프로그램 혹은 상담안내지시문에 참여한 일반청소년들보다 상담준비도(태도, 지식, 정서)가 높아질 것이고 불안수준이 낮아질 것이다. 가설 2.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내담자들은 중성자극 영상프로그램 혹은 상담안내지시문에 참여한 청소년내담자들보다 상담준비도(태도, 지식, 정서)가 높아질 것이고 불안수준이 낮아질 것이다. 가설 3.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내담자들은 중성자극 영상프로그램 혹은 상담안내지시문에 참여한 청소년내담자들보다 높은 상담만족도를 보일 것이다. 가설 4.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내담자들은 중성자극 영상프로그램 혹은 상담안내지시문에 참여한 청소년내담자들보다 많은 상담예상회기수를 보고 할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청소년집단에서는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이 상담준비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안수준을 낮추는데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그리고 청소년내담자집단에서도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이 상담준비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안수준을 낮추는데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그러나 상담만족도와 상담예상회기수에 대한 실험, 통제, 비교집단간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이 상담성과의 주요지표인 내담자 상담만족도와 상담예상회기수에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3과 가설4는 지지되지 못했다. 또한 실험, 통제, 비교집단 설계를 하여 상담준비도를 높이는데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과 상담안내지시문의 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두 가지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은 청소년내담자의 상담준비도를 높여 상담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청소년, 즉 잠재적 내담자에게도 상담준비도를 높여, 이들의 상담이용 가능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상담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그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상담현장에서 청소년들의 상담접근성과 상담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Korean adolesc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and to develope a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for Korean adolescent clients based on the Korean adolesc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on client preparation for counseling, anxiety, client satisfaction, and expected counseling sessions. For the purpose,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parts for the development of a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for Korean adolescent clients, and the examination of effects of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on client preparation for counseling, anxiety, client satisfaction and expected counseling sess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content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bout Korean adolesc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by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e adolescents reported that they felt almost unpleasantness, anxiety, apprehension, and worry toward counseling. They took an ambivalent view about the counseling center that it might be helpful but they do not want to go there. But they had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role and functions of the counseling center. Many of them responded that clients are problematic or abnormal, and had obscure and superficial responses about the role of clients. Major factors that hinder them from seeking counseling are concerns about labeling, stigma and difficulty to self-disclosure. Thus little knowledge and interest,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s toward counseling are considered as the cause of such nega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produced a 9 minutes and 20 seconds long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for Korean adolescent clients. The program is divided into five sections: alleviating negative emotions toward counseling; understanding toward counseling; understanding towar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counseling center; recognition of counseling effects; understanding toward counseling process and the role of client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this study was used SPF(Spilt-Plot Factorial design). the subjects were 384 ordinary adolescents and 84 adolescent clients. They were assigned experiment, control, and comparison groups and pretested and posttested some scales toward client preparation for counseling, anxiety, client satisfaction, and expected counseling sessions. The counseling preparation scale and STAI were used by pretest and posttest scales. the data were analyzed the change of client preparation for counseling, anxiety between pretest score and posttest score within each groups and between groups by Repeated Measures in General Linear Model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client satisfaction, and expected counseling sessions between groups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the control group was participated in a video of same length providing neutral stimuli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given a printed counseling guide documen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ypothesis 1. Ordinary adolescents that have participated in the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will be more increased the level of client preparation for counseling(attitude, knowledge, and emotion toward counseling) and less decreased the level of anxiety than other adolesc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neutral video program or a printed counseling guide document. Hypothesis 2. Adolescent clients that have participated in the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will be more increased the level of client preparation for counseling (attitude, knowledge, and emotion toward counseling) and less decreased the level of anxiety than other adolescent cli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neutral video program or a printed counseling guide document. Hypothesis 3. Adolescent clients that have participated in the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will be more satisfied with counseling than other cli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neutral video program or a printed counseling guide document. Hypothesis 4. Adolescent clients that have participated in the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will expect more counseling sessions than other cli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neutral video program or a printed counseling guide docu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r ordinary adolescents, the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level of client's preparation for counseling (attitude, knowledge, and emotion toward counseling) but not effective to decrease the level of anxiety than other ordinary adolesc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neutral video program or a printed counseling guide document. So Hypothesis 1 was partially supported. Next, for adolescent clients, the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level of client's preparation for counseling (attitude, knowledge, and emotion toward counseling) but not effective to decrease the level of anxiety than other adolescent cli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neutral video program or a printed counseling guide document. So Hypothesis 2 was partially suppor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 control and comparison groups in client satisfaction and expected counseling sessions. It means that the program was not effective on these respects. So Hypothesis 3 and Hypothesis 4 were not supported. In addition, under the experiment, control, and comparison group setting, both of the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and the printed counseling guide document turned out to increase the level of both ordinary and client adolescents' counseling preparation. Therefore, the videotaped material was more effective than the printed counseling guide document. In conclusion, the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for adolescent clients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level of client preparation for counseling but not effective on decreasing the level of their anxiety, thereby making them more positive about being counseled and improving counseling outcome. In addition, it also turned out to help ordinary adolescents, who are potential clients, to be more positive towards counseling and improving usage possibility of counseling center. This study provided primary information on Korean adolesc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developed a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for Korean adolescent clients, and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Thus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unseling accessibility and outcomes for adolescents in pract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요약 vi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문제와 가설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청소년의 상담에 대한 태도 및 기대 = 6 1. 청소년내담자의 특성 = 6 2. 청소년의 상담에 대한 태도 = 10 3. 청소년의 상담에 대한 기대 = 14 B. 역할훈련 = 16 1. 역할훈련의 정의 및 목적 = 16 2. 역할훈련의 종류 = 19 3. 역할훈련의 내용 = 23 4. 역할훈련의 효과 = 27 Ⅲ.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 개발 = 32 A. 청소년들의 상담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분석 = 32 B.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 구성요소 추출 = 46 C.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 개발 과정 = 50 Ⅳ.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 효과 분석 = 55 A. 연구방법 = 55 1. 연구대상 = 55 2. 연구도구 = 58 3. 연구절차 = 61 4. 분석방법 = 63 B. 연구결과 = 65 1. 연구대상의 사전 동질성 검증 = 65 2. 일반청소년집단의 상담준비도 및 불안의 비교검증 = 69 3. 청소년내담자집단의 상담준비도 및 불안의 비교검증 = 80 4. 청소년내담자집단의 상담만족도, 상담예상회기 비교검증 = 89 Ⅴ. 논의 = 91 A. 논의 및 결론 = 91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100 참고문헌 = 103 부록 = 115 Abstract = 1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684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for Korean adolescent clients-
dc.creator.othernameHong, Hye-Young-
dc.format.pageviii, 18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