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7 Download: 0

정신장애인 보호제공 가족원의 돌봄경험 평가와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장애인 보호제공 가족원의 돌봄경험 평가와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aregiving Apprais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Authors
김연수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일차적 보호제공 가족원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원과 자원과의 관계 속에서 돌봄경험의 긍정적 및 부정적 평가가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및 부정적 차원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정신장애인의 보호제공 가족원을 대상으로 한 기존 선행연구는 돌봄경험의 부정적 평가인 부담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부정적 차원인 우울 등에 초점을 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역경이나 어려움에 대한 ‘긍정적 의미부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돌봄경험에는 부담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만족과 보상 및 기쁨 등의 긍정적 평가차원도 함께 공존한다는 인식이 대두되었다. 이는 강점관점 및 탄력성접근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사회복지실천과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보호제공 가족원이 인식한 돌봄경험의 긍정적 평가 측면을 조명하고자 평가변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영향을 긍정적 차원과 부정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직접적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돌봄경험의 평가가 스트레스원과 자원변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돌봄경험 과정에서 평가변인이 갖는 중요성에 관해 논하고자 하였으며, 보호제공 가족원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다각적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정신장애인 보호제공 가족원이 인식한 돌봄경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원으로 정신장애인의 사회기능을, 자원으로 보호제공 가족원이 주변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와 정신장애인-보호제공 가족원관계를 선정하였다. 돌봄경험의 평가는 긍정적 및 부정적 평가로 구분하였고, 최종 결과변인인 심리적 안녕감은 긍정적 차원인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차원인 우울로 나누어 이들 변수 간의 직접 및 간접영향관계를 경로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제시된 경로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경인지역에서 정신장애인과 함께 동거하며 일차적 보호제공의 책임을 지고 있는 가족원 374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후 이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각 측정변인들이 각 변수의 구성개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측정모델과 구조모델을 검증한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CFI가 .946, TLI(NNFI)가 .943으로 모두 .9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RMSEA는 .063으로 .05~.08 사이에 있어 연구모형이 조사 자료에 잘 부합되며 수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직접효과에 대한 연구모형의 분석에서 정신장애인의 사회기능은 정신장애인-보호제공 가족원관계, 돌봄경험의 부정적 평가, 그리고 우울에 모두 직접적 영향을 가졌다. 보호제공 가족원의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 평가와 우울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보호제공 가족원관계는 돌봄경험의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에 각각 직접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차원인 긍정적 정서에 직접영향을 가졌다. 또한 돌봄경험의 긍정적 평가는 긍정적 정서에, 부정적 평가는 우울과 긍정적 정서에 모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에서 정신장애인-보호제공 가족원관계는 정신장애인의 사회기능이 돌봄경험의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간접영향을 미치도록 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봄경험의 긍정적 평가는 정신장애인-보호제공 가족원관계와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부정적 평가는 사회기능이 긍정적 정서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정신장애인-보호제공 가족원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주요 검증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첫째, 정신장애인 가족대상 국내연구에서 돌봄경험의 긍정적 평가와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차원에 대한 개념을 적용하여, 기존의 부담감 중심 연구로부터 돌봄경험의 과정에서 체득하게 되는 만족, 보상 등 긍정적 측면으로까지 정신장애인 가족영역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둘째, 보호제공 가족원의 돌봄경험에서 평가변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호제공 가족원의 돌봄경험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 수준이 궁극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갖는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보호제공 가족원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개입 방안으로 돌봄경험에 보다 긍정적 의미를 부여하도록 돕는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근거가 되었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보호제공 가족원의 돌봄경험을 스트레스원, 자원, 그리고 긍정적 및 부정적 차원의 돌봄경험 평가와 심리적 안녕감을 모두 함께 포괄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여 보호제공 가족원의 돌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보다 다각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사회복지실천의 틀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은 연구대상자의 모집 시 무작위표집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과 연구의 중심이 되는 돌봄경험의 긍정적 평가에 대한 측정 시 외국척도를 사용하여 한국의 문화적 맥락에 맞는 보다 다양한 긍정적 평가의 내용을 담지 못한 것이다.;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main and mediating effects which positive and negative caregiving appraisal exe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mentally disordered perso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a stressor and resource variable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give a contribution to find various ways in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who take care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The main stream of previous studies on family caregivers of mentally disordered person tended to focus on the feeling of burden which is the negative caregiving appraisal and on depression which indicates negative psychological well-being. Recently with the new recognition of the 'positive reappraisal' to the hardships and adversities, positive aspects of caregiving appraisal such as caregiving satisfaction, pleasure, and reward have been emphasized. This new tendency which goes with the strength perspective and resilient approach has a significance not only in social work research but also in social work practice. The proces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which constitute this research model were chosen on the basis of stress-appraisal-coping theory and two factor model of caregiv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reviews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ees that social functioning of a mentally disordered person is the stressor and social support to a family caregiver and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a family caregiver and a mentally disordered person are helpful resources. In the study, apprais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s are divided into the positive one and the negative one: positive caregiving appraisal, negative caregiving appraisal, positive affect and depression. The direct and indirect a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re presented through the path model.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upon 374 primary family caregivers who live together with a mentally disordered person in the community through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day hospital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and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using AMOS 4.0.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7 latent variables of this research model are persuasively explained by the measurement model. Second, the entire model including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 shows sufficient fit index of CFI(.946), TLI(.943), and RMSEA(.063).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of direct effects among variables are as follows. A stressor, 'social functioning of a mentally disordered person', is found to give significantly direc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mily caregiver and mentally disordered person', 'negative caregiving appraisal', and 'depressio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to a family caregiver'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positive caregiving appraisal' and 'depres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mily caregiver and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ositive and negative caregiving appraisal' and 'positive affect'. The 'positive caregiving appraisal'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ositive affect' and the 'negative caregiving appraisal' has direct effect on both of positive and negative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s: 'positive affect' and 'depression'. Fourth, the results of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mily caregiver and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caregiving appraisal' are as follows. The effects of 'social functioning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on 'positive and negative caregiving appraisal'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mily caregiver and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o a family caregiver' and 'relationship between a family caregiver and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on the 'positive affect'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 'positive caregiving appraisal'. The effects of 'social functioning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on the 'positive affect and depression'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 'negative caregiving appraisal'. The effect of 'relationship between a family caregiver and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on the 'depression' is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 'negative caregiving appraisal'. Through this research, these implications in social work study and practice are found: (1) this study extended the scope of family study in the mental health area from negative sides into positive ones by using of positive caregiving appraisal and positive affect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which has not been tried on the Korean family caregivers of the mentally disordered. (2) the effects of caregiving apprais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are shown in this study can provide a foundational necessity for social workers to help family caregivers find positive meanings in their caregiving experience. This approach of social work practice will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3) this study presents a framework including stressor, resources, positive and negative caregiving apprais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s available to social work practice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and explaining affectiv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in various asp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