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진-
dc.creator김현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9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7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29-
dc.description.abstractIn dieser Forschungsarbeit geht es darum, Koreanisch lernenden deutschen Schuelern der Mittel- und Oberstufe als Ergänzung die Besonderheit der Sprache begreiflich zu machen und dabei ein, an den Unterricht, angepasstes Modell zu präsentieren. Ich habe, durch Beobachten der Sprachmerkmale wie Lernart und Fehler der Deutschschüler, ein für sie erfolgreich zu meisterndes Unterrichtsprojekt durchgeführt. Durch Anweden dieses Forschungsergebnisses habe ich gezeigt, daß die Wirkung der Projektarbeit eine wiederspiegelnde Methode aufbringt. Die Projektarbeit habe ich in folgende Phasen aufgeteilt: Vorbereitungs- und Planungsphase, Durchführungsphase, Präsentations- und- Auswertungsphase. In der Vorbereitungs- und Planungsphase werden die Grundlagen der Projektarbeit untersucht, dann wählen die Schüler durch Brainstorming ein Thema aus und bereiten die Planung für dieses Thema vor. In dieser Phase wird die Unterrichtsplanung durch den Austausch zwischen Schülern und Lehrer aufgestellt. Als nächstes kommt die Durchführungsphase. Die Phase der Untersuchungsarbeit ist die, in der die Schüler selbst überlegen, was sie für Materialien oder Informationen benötigen, diese lesen und zusammengefasst oder aufgeschrieben den anderen Gruppenmitgliedern erklären. In der ersten Phase, wird das Vokabular verstärkt durchgenommen, die Schüler fertigen ihr eigenes Wochentagebuch an, anhand Karteikarten werden mit dem Thema verbundene grammatikalische Ausdrücke erlernt und dadurch werden im Allgemeinen, auftauchende Fehler, deutsch lernender Schüler trainiert. In der zweiten Phase gibt es ebenfalls eine Verstärkungsphase des Vokabulars. Hier werden hauptsächlich Ausdrücke erlernt, die die Schüler für die Besprechung benötigen, die ausgewählten Fehler jedes einzelnen Schülers von Grund auf mit den, der Anderen verglichen und korriegiert. Der dritte Abschnitt der Durchführungsphase ist die Ausführung der Ergenisse. Zuerst werden, durch Analysieren und Zusammengefassen der Informationen, die Resultate erstellt. Auch in diesem dritten Abschnitt wird das Vokabular gestärkt. In dieser Stärkungsphase werden die Fehler der Schüler notiert wie soritert, so eigene Fehler korriegiert und damit höchste Übung geschaffen. Die dritte Phase ist die Präsentations- und Auswertungsphase. In diesem Prozess werten die Schüler die vorgetragenen Inhalte der Mitschüler aus und jeder einzelne kann noch mal durch eingene Auswertung überlegen, was er durch diesen Projektunterricht erworben hat. Ich habe durch diese Art Phasenunterricht, ein grunlegendes Modell des Projektunterrichts präsentieren können. In diesem Modell geht es hauptsächlich, um Lesen, Schreiben, Hörverstehen, ein vom Lehrer durchgeführtes mündliches Vortragsprojekt, Schreiben als Schwerpunkt, Hörverstehen, Lesen. Als Letzteres, ist es eine Auswertung der Schüler bezüglich des Projektunterrichts. In dieser Auswertung wird die Koreanischkenntnis des einzelnen Schülers durch diesen Projektunterricht verbessert, und der Inhalt des Unterrichts, der fortschittliche Verlauf hauptsächlich für Befriedigend erkannt. Ich habe erkennen können, wie die Schüler ihren eigenen Horizont, durch das genaue Verständnis der neuen Lernmethode, erweitern können.;본 연구에서는 독일어권의 중급과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언어적 특성을 파악해 적합한 수업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습자들의 학습 성향과 오류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프로젝트 수업을 제시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을 선정한 이유는 언어와 내용을 같이 지도하는 내용 기반의 언어 학습 방식이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수업에서는 수업의 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언어 지식을 연습시킬 수 있고, 수업의 내용도 학습자들이 원하는 것을 선정해 가르칠 수 있다. 학습자들의 숙련도가 높아질수록 자신의 학습 목적이 뚜렷해지고, 이에 걸맞은 교과과정을 원하는 중급과 고급 학습자들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프로젝트 수업이 적합하다. 학습자들의 오류는 문법과 어휘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형태 오류와 의미 오류로 분류해 오류 양상과 원인을 독일어권 학습자의 오류 자료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와도 비교하여 보았는데 두 언어권 학습자들의 오류는 유사한 현상을 보이며, 원인에 있어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오류 연구 결과를 프로젝트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 적용시켜 제시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의 단계를 크게 ‘준비 및 계획 단계’, ‘수행 단계’, ‘발표 및 평가 단계’로 나누었다. 첫 번째 단계인 ‘준비 및 계획 단계’는 기존의 프로젝트를 점검하고, 학습자들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하고, 선정된 주제에 대해 계획을 세우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학습자들은 교사와 협의하여 수업의 일정을 짜고, 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게 된다. 다음은 ‘수행 단계’이다. 수행 단계에서는 선정된 프로젝트 주제에 대한 자료를 탐구하는 단계인 탐구 활동 단계에서부터 시작된다. 탐구 활동 단계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들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자료나 정보를 찾아 이를 읽고 요약하거나 써서 다른 동료들에게 설명할 준비를 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제1차적인 언어 강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 단계는 학습자들 스스로 주간 일지를 작성하고, 단어 카드를 통해 주제 관련 어휘 및 표현을 익히게 되고,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독일어권 학습자들에게 나타나는 오류들을 훈련시키는 단계이다. 수행 단계의 두 번째 단계는 자료 분석 및 토의 단계이다. 학습자들이 각각 모은 자료를 공유하면서 이 자료들이 실제 프로젝트에 적합한지, 어떻게 가공하여 결과물을 제작하는 데 넣으면 좋을지 등을 의논하고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는 제2차 언어 강화 단계가 있다. 제2차 언어 강화 단계는 학습자들이 토의에 필요한 표현을 중심으로 연습하거나, 교사가 작성한 학습자들의 오류 노트를 바탕으로 자신과 동료들의 오류를 수정해 봄으로써, 오류를 교정하는 단계이다. 수행 단계의 세 번째 단계는 결과물 제작 단계이다. 이 단계는 앞에서 분석, 종합한 자료를 바탕으로 결과물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각각의 그룹으로 나누어 자신들이 맡은 역할을 확인하고 이를 수행한다. 또 이 단계에서는 제3차 언어 강화 단계가 있다. 이 강화 단계는 학습자들의 오류 노트 및 오류 분류표를 만들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오류를 수정하는 최고조의 훈련을 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발표 및 평가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제작한 프로젝트 결과물을 동료 학습자들, 전문가들, 교사들 앞에서 발표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최종 수정하여 결과물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동료들의 발표 내용을 듣고 이를 평가하며, 각자 자기 평가도 함으로써 실제로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무엇을 얻었는지, 반추하고 돌이켜보는 시간을 갖는다. 교사는 학습자들의 결과물을 평가하고, 수업 운영에 대한 피드백을 학습자들로부터 받아 이를 향후 프로젝트 학습에 반영한다. 프로젝트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의 오류를 찾아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며, 자신의 오류를 바탕으로 문법, 어휘 학습을 하므로 학습자 개개인에 적합한 맞춤 교육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신들이 원하는 주제를 선정해 수업 내용으로 삼기 때문에 중급과 고급 학습자들에게 나타나는 지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언어와 내용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을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업의 단계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수업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말하기를 중심으로 읽기, 쓰기, 듣기를 통합해 교수하는 ‘구두 발표하기 프로젝트’와 쓰기를 중심으로 말하기, 듣기, 읽기를 통합해 교수하는 ‘소설 해설집 제작하기 프로젝트’이다. 이 두 프로젝트는 실제 수업 현장에서 사용된 것을 바탕으로 독일어권 학습자에 맞게 재구성한 것이다. 이 수업 모형은 프로젝트의 수업 단계에 따라 과정을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 장에서 살펴보려는 것은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평가이다. 이 평가는 영어 교육에서의 프로젝트 평가를 먼저 고찰하고, 한국어교육에서의 프로젝트 평가를 학습자들의 설문과 인터뷰, 결과물의 편집 후기를 바탕으로 하여 기술하였다. 이 평가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의 한국어 능력이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향상되었으며, 수업의 내용, 진행 과정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감을 표시하였다. 새로운 교수 방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영역을 넓혀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들어가는 말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5 C. 연구 대상 및 방법 = 7 Ⅱ. 독일어권의 한국어교육 현황 = 14 A. 독일의 한국어교육 = 14 B. 오스트리아의 한국어교육 = 19 Ⅲ. 오류 분석에 나타난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 = 21 A. 오류 분석의 선행 연구 = 22 1. 오류 가설 = 23 1.1 대조 분석 가설(Hypothese der kontrastiven Analyse) = 23 1.2 오류 분석 가설(Hypothese der Fehleranalyse) = 24 1.3 중간언어 가설(Interlanguage-Hypothese) = 25 2. 한국어교육의 오류 연구 현황 = 26 B. 오류 분석 = 28 1. 오류 수집 및 접근 방법 = 28 2. 문법 오류 = 30 2.1 형태 오류 = 31 2.1.1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 37 2.1.2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 42 2.2 의미 오류 = 49 2.2.1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 51 2.2.2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 54 3. 어휘 오류 = 60 3.1 형태 오류 = 62 3.1.1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 63 3.1.2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 66 3.2 의미 오류 = 71 3.2.1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 72 3.2.2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 74 4. 문화 차이에서 오는 오류 = 81 5. 종합 = 85 Ⅳ. 외국어 학습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의 이론적 배경 = 89 A. 프로젝트 수업(Projektunterricht)의 정의 = 89 B. 프로젝트 수업(Projektunterricht)의 역사 = 92 C. 프로젝트 수업(Projektunterricht)의 유형 = 96 D. 프로젝트 수업의 특징 = 100 V. 프로젝트 수업 모형 = 113 A. 이론적 배경 = 113 B. 프로젝트 수업 구성 = 123 1. 준비 및 계획 단계: 프로젝트 전단계 = 123 1.1 준비 단계 = 123 1.2 계획 단계 = 128 2. 수행 단계: 프로젝트 본단계 = 136 2.1 탐구 활동 단계 = 136 2.1.1 제1차 언어 강화 단계 = 136 2.1.2 탐구 활동 단계 = 141 2.2 자료 종합 및 분석 단계 = 144 2.2.1 제2차 언어 강화 단계 = 145 2.2.2 자료 분석 및 토의 단계 = 147 2.3 결과물 제작 단계 = 148 2.3.1 제3차 언어 강화 단계 = 148 2.3.2 결과물 제작 단계 = 152 3. 발표 및 평가 단계: 프로젝트 후단계 = 153 3.1 마무리 및 발표 단계 = 154 3.2 평가 단계 = 155 4. 종합 = 165 Ⅵ.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프로젝트 수업 모형 = 166 A. 구두 발표하기 = 167 1. 준비 및 계획 단계 = 169 2. 수행 단계 = 175 2.1 탐구 활동 단계 = 175 2.2 자료 분석 및 토의 단계 = 180 2.3 결과물 제작 단계 = 185 3. 발표 및 평가 단계 = 188 B. 소설 해설집 제작하기 = 190 1. 준비 및 계획 단계 = 192 2. 수행 단계 = 195 2.1 탐구 활동 단계 = 195 2.2 자료 분석 및 토의 단계 = 199 2.3 결과물 제작 단계 = 207 3. 발표 및 평가 단계 = 211 Ⅶ. 프로젝트 수업의 평가 및 제언 = 212 Ⅷ. 맺는 말 = 222 참고문헌 = 227 독문요약 = 2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658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dc.title독일어권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프로젝트 중심의 학습 모형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xi, 24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독어독문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독어독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