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패션 명품의 제조국 이전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패션 명품의 제조국 이전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fashion luxury market steadily grew up at home and abroad. However, the prices of luxury products rose because of various factors to let luxury product brand businesses consider movement of country of manufacture and to make the most urgent problem. However, the research on fashion luxury product in the nation was focused on features of the equity of fashion luxury product as well as consumers to be short of research on country of manufacture at the area of clothing and textiles science. Therefore, the study cognized needs of research on fashion luxury products having different country of manufacture to examine attributes of fashion luxury products and to investigate consumers' attitudes and buying behaviour and effects on the movement of country of manufacture. The study adopted research subjects: First, the attributes of fashion luxury products a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consum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rand relationship and buying behaviour. Second, consumers' attitudes, buying experience and attitudes on fashion luxury product brand having different country of manufacture are investigated and factors having influence on them are examined. Theoretical examination and empirical test were made. The subjects were women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at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 resided at the Metropolitan area, Seoul. The research was made for about twelve days in November 2005 and, made use of 569 copies finally. SPSS package for Windows was used to investigate frequency and factors and to conduc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ylysis, logistic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attributes of luxury products and associated variables had factors as follows: The cognition of the attributes of luxury products had six factors, such as differentiation, superiority, scarcity, tradition, sophistication and advanced cultural feature of country of origin, etc. On the other hand, the conspicuous consumption had four factors such as preference of famous brands, pursuit of fashion, other directed and symbols of position, etc. The brand relationship had three factors such as loyalty, brand community and active engargement, etc. Second, cognition on the attributes of fashion luxury product, consum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rand relationship and buying behaviour, etc had statistical relations each other. At first, the attributes of fashion luxury product had correlation with consum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onspicuous consumption inclination and price sensitivity: The conspicuous consumption inclin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low level of the fashion luxury product, and it had not significant relations with the price sensitivity and the attributes of fashion luxury product. And, consumers' buying behaviour of the fashion luxury product was as follows: The women consumers at their twenties to thirties liked to buy miscellaneous goods such as handbag and shoes rather than luxury garment: The attributes of luxury products, conspicuous consumption inclination, price sensitivity and brand relationship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consumers' buying behaviour at overall. In particular, the consumers who had close relationships with brands that they like often visited shops to shop brand product, to buy more product and to be more satisfied, so that luxury product brands were required to pay more attention to maintaining good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Third, at consumers' experience of luxury product having different country of manufacture, consumers liked to inspect country of manufacture at buying of luxury products. The ones who experienced to buy luxury products having different country of manufacture were generally satisfied, but, inconsistently, they generally had negative ideas on movement of country of manufacture of fashion luxury product brands to either developing countries or underdeveloped countries. As a result, they showed difference between consumers' experience on fashion luxury product having different country of manufacture and the attitude on the product manufactured ineither developing countries or underdeveloped countries. Finally, the effects of luxury product brands having different country of manufacture upon consumers' attitudes were investigated: The attitude variables consisted of 'negative evaluation of luxury product having different country of manufacture', 'belief upon luxury garment having different country of manufacture', 'the will of continuous buying of luxury products having different country of manufacture', and 'changes of image perception on luxury product brands having different country of manufacture', etc: The effects upon each dependent variable varied a little. However, the main factors having influence over entire dependent variables were 'price sensitivity' and 'advanced culture of country of origin' of the attributes of luxury product.;국내외적으로 패션 명품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패션 명품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패션 명품 브랜드 업체들은 제조 원산지 이전을 검토하고 있으며, 가장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국내의 패션 명품과 관련한 연구는 주로 패션 명품의 자산과 소비자의 특성 연구에 집중돼 있으며 의류학 분야에서의 패션 명품의 원산지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제조국이 다른 패션 명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패션 명품성의 속성을 규명하며, 제조 원산지 이전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행동 및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패션 명품의 속성을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과 브랜드 관계, 구매행동과 관련하여 분석한다. 둘째, 브랜드 원산지와 제조국이 다른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경험 및 태도를 분석하고, 이러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본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패션 명품을 구매 혹은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대의 여자 직장인 및 대학생으로 하였다. 본조사는 2005년도 11월에 실시하였으며, 최종 569부가 주요 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SPSS Package를 사용하여 빈도, 요인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패션 명품 속성과 관련 변수들의 하위차원을 밝혔다. 그 결과, 패션 명품 속성은 ‘차별성’, ‘우월성’, ‘희소성’, ‘전통성’, ‘고급스러움’, ‘원산지의 선진문화성’ 요인의 6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과시소비성향은 ‘유명 브랜드 선호’, ‘유행성 추구’, ‘타인 지향’, ‘지위 상징’의 4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브랜드 관계의 경우, ‘충성도’요인, ‘공동체적 소속감’요인, ‘적극적 참여’요인 등 3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패션 명품 속성의 인식과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 브랜드 관계, 구매행동을 분석한 결과, 변수들 사이에는 관련이 있었다. 즉, 패션 명품의 속성과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과시소비성향, 가격민감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과시소비성향과 패션 명품 속성의 하위차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격민감성과 패션 명품의 속성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가적으로 패션 명품 구매행동을 살펴보면,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은 명품 의류보다는 잡화를 더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명품 속성, 과시소비성향, 가격민감성, 브랜드 관계는 전반적으로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자가 브랜드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수록 매장방문과 구매를 자주 할뿐만 아니라 구매액도 높고, 전반적인 만족도도 높아서 패션 명품 브랜드들이 고객과의 관계유지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제조국이 다른 명품에 대한 소비자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명품 구입시 제조국을 확인한다는 소비자가 더 많았다. 제조국이 다른 명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패션 명품 브랜드들이 제조국을 개도국이나 저개발국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견해가 우세해서, 실제 소비자들의 제조국이 다른 패션 명품에 대한 경험과 이러한 제품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제조국이 다른 명품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태도 변수로는 ‘제조국이 다른 명품에 대한 부정적 평가’, ‘제조국이 다른 명품 의류에 대한 부정적 신뢰’, ‘제조국이 다른 명품에 대한 구매지속의지’, ‘제조국이 다른 명품이 있는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지각 변화’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 명품속성, 과시소비성향, 가격민감성, 브랜드 관계 및 구매 경험의 하위차원들이 부분적으로 종속변수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각의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금씩 달랐으며, 원산지가 다른 패션 명품에 대한 태도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격민감성’과 명품 속성 중 ‘원산지의 선진문화성’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