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의 관계 연구

Title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Service and Spirituality
Authors
박현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이
Abstract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Yearbook of Social Welfare Volunteer 2004, 76% of the volunteer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believe in a religion-the ratios of religious groups are as follow: Protestants 34%, Catholics 21%, Buddhists 19%, others 2%. The religious group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ocial volunteer services in Korea. However, in comparison to the other countries, the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service and spirituality are quite a few in Korea. The studies of relationship between ministry satisfaction and spiritual maturity of the volunteer workers in Indonesian churches in Southern California (Tan, 1995), and the spirituality of the Jesuit Volunteer Corps (Hendry, 2002) documented thoroughly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service and spirituality.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explore spiritual rehabilitation through volunteer service by holistic perspective considering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in Korea. First of 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line and to stress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service and spirituality, and then, based on this survey, the possibilities of activating the volunteering into a device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survey questionnaires employing volunteer motivation-desire profile and spirituality well-being scale of 244 volunteers who were participated at the facilities of Young-Nak Welfare Organizations by quota sampling.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as done by the statistical method of t-test, One-way ANOVA for the group different level of variables, and Co-relation for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service and spirituality. The main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 The level of the motivation of a volunteer differs by age groups. Among the volunteers under the age of 30 the motivations of the social contact and the social exchange are high while the social responsibility motivation is low. On the other hand, within the age group of over 60, the social responsibility motivation is high whereas the social exchange motivation is low. The level of the job appropriateness differs by education of the participants, the number of the volunteers wi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s the highest. The number of the volunteers who graduated university is the lowest.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volunteer service relationship is the highest among the group of over 60 years old. The level of spirituality by volunteer service time and a regular interval volunteer activity are different. The longer is the volunteer service time and the longer regular interval volunteer activity result in the higher levels of spirituality. The relationship of volunteer service and spirituality significantly come out interwoven. The higher is the social service with the higher social responsibility motivation, the job appropriateness, and the satisfaction of worker's relationship for volunteer service indicates the high level of spirituality. These findings provide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s. Firstly, the method of volunteer management, and the supplement of volunteers in social welfare practices differs in great deal according the age of the volunteer and varies in motivation. The agency of social welfare is asked to prepare adequate compensation method, and social support. Secondly, to develop the job appropriation, the workers of volunteer service should design a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volunteers and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Thirdly, volunteer service is useful for the old as spiritual training and leisure as supported the statistics. Lastly, to find supplement of volunteers, social welfare agency and religious institutions need to develop a network and partnership.;『2004년 사회복지 자원봉사 통계연보』에서, 자원봉사자 종교별 현황은 개신교 34% · 종교 없음 24% · 가톨릭 21% · 불교 19% · 기타종교 2%로, 종교를 가지고 있는 자원봉사자가 76%로 종교가 없는 자원봉사자 보다 참여가 높다. 외국에는 자원봉사활동과 영적 성숙과의 관계(Tan, 1995), 자원봉사활동과 영성 변화에 관한 연구(Hendry, 2002) 등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전인적(holistic) 관점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영적 재활(spiritual rehabilitation)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연구의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 연구결과에 따라 자원봉사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여, 이에 따른 사회복지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영락보린원, 영락모자원, 영락애니아의 집, 영락 경로원, 영락 요양원, 영락가정봉사원파견센터 자원봉사자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통계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전체 자원봉사자 중 종교가 있는 자원봉사자가 72.5%, 종교가 없는 자원봉사자가 27.5%로 종교가 있는 자원봉사자의 참여가 높았다. 학생 자원봉사자가 38.5%, 주부30.7%, 사무직 25.4%로 학생의 참여가 높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자원봉사활동(자원봉사활동 동기, 업무 적절성, 대인관계)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원봉사활동 동기를 살펴보면, 30대 미만의 자원봉사자는 경험 욕구 · 사회적 접촉 욕구 · 사회적 교환 욕구가 높고 사회적 책임감 욕구는 낮다. 반면 60대 이상의 자원봉사자는 사회적 책임 욕구가 높고 경험 · 사회적 교환욕구는 낮다. 자원봉사 업무적절성 인식 정도의 경우, 자원봉사자의 학력이 초등학교 졸업인 경우 업무 적절성 인식이 가장 높고, 대학교 졸업 이상인 경우 업무 적절성 인식 정도가 가장 낮다. 자원봉사 대인관계 만족도의 경우, 60대 이상의 자원봉사자가 동료자원봉사자 · 담당직원과의 관계 만족도가 가장 높다. 자원봉사자의 영성의 정도는 5점 기준으로 영성의 종교적 안녕이 평균 3.61, 영성의 실존적 안녕은 평균 3.79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종교유지기간이 길수록 영성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 일반적 특성별 영성의 정도 차이는 자원봉사 활동 기간이 길수록, 자원봉사활동을 정기적으로 하는 경우, 사회적 책임감 욕구가 높은 경우, 동료 자원봉사자와의 관계 만족이 높은 경우, 영성의 정도가 높았다.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 활동기간, 자원봉사 사회적 책임감 동기욕구, 자원봉사 업무 적절성, 자원봉사 대상자와 관계 만족, 자원봉사 동료와의 관계 만족, 자원봉사 직원과의 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영성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의 관계 연구를 통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현재 국내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의 심리적 측면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만족’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지만,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을 영성을 포함한 전인적 관점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영성 재활(holistic rehabilitation)을 논의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기관의 자원봉사자 관리 방법, 인력 충원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실천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우선 연령에 따라 동기 욕구가 차이가 있으며, 동기욕구에 따라 영성의 정도가 차이를 나타낸 결과를 토대로, 연령에 따라 적절한 보상 방법 · 사회적 지지가 요청된다. 30대 미만 자원봉사자의 경우 경험욕구 · 사회적 접촉 욕구 · 사회적 교환 욕구가 높고 사회적 책임감 욕구는 낮다. 이 경우 자원봉사자 관리 방법에 자원봉사자 모임, 사회복지기관 자원봉사 대상자 · 직원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 · 방법을 개발 활성화하는 것이 요청된다. 특히 20대 미만의 자원봉사자 경우 사회적 인정 욕구, 성취욕구가 높다는 연구결과에 바탕을 두고,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상 · 칭찬을 강화하여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자원봉사자가 자원봉사 업무가 자신의 적성에 맞다고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영성과 상관관계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원봉사 담당자는 자원봉사자의 역량과 적성에 맞는 업무를 담당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자와 의사소통 방법, 업무 적절성 평가 내용을 강화할 것을 제안한다. 60대 이상 자원봉사자의 경우, 사회적 책임감 · 자원봉사 대인관계 만족도 · 영성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자원봉사활동이 노년층의 여가활용, 영성수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자원봉사인력확충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를 정기적으로 오래할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성의 정도가 높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사회복지기관과 종교 기관의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원봉사자 인력 개발을 위하여, 종교기관과 유기적 · 정기적으로 협력을 강화하는 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한다. 그리고 호스피스 교육, 자원봉사 재교육프로그램에 영성 재활(spiritual rehabilitation)을 포함하는 내용을 개발 · 강화할 것을 제안한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