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7 Download: 0

혈액투석 치료 불이행 환자의 스트레스와 대처유형에 관한 연구

Title
혈액투석 치료 불이행 환자의 스트레스와 대처유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Treatment Related-Stressors and Stress Coping Methods of Hemodialysis Noncompliant Patients
Authors
허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Keywords
Noncompliance with hemodialysistreatment related-stressorsstress coping method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문실
Abstract
혈액투석이 발전되고 치료의 질이 향상됨에도 불구하고 혈액투석 치료 불이행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정서 사회적인 문제가 혈액투석 환자의 치료이행 행동과 건강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많은 선행 연구자들은 보고하고 있다. 특히 혈액투석 관련 스트레스와 대처유형이 치료 이행 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현재까지 혈액투석 치료 불이행 환자를 대상으로 한 혈액투석 관련 스트레스와 대처유형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혈액투석 치료 불이행 대상자의 혈액투석 관련 스트레스와 대처유형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여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 치료 불이행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투석 관련 스트레스와 대처유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2005년 4월 11일부터 5월 16일 동안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은 전국 31개 혈액투석실에서 지속적인 혈액투석을 받은 지 1년이 경과한 자로서 불이행 기준에 해당하며 본 연구를 이해하고 설문에 동의한 1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Baldree (1988)가 개발한 혈액투석 관련 스트레스 측정도구(Hemodialysis stressor scale; HSS)와 박주영(1995)이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유형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범위의 기술통계와 F/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Kruskal-Wallis Test, scheffe 검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혈액투석 관련 스트레스를 신체적 스트레스와 정서 사회적 스트레스로 구분하여 측정한 결과 정서 사회적 스트레스(3.1점±0.76점)가 신체적 스트레스(2.85 ±0.81점)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2. 연구 대상자들의 혈액투석 관련 스트레스를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 '투석을 계속 받아야 하는 것' (3.92±1.13점)이 가장 높으며, '음식을 마음대로 먹을 수 없는 것' (3.72±1.22점), '미래의 삶에 대한 확신이 없는 것' (3.57±1.32점), '물, 음료수 섭취를 제한하는 것'(3.56±1.24점), '투석시마다 주사바늘을 찌르는 것' (3.47±1.22점)의 순서로 나타나 상위 5위의 스트레스 항목 모두 ‘정서 사회적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3.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심미적 사고’(3.47±0.66점)이며 그 다음으로 ‘정서 중심 대처’ (3.06±0.58점), ‘문제 중심 대처’ (3.01±0.75점), ‘사회적 지지 추구’ (2.73±0.80점)의 순서이며, 대처유형의 문항별 순위에서 상위 5위 모두 ‘심미적 사고’로 나타났다. 4. 주당 투석 횟수가 2회 보다 3회인 경우에서 신체적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t=-2.043, p=.043),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정도가 낮음에 따라 혈액투석 관련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고(F=6.907, p<.001), 정서 사회적 스트레스(F=6.697, p<.001)와 신체적 스트레스(F=3.645, p=.007)가 모두 높게 측정되었다. 5. 연령과 문제중심 대처유형 간에는 역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r=.234, p=.002),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유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061, p=.041). 6. 원인 질병이 고혈압인 대상자가 당뇨나 기타 원인인 대상자에 비해 ‘문제중심 대처’유형을 많이 사용하였고(F=7.063, p<.001), 또한 원인 질병이 고혈압이 대상자가 기타원인인 대상자에 비해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유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5.006, p=.002), 7.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정도가 높음에 따라 적극적 대처유형인 ‘문제중심 대처’(F=3.685, p=.007)와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F=3.070, p=.018)를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8. 불이행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혈액투석 관련 스트레스가 낮아짐을 볼 수 있고(x2=7.456, p=.024), 정서 사회적 스트레스 경우 불이행 선정기준 3가지 모두 해당하는 대상자(17.00)가 1가지 해당하는 대상자(92.69)보다 낮음을 볼 수 있다(x2=7.078, p=.029). 9. 혈액투석 관련 스트레스와 대처유형 간에 순상관의 관계가 나타났고(r=0.191, p=.011), 혈액투석 관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심미적 사고’ 대처유형을 많이 사용함을 볼 수 있고(r=0.273, p<.001), 특히 신체적 스트레스보다(r=0.159, p=.034) 정서 사회적 스트레스가 ‘심미적 사고’ 대처유형과 순상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r=0.282,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혈액투석 치료 불이행 대상자는 정서 사회적 스트레스가 높으며 이에 따라 ‘심미적 대처’유형을 사용함으로서 질병과정에 부적응적이고 소극적인 대처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 간호사는 환자의 불이행 정도를 판단하고 평가함으로써 불이행 행동에 영향을 주는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정서 사회적인 요소를 간호중재에 활용해야 한다고 본다. 스트레스에 소극적 대처를 하는 대상자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이 낮으므로 만성신부전과 같이 평생동안 치료와 관리가 요구되는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는 보다 적극적인 대처유형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개별적 간호중재가 요구된다고 본다.;It is reported by many previous investigators reported that, despite that hemodialysis is developed and the quality of treatment is improved, hemodialysis noncompliant patient is being increased and psychosocial problems give large influences on treat compliance action and the result of health in hemodialysis patients. Particularly, hemodialysis treatment-related stressors and stress coping methods influences on the treatment compliance action but there has been no study conducted on hemodialysis treatment-related stressors and stress coping methods in hemodialysis noncompliant patients. Therefore, the author conducted a study on hemodialysis treatment-related stressors and stress coping methods in hemodialysis treatment noncompliance subjects so a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emodialysis treatment-related stressors and stress coping methods in hemodialysis noncompliant patients and it was conducted from 11 April to 16 May 2005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with use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Survey was conducted to 198 patients that received continuous hemodialysis in one of 31 hemodialysis centers in the Korea, met the standard of noncompliance, understood the study, and agre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Hemodialysis treatment-related stressors measure instrument (Hemodialysis stressor scale; HSS) developed by Baldree (1988) and stress coping style measure instrument developed by Joo-Young Bahk (1995) were used in the study.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SPSS 12.0 program; actual numbers, percent, mean, standard deviation, range descriptive statistics and F/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Kruskal-Wallis Test, and Scheffe's test were used. The result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hemodialysis treatment-related stressors were divided into physical stressors and psychosocial stressors, psychosocial stressors (3.1±0.76) were higher than physical stressors (2.85±0.81). 2. When the hemodialysis treatment-related stressors of subjects was analyzed by item, 'Length of treatment' (3.92±1.13) was the highest and it was followed by 'Food limitation' (3.72±1.22),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3.57±1.32), 'Fluid limitation' (3.56±1.24), and 'Difficult arterial-Venous sticks' (3.47±1.22); it was found that all the higher five items belong to 'psychosocial stressors'. 3. The most frequent method among the stress coping methods of subjects is 'aesthetic thinking' (3.47±0.66) and it is followed by 'emotional coping' (3.06±0.58), 'problem-focus coping' (3.01±0.75), and 'social support pursuit' (2.73±0.80); in terms of rank by item of stress coping methods, it was found that all the higher five items belong to 'aesthetic thinking'. 4. Subjects with three times of dialysis a week showed higher physical stressors compared to those with two times of dialysis a week (t=-2.043, p=.043); when subject recognition of health status was low, hemodialysis treatment-related stressors (F=6.907, p<.001), psychosocial stressors (F=6.697, p<.001), and physical stressors (F=3.645, p=.007) were found to be high. 5.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ges and problem-focus stress coping methods (r=.234, p=.002), and female subjects, compared to male subjects, more frequently used 'social support pursuit' coping method (t=-2.061, p=.041). 6. In terms of causative disease, subjects with hypertension, compared to subjects with diabetes mellitus or other causative diseases, more frequently used 'problem-focus coping' and 'social support pursuit' stress coping methods (F=5.006, p=.002). 7. It was found that, when subjective recognition level of health status was high, 'problem-focus coping' (F=3.685, p=.007) and 'social support pursuit' coping (F=3.070, p=.018), which are positive stress coping method, were frequently used. 8. It was found that hemodialysis treatment-related stressors was low (x2=7.4560, p=.024) with elevating noncompliance level and, in case of psychosocial stressors, stressor scores of the subjects belonged to three noncompliance selection standards (17.00)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subjects belonged to one noncompliance selection standard (92.69). 9.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hemodialysis treatment-related stressors and stress coping style (r=0.191, p=.011) and it was found that 'aesthetic thinking' stress coping style was more frequently used with elevating hemodialysis treatment-related stressors (r=0.273, p<.001); particularly, psychosocial stressors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aesthetic thinking' stress coping style compared to physical stressors (r=0.159, p=.034) (r=0.282, p<.001). In the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subjects with hemodialysis treatment noncompliance show high psychosocial stressors, accordingly, uses 'aesthetic coping' style and shows noncompliance to disease process and negative coping. Therefore, hemodialysis nurses should utiliz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elements, which influence on noncompliance action, in nursing intervention through determination and assessment of the noncompliance level with patients. As the subjects with negative coping with stress have low ability to cope with stress, the subjects who require treatment and management for their life time, such as renal failure patients, would require individual nursing intervention for conversion into more positive stress coping sty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