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최애리-
dc.creator최애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7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96-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병원감염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환자와 가장 직접적으로 접촉이 많은 간호사들이 병원감염관리예방지침에 따라 정확히 인지하고 간호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병원감염관리의 질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5월 20일부터 31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서울소재 일개 종합병원의 간호사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동의한 27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보건복지부(2005)의 병원감염예방관리지침을 토대로 김봉희(2004)의 연구도구를 수정·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요로·호흡기·혈류 감염관리영역의 3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도구의 신뢰도는 인지도와 수행도 모두 Cronbach's α가 .96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5점 척도)의 평균 점수는 4.55점과 4.43점으로 모든 영역에서 인지도가 수행도보다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3.773, p=.000), 호흡기 감염관리 영역의 인지도(4.59점)와 수행도(4.43점)의 평균 점수가 다른 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감염관리 관련 특성에 따른 인지도와 수행도는 연령, 종교, 최종학력, 근무계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결혼 상태에 따른 인지도(t=8.170, p=.000) 와 수행도(t=1.306, p=.004)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위(F=3.59, p=.029)와 경력(F=8.47, p=.000)에 따른 인지도, 근무부서(F=5.878, p=.001)와 감염관리 교육경험(t=1.90, p=.031)에 따른 수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474, p=.000)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는 비교적 높았으나,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전체적으로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지도는 결혼상태, 직위,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기혼여성일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경력이 길수록 인지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수행도는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수술실 순으로 수행도가 높았으며, 감염관리 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수행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도와 수행도는 순상관관계로서 인지도가 높을수록 수행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의미 있는 결과는 인지도와 수행도의 관계가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므로 현재보다 인지도를 더 높일 수 있다면 수행도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은 원인을 분석한 후 병원감염예방을 위하여 전문화된 감염관리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인지도 및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좀 더 구체적인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대상을 확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며,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영역별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병원감염예방을 위해 환자 및 보호자는 물론 전체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병원감염관리 실태연구를 제언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nded to identify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of clinical nurse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course of study of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clinical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for 12 days from May 20, 2005 to May 31, 2005. The Instruments consisted of 59 questions which are based on the guidebook for preventive measures against nosocomial infection and Kim B.H.(2004)'s questionnaire. The value of Cronbach's α of each item of the questionnaire is .96, indicating good reliability. SPSS WIN 12.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real number, percentage, mean score,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t-test and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ean values of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was 4.55 and 4.43 respectively. The values of recogni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performance in all sections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values of respiratory infection management for recognition and performance took the precedence over others. Secondly,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ean values of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n the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n age, religion, school career, and department type. But in terms of marriage status, the mean values of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cognition level of nurse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 job level and career. Also, the perfomance level of nurse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 educational experience on the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nd department. Thirdly, the 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e result, it shows the level of recognition of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is higher that of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could find out what causes the big differences between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mong clinical nurses. Also, it is desirable to develop some systematic guidebooks for clinical nurses to better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nd give them effective and suitable education cour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Ⅱ. 문헌고찰 = 6 A. 병원감염 = 6 B. 병원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 13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설계 = 17 B. 연구대상자 = 17 C. 연구도구 = 17 D. 자료수집 방법 = 19 E. 자료분석 = 19 F. 연구의 제한점 = 2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감염관리 관련 특성 = 21 B. 대상자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 27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감염관리 관련특성에 따른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 42 D.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와의 상관관계 = 47 Ⅵ. 결론 및 제언 = 49 A. 결론 = 49 B. 제언 = 52 참고문헌 = 53 부록 연구참여 동의서 = 60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13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clinical Nurses about t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dc.creator.othernameChoi, Ae lee-
dc.format.pageⅵ,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