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동렬-
dc.contributor.author노여진-
dc.creator노여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4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7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445-
dc.description.abstract지금까지의 심리학에서는 건강한 정신을 가진 사람이란 현실을 있는 그대로 왜곡 없이 받아들이는 사람을 의미했다. 그러나 최근 정신 건강을 바라보는 심리학의 시각이 변화를 하고 있다. Taylor와 Brown은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지금까지 주장되어왔던 것과는 달리 자기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더 나은 개인적인 통제력을 가지며, 자신의 미래에 대해 낙관적으로 지각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이러한 입장에서 이들은 이것을 긍정적 착각 (positive illusion) 혹은 자기 고양적 편향 이라고 하였다. 귀인 이론에서는 사건이 일어난 원인을 내부에 두느냐 또는 환경에 두느냐에 따라서 행동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고 본다.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귀인 편향 중 대표적인 것인 자기 본위적 편향이다. 이는 사람들이 자신이 한 일 중에서 잘된 일은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는 내적 귀인을 하며, 잘못된 일은 그 원인을 다른 사람이나 상황에서 찾는 외적 귀인을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자기 고양적인 편향이 높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자신의 성공 사건에 대해서는 내적 귀인을 (가설 1), 실패 사건에 대해서는 외적 귀인을 할 것이다 (가설 2). 이 논문에서는 자기 고양적 편향과 귀인 양식간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여대생 328명을 대상자로 하여 자기 고양적 편향의 세 가지 구성요소, 즉 긍정적 자기 지각, 과장된 개인 통제력, 비현실적인 낙관주의와 사건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 양식 사이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자기 고양적 편향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긍정적 착각 도구를 사용했고, 귀인 양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귀인 상황 대본을 사용했다. 설문지 결과를 t-test와 상관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착각 수준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긍정적 사건에 대한 귀인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긍정적 착각과 긍정적 사건에 대한 귀인 점수 사이에는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착각 수준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부정적 사건에 대한 귀인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긍정적 착각과 부정적 사건에 대한 귀인 점수 사이에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기 고양적 편향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성공에 대해서는 내부 귀인을 통해 자신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며, 실패에 대해서는 외부 귀인을 해서 자신의 자존감을 유지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al style and positive illusion (self-enhancement bias) was examined. Three hundred twenty eight women university students were questionnaire assessed in their positive illusion, an indication of self-enhancement bias, and their attributional style in several hypothetical situ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 ⑴ In success situations, those with higher, in contrast with lower positive illusion, showed higher internal attribution. ⑵ However, in failure situations, the pattern was reversed: their the same internal attributional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with low positive il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with high positive illusion attempt to maintain their high self-esteem by attributing to self for successes and attributing to externals for fail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요약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긍정적 착각 = 5 1. 지나친 긍정적 자기 지각 = 6 2. 과장된 개인 통제력 = 8 3. 비현실적인 낙관주의 = 9 B. 귀인 = 11 1. 귀인 이론 = 11 2. 귀인 편향 = 13 ⑴ 자기 본위적인 편향 (self-serving attributional biases) = 14 Ⅲ. 연구 방법 = 16 A. 연구대상 = 16 B. 측정도구 = 16 1. 긍정적 착각(자기 고양적 편향) 도구 (Positive Illusion Questionnaire: PIQ) = 16 ⑴ 성격묘사에 관한 질문지 (Rating of Self and Others: RSO) = 17 ⑵ 사건에 대한 통제력 질문지 (Perceived Controllabi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PCPNE) = 18 ⑶ 사건 가발성(可發性)에 관한 질문지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Checklist: PNEC) = 19 2. 귀인 상황 대본 = 19 C. 연구절차 = 21 D. 자료처리 = 21 Ⅳ. 연구결과 = 22 A. 긍정적 착각 수준에 따른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귀인 양식의 차이 = 22 B. 긍정적 착각 수준에 따른 부정적인 사건에 대한 귀인 양식의 차이 = 22 C. 긍정적 착각 하위 요인과 긍정, 부정 사건에 대한 귀인간의 상호 상관 = 23 Ⅴ. 논의 = 25 참고문헌 = 32 부록 설문지 = 39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77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기 고양적 편향과 귀인 양식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 of positive illusions and attributional style.-
dc.creator.othernameRho, Yeo Jin-
dc.format.pageⅶ,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