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심혜원-
dc.creator심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5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7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514-
dc.description.abstract상담자 자기 성찰(reflection)은 상담자 전문성 발달의 핵심적인 기제라는 점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강조되고 있으나, 자기 성찰 개념의 모호함과 방대함으로 이 분야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자기 성찰 첫 번째 단계인 ‘문제 상황에 대한 인식’ 문제를 다루기 위해 상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상담자 자기 대화(self-talk) 내용을 분석하였다. 우선 상담자 자기 대화 범주와 차원을 보다 명확히 개념화하고 구분하기 위해 Nutt-Williams와 Hill(1996)의 평정 기준 및 Morran 등(1989)의 사고 범주 목록을 참조하여 상담자 자기 대화 평정 목록을 만들고 2명의 전문 상담자를 통해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상담자 자기 대화 평정 목록은 우선 상담자 자기 대화 초점이 어디에 맞추어졌는가에 따라 자기, 내담자, 상담 계획이나 의도, 그리고 기타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되고, 각각의 범주는 내용에 따라 다시 하위 영역으로 세분화됨으로써 상담자 자기 대화 내용을 보다 구체적이고 심도 깊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담자 자기 대화 평정 목록에 근거하여 상담자들이 실제 상담 과정에서 하는 자기 대화를 분석하고 발달 수준에 따라 자기 대화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상담자 불안 수준에 따라 자기 대화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혀보았다. 상담자 자기 대화 평정은 상담심리 전공 박사과정에 있는 2명이 실시하였으며 실제 평정에 앞서 평정자간 일치율을 확보하기 위해 예비 사례를 통해 .78의 Cohen Kappa(K)를 확보하였다. 우선 상담자 집단을 교육 및 상담 경력과 자격증 유무에 따라 초보, 중간, 숙련 세 수준으로 나누어 각 수준별로 상담자 자기 대화 자료를 수집한 후, 심흥섭(1998)의 상담자 발달 수준 평가 도구에 근거하여 발달 수준에 따른 자기 대화 내용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세운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상담자 발달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 대화 양이 많을 것이고, 상담 계획이나 의도와 관련된 내용의 자기 대화가 많을 것이다. 가설 2. 상담자 발달 수준이 낮을수록 상담자 자신과 관련된 내용의 자기 대화가 많을 것이다. 가설 3. 상담자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상담자 자신과 관련된 내용의 자기 대화가 많을 것이다. 가설 4. 상담자 불안 수준이 낮을수록 상담 계획이나 의도와 관련된 내용의 자기 대화가 많을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토대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상위 발달 집단이 하위 발달 집단에 비해 자기 대화 전체 빈도가 높고, 개입과 관련하여 상담자가 특수한 행동의 과정을 밟거나 특수한 치료적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자기 지시 형태의 자기 대화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담자 발달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 대화 양이 많을 것이고, 상담 계획이나 의도와 관련된 내용의 자기 대화가 많을 것이라는 가설 1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상담자 자신이나 자신의 언어반응 및 태도에 맞추어져 있는 자기 대화에서는 상위 발달 집단과 하위 발달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상담자 발달 수준이 낮을수록 상담자 자신과 관련된 내용의 자기 대화가 많을 것이라는 가설 2는 지지되지 않았다. 상담자 불안 수준에 따른 자기 대화 내용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불안 수준이 높을 때에는 내담자나 회기 내에서 내담자가 말하거나 행한 것에 초점을 두는 자기 대화를 선택할 확률이 높고, 불안 수준이 낮을 때는 개입과 관련하여 상담자가 특수한 행동의 과정을 밟거나 특수한 치료적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자기 지시 형태의 자기 대화를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그러므로 상담자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상담자 자신과 관련된 내용 자기 대화가 많을 것이라는 가설 3은 지지되지 않았지만, 상담자 불안 수준이 낮을수록 상담 계획이나 의도와 관련된 내용 자기 대화가 많을 것이라는 가설 4는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상담자 발달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상담자 불안 수준이 낮을수록 상담 과정에 충실히 머물면서, 풍부한 통찰과 문제 상황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해 상담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상담자 나름대로 계획이나 의도를 검토하는 자기 대화를 많이 활용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는 상담자 전문성 발달 과정에서 반드시 자기 성찰이 이루어져야하며, 이를 촉진하기 위한 교육 및 슈퍼비전 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Counselor's reflection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to develop the expertise of counselor. However, there are few empirical study about counselor's refle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counselor's self-talk to deal with the awareness about problem situation that is the first step in reflection. Fist of all, the self-talk coding system was developed from the coding system of Nutt-Williams and Hill(1996) and the category of thought of Morran et al.(1989). The self-talk coding system was coded by four categories of focus, and then the each category was classified by five sub-items. This study researched the differences of self-talk according to counselor's developmental and anxiety level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unselor of high developmental level will have many self-talks and will have self-talk about counseling plan and intention. Second, the counselor of low developmental level will have self-talk about self. Third, the counselor of high anxiety level will have self-talk about self. Forth, the counselor of low anxiety level will have self-talk about counseling plan and int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counselor of high developmental level had many self-talk than the counselor of low developmental level and had self-talk about counseling plan and intention. So, the first hypothesis was supported.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 in self-talk about self between the counselor of high developmental level and the counselor of low developmental level. So, the second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Second, when the counselor's anxiety level was high, there were high possibility that was selected self-talk about client. So, the third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However, when the counselor's anxiety level was low, there were high possibility that was selected self-talk about counseling plan and intention. So, the forth hypothesis was supported. conclusionally, counselor who is in high developmental and low anxiety level reflect the counseling process enough, and counsel effectively. So, professional reflection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while counselors have developed from novice to expert. So hereafter empirical studies on counselor's reflection should be made at various domains, and reflection process should actively be applied to counselor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or's experti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요약 = ⅳ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상담자 자기 성찰 = 5 1. 자기 성찰 개념 및 특징 = 5 2. 상담자 발달과 자기 성찰 = 8 B. 상담자 자기 대화 = 10 C. 상담자 발달 = 13 1. 상담자 발달 개념 = 13 2. 상담자 발달 모형 = 14 D. 상담자 불안 = 18 Ⅲ. 연구 방법 = 20 A. 상담자 자기 대화 평정 목록 개발 = 20 1. 상담자 자기 대화 평정 예비 목록 = 20 2. 예비 조사 = 26 3. 상담자 자기 대화 평정 목록 타당화 = 27 4. 상담자 자기 대화 평정 목록 확정 = 31 B. 상담자 발달 및 불안 수준에 따른 자기 대화 차이 연구 = 37 1. 연구 대상 = 37 2. 연구 도구 = 38 3. 연구 절차 = 39 4. 평정 = 40 5. 분석 방법 = 40 Ⅳ. 연구 결과 = 42 A. 인적 정보 = 42 B. 상담자 발달 수준 차이 분석 = 43 C. 상담자 발달 수준에 따른 자기 대화 차이 분석 = 47 1. 집단에 따른 자기 대화 빈도 분석 = 47 2. 집단에 따른 자기 대화 범주 차이 분석 = 47 3. 집단에 따른 자기 대화 범주 하위 영역 차이 분석 = 52 D. 상담자 불안 수준에 따른 자기 대화 차이 분석 = 57 Ⅴ. 논의 = 63 A. 논의 및 결론 = 63 B. 연구 의의 및 제한점 = 69 참고 문헌 = 74 부록 = 82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80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상담자 발달 및 불안 수준에 따른 자기 대화 내용의 차이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ifferences of Self-Talk According to Counselor's Developmental and Anxiety Levels-
dc.creator.othernameShim, Hae Won-
dc.format.pagev,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