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장 탱글리(Jean Tinguely) 작품에 나타나는 확장된 레디메이드 개념

Title
장 탱글리(Jean Tinguely) 작품에 나타나는 확장된 레디메이드 개념
Other Titles
The expended concept of Ready-made in Jean Tinguely’s works
Authors
박윤조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장 탱글리(Jean Tinguely, 1925-1991)의 작품을 뒤샹의 레디메이드 개념과 그것에서 도출되는 ‘차용’의 방법론을 통해 바라본 연구이다. 탱글리는 1955년 키네틱 조각을 시작으로, 여러 해프닝과 분수들과 같은 공공조각들, 그리고 공연을 위한 무대장치나 카니발 행사 참여와 같은 다양한 활동들을 전개하였다. 키네틱 아트나 누보레알리즘을 통한 기존의 접근들은 그의 작품의 복합적 특성을 설명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에 필자는 탱글리와 마르셀 뒤샹의 관계를 통하여 그의 작품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는 뒤샹의 레디메이드 개념이 20세기 미술사의 흐름을 바꿔놓은 담론으로서 탱글리가 일관되게 고수한 아나키즘적 사고가 미술사 속에서 그의 다다적 특성과 상통하며, 레디메이드가 탱글리에게 소재적 측면에서 뿐 아니라 작업관 전반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그 스스로도 뒤샹의 영향력을 공공연히 언급한 바 있듯이, 그들의 지속적인 교류는 이를 더욱 뒷받침한다. 2차 대전 이후 작가들은 30여년 이전의 뒤샹의 레디메이드 작업에 주목하면서, 그것을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받아들였다. 뒤샹이 시도한 일상용품의 무관심한 선택은 그들에게 있어서 ‘차용’의 방법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탱글리 또한 이를 삶과 예술 간의 새로운 관계 모색을 위한 가능성으로 받아들이고, 그 이면에 함축된 전복적이고 역설적인 태도를 작품 속에 반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탱글리 작품 속에서의 차용의 대상들은 크게 5개로 나뉘어지는데, 기존 미술사적 소산, 비물질적 요소들, 실제 시간과 기존의 공간, 그리고 관람자의 역할이 그것이다. 그의 차용 행위는 기존 작가들의 작품과 그 개념에 대한 패러디와 패스티쉬적 접근으로 행해졌고, 그로 인한 작가와 작품 간의 임의적 관계는 일상 속에서의 비물질적 요소들의 개입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는 역사적, 논리적 인과관계에 있는 개념적 시간과는 다른 차원, 즉 일상적 삶의 부분인 실제 시간까지 일종의 레디메이드로서 끌어들이게 하였다. 또한 이러한 일상의 흔적은 공간이라는 영역에도 적용되어, 그의 작품은 특정 장소에 대한 물리적, 문화적, 경제적, 역사적 문맥들과 관련된다. 이같이 차용된 다양한 요소들은 새로운 관객의 참여를 가져오면서, 관람자까지도 작품 속에서 즉자적 유용성을 지닌 레디메이드 개념의 극한으로서 차용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탱글리에 있어서 레디메이드 개념은 미술사적 흐름 속의 한 과정이자, 삶의 대한 직접적 언급이었다. 그것은 작가, 작품, 그리고 관람자를 둘러싼 모든 기존의 컨텍스트를 작품 내적 요소로 수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삶의 실존적 반영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그의 작업은 ‘레디메이드-이즘’, 즉 일상적 사물의 차용에 그친 것이 아니라 레디메이드 자체에 대한 언급이자, 그러한 경향의 전후(前後)를 아우르는 총체적 접근인 셈이다. 이처럼 탱글리는 뒤샹이 미학적, 사회적 기존 가치관을 거부하기 위해 제시한 레디메이드 속에서 오히려 ‘차용’이라는 새로운 미학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자율적 주체로서의 작가상과 주관적 표현으로서의 작품 개념이 허구임을 드러내는 동시에 예술작품이 그 시대와 장소의 조건들과 긴밀한 연관성을 지님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쓰여진 본 논문은 탱글리에 있어서 레디메이드가 기존 질서나 관습화된 가치를 넘어서는 자유에 대한 은유이자, 미술과 삶의 관계를 회복하는 계기로서, 그 개념이 확장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양한 매체로 구현되어온 장 탱글리의 작품을 뒤샹의 레디메이드 개념, 더 정확히 말하자면 그것에서 도출된 ‘차용’의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그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the work of Jean Tinguely (1925-1991) through the concept of Marcel Duchamp’s Ready-made and the technique of ‘appropriation’ deduced from the concept. Tinguely, who began his kinetic sculpting since 1955, produced numerous works, as he worked on several sculptures displayed in public, such as many performance events and fountains, and participating in the construction of performing stages and carnivals. However, it is somewhat difficult to explain the complex nature of his artworks by conventionally approaching them through Kinetic art or Nouveau Realism. That is why this author is trying to define his work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of Tinguely and Duchamp. The Duchamp’s inclination toward Dada and Ready-made, which changed the trend of the art history in the 20th Century, coincided with Tinguely’s anarchistic thinking, thereby influencing the overall work-idea of Tinguely as well as the themes of his artworks. Tringuely openly admitted how his work had been influenced by Duchamp, and their continued exchanges attested to the fact. Since the Second World War, many artists took the notice of the readymade works by Duchamp thirty years earlier, and embraced his concept to reflect the era. Duchamp’s indifferent use of everyday products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utilize the technique of appropriation. Tinguely also adapted it as a possibility to grope for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and art, so he was able to represent a subversive and paradoxical attitude in his work. In addition to this, the objects of his efforts to borrow from Duchamp’s technique of appropriation are largely divided into five, and they were existing art products, immaterial elements, the real time and existing space, and the role of audience. His acts of borrowing approached the works by the artists of the era and their concepts with parodies and pastiches, and thus the transient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 and his or her work made it possible to insert immaterial elements found in daily life. As a result, he was able to accommodate a dimension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time dimension, where the logical causal relationship exists, or to put it simply, the real time which makes up our daily life as a sort of the readymade element. He also applied the traces of daily life into the realm of space, so his work is related to the physical, cultural, economical, and historical context of a specific place. Accordingly, the borrowed elements brought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so he threw fresh light on it. One can, so to speak, find in his work that the audience is being appropriated as the utmost limit of the ready-made concept which is useful on its own right. To Tinguely, the concept of readymade-ism was a part of the art history, and was a direct comment about life. The attempt was his way to realistically reflect the life to accommodate all the existing context of the artist, his work and the audience as the innermost element of the work. In other words, his work was “readymade-ism”, that is, he did not stop at borrowing objects found in daily life, but his work went further by directing commenting on readymade-ism itself and including the before and after of the trend in totality. In this manner, Tinguely found new aesthetics of appropriation from the concept of Ready-made, which was proposed by Duchamp to deny the existing social and aesthetic values. Through it, he show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rtworks and conditions set by the time and place of their creation, while revealing the falsehood of the image of artist as the autonomous principal and the concept of work as the subjective expression. This thesis, which came about in this context, discovers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where, to Tinguely, “Ready-made” is a metaphor for freedom which overcame the existing orders or customized values and rest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life. This study is special because it provides a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 work of Jean Tinguely by analyzing his work, which was materialized in various types of media, through using the concept of Duchamp’s Ready-made, that is, the technique of appropriation to be more exa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