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미숙-
dc.creator정미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1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6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132-
dc.description.abstractHow is knowledge created? Recently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s the key source of competitiveness is emphasized and studied, but the mechanism and the causal relationship of knowledge creation have not been clearly explained yet. Research papers on knowledge creation have been published mainly in the areas of psychology and business administration. Nonaka studied knowledge creation based on learning theories that had been applied mainly in psychology. In this way, researches on knowledge creation are being made interdisciplinarily, but most of them are conceptual studies and few of them are empirical. Lack of empirical studies was also mentioned by several researchers. According to Argote (1999), there have been relatively frequent researches on knowledge retention and transfer within organizations but there are not sufficient empirical studies on knowledge creation. Moreover, research on the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 has been mainly focused on informal social mechanism but not much on formal knowledge creation mechanism. Thus, we made an empirical study on formal knowledge creation mechanism, expecting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in the field of knowledge management. In particular, this research used structured knowledge creation approach to examine knowledge creation mechanism. Structured knowledge creation approach means formal knowledge creation methodology institutionalized in organizations for problem solving activities. TRIZ is an example of such approach. TRIZ is systematic knowledge creation methodology designed for knowledge creation and problem solving using a database built through the analysis of 40,000 patents and scientific methods.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TRIZ so far. Thus, using TRIZ as an example of structured knowledge creation approach, this study examined how knowledge is created through generalizable structured knowledge creation methods. The research method was a two-phased combination of a qualitative method and a quantitative method. The case studies began from initial theoretical framework built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framework was refined and enriched through in-depth case studies at two research sites -- one in government-invested research organization and the other in private corporate research organization.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IZ, both are R&D organizations. The theory-testing phase tests the hypotheses generated from the resulting refined theory. Analysis was made on data collected from 356 TRIZ learning and application processes, which were execu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together with a web-based survey. The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techniqu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Hypothesis 1, predicting a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RIZ learning effect, is accepted (Γ=0.61, p<0.01). Hypothesis 2 which predicts a positive effect of learne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knowledge creation performance is supported (Γ=0.18, p< 0.05). In addition, Hypothesis 3 which forecast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ffects and knowledge creation performance is accepted (Γ=0.49, p<0.01). However, the predicted relationship between TRIZ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effects is not supported (i.e. H4). As predicted in Hypothesis 5, the data suppor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RIZ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creation performance (Γ = -0.15, p<0.05). As a whole, 4 out of 5 hypotheses are supported in this analysis. In addition to the basic model, moderating effects are tested according to whether to have a reward system, whether to have project tasks and whether to have problem-solving procedure using template tool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ll groups, suggesting that there are moderating effects. To test moderating effects, multi-group analysis under the equality constraint is used to test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prov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o have a reward system, whether to have project tasks and whether to use template too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k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지식은 어떻게 창출되는 것일까? 최근 경쟁의 핵심원천으로서 지식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연구되고 있으나, 지식창출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그 메커니즘과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밝혀진 부분이 많지 않은 현실이다. 지식창출에 대한 연구는 심리학과 경영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노나카(1994) 이전까지는 주로 심리학에서 다루어지던 학습이론을 응용하여 지식창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렇듯 지식창출에 대한 연구는 학제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개념적인 연구이며 실증적 연구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실증연구가 부족한 상황은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언급되었는데, Argote 등의 연구(1999, 2000)에 의하면 조직 내의 지식 유지와 전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이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지식창출에 대해서 특히 지식창출에 있어서 실증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지식창출 과정에 대한 연구는 비공식적인 사회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어 왔으며, 공식적 지식창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식적 지식창출 메커니즘에 대한 실증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지식경영분야의 연구 범위를 넓히는 효과를 기대한다. 특히 본 논문은 구조화된 지식창출 접근법을 사용하여 지식창출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는데, 구조화된 지식창출 접근법이란 조직 내에 제도화된 공식적 지식창출 방법론을 의미한다. 트리즈(TRIZ) 는 이러한 어프로치의 한 예가 된다. 트리즈는 4만 건의 특허를 분석한 데이터베이스와 과학적 방법에 기초해서 설계된 체계적 방법론으로서 문제해결과 지식창출을 위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식경영과 트리즈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지식창출 접근법의 한 예로 트리즈를 이용함으로써, 일반화 가능한 구조화된 지식창출 방법을 활용해서 어떻게 지식이 창출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측면을 살펴보면,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이 2단계로 결합되어 연구가 수행되었다. 질적 사례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구축된 초기 이론적 프레임워크로부터 시작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심층 사례연구를 통해 정제되고 충실화되었다. 연구 대상 조직은 두 개 조직이었는데, 각각 정부출연 연구조직과 사기업 연구조직으로 트리즈 특성상 모두 연구개발조직이었다. 이론검증 부분에서는 정제된 이론으로부터 만들어진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은 웹 기반 설문을 병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356개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기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이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학습자 개인특성은 트리즈 학습효과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학습자 개인특성은 지식창출성과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트리즈 학습효과는 지식창출성과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트리즈에 대한 학습자의 부정적 인지특성은 트리즈 학습효과에 부의 방향(-) 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트리즈에 대한 학습자의 부정적 인지특성은 지식창출성과에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6> 보상제도 유무에 따라서 집단 간 트리즈 학습효과와 지식창출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7> 교육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트 해결과정 포함 유무에 따라 집단 간 트리즈 학습효과와 지식창출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8> 교육방법에 있어서, 템플릿 툴 활용 유무에 따라 집단 간 트리즈 학습효과와 지식창출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학습자 개인특성과 트리즈 학습효과와의 관계를 예측하는 가설 1은 Γ = 0.61로 유의수준(p) 0.01수준에서 채택되었다. 학습자 개인특성이 지식창출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는 Γ = 0.18 (p< 0.05)로 채택되었다. 또한 학습효과와 지식창출성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는 가설 3은 Γ = 0.49 (p<0.01)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트리즈 인지특성과 학습효과와의 관계를 예측하는 가설 4는 기각되었다. 가설 5에서 예측되었듯이, 트리즈 인지특성과 지식창출성과 사이는 부적 관계로 지지되었다. (Γ = -0.15, p<0.05). 전체적으로 5개 가설 중에 4개 가설이 지지되었다. 기본모형에서 추가적으로 보상제도 유무, 프로젝트 해결과정 유무, 템플릿 툴 활용한 문제해결과정 유무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정했으며, 모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조절효과가 검정되었다. 조절효과 검정을 위해서는 동일화 제약을 통해 집단 간 경로계수 차이를 확인하는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상 유무, 프로젝트 해결과정 유무, 템플릿 툴 활용 유무에 대해 집단 간 경로계수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검정되었다. 연구 결과는 이론과 실무에 기여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 배경 = 1 B. 구조화된 지식창출 방법으로서의 트리즈 = 3 C.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4 II. 이론적 배경 = 7 A. 연구의 범위 = 7 B. 지식창출 메커니즘 = 8 1. 지식의 정의 = 8 2. 지식창출 메커니즘 = 9 3. 구조화된 지식창출 방법론 = 12 C. 학습과 전이모형 = 14 1. 교육훈련 전이모델 = 14 2. 학습자 개인특성 = 16 3. 상황 특성 = 19 D. 수용자 인지와 인지부담 극복전략 = 23 1. 복잡성 인지 = 24 2. 부적합성 인지 = 24 3. 인지부담과 교육훈련전략 = 25 E. 이론적 연구모형 = 30 III. 연구 설계 = 32 A. 연구 환경 = 33 1. 대상 조직 = 35 2. 심층 인터뷰 표본추출 = 37 B. 사례 연구와 질적 분석 = 39 C. 표본 조사와 양적 분석 = 41 D. 변수의 조작화 = 43 1. 학습자 개인특성 = 43 2. 트리즈 인지특성 = 46 3. 상황 특성 = 48 4. 트리즈 학습효과 = 49 5. 지식창출성과 = 50 E. 요약 = 54 IV. 사례 연구 = 55 A. 연구 범위 = 55 B. 학습자 개인특성 = 58 1. 학습 동기 = 59 2. 공학지식보유 정도 = 61 3. 창의적 성격 = 63 C. 트리즈 인지특성 = 65 1. 트리즈 복잡성 인지 = 66 2. 트리즈 부적합성 인지 = 67 3. 트리즈 유용성 인지 = 68 D. 상황 특성 = 71 1. 조직차원의 지원 = 71 2. 학습방법의 사례 활용 = 73 3. 학습방법의 정보시스템 활용 = 76 E. 학습효과와 지식창출성과 = 77 F. 요약 = 79 V. 연구 가설 = 80 A. 연구 배경 = 80 B. 학습자 개인특성과 지식창출 = 83 C. 트리즈 인지특성과 지식창출 = 85 D. 상황특성 조절변수 = 87 1. 보상제도의 조절효과 = 88 2. 교육방법의 조절효과 = 89 VI. 실증연구 = 92 A. 연구 개요 = 92 B. 설문 개발 = 93 1. 사전 연구 = 94 2. 웹 설문 개발 = 95 C. 자료 수집 = 96 D. 측정 = 97 E.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 101 1. 모형 진단 = 102 2. 모형 분석 = 104 F. 연구 결과 = 109 G. 조절변수 분석 = 112 1. 조절변수 분석 (1) &#8211; 보상 유무 = 113 2. 조절변수 분석 (2) &#8211; 교육방법: 프로젝트 해결과정 유무 = 115 3. 조절변수 분석 (3) &#8211; 교육방법: 템플릿 툴 활용 여부 = 118 4. 트리즈 인지특성과 학습효과 분석 = 120 H. 분석결과의 시사점 = 124 VII. 결론 = 128 A. 실증분석 논의 = 128 B. 시사점 = 133 1. 이론적 시사점 = 134 2. 실무적 시사점 = 135 C. 연구의 의의 그리고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 140 참고 문헌 = 143 부록 = 160 부록 1 &#8211; 인터뷰 대상자 리스트 = 161 부록 2 &#8211; 인터뷰 질문 가이드 = 163 Version 1: 심층 인터뷰 (부록 2-1) = 164 Version 2: 심층 인터뷰 (부록 2-2) = 166 부록 3 &#8211; 설문조사지 = 168 부록 4 &#8211; 트리즈(TRIZ)의 이해 = 181 ABSTRACT = 1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732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Knowledge Management, TRIZ, Learning, Knowledge Creation Performance-
dc.title트리즈 학습효과 및 지식창출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Determinants for Learning Effect and Knowledge Creation Performance of TRIZ-
dc.creator.othernameJung, Mee-Sook-
dc.format.pagexi, 19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