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애정가사의 범주와 성격 연구

Title
애정가사의 범주와 성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ategory and Property of Romance Gasa
Authors
김옥천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기옥
Abstract
By starting from establishing the concept and category of romance gasa, this thesis takes aim at, first, analyzing this kind of gasa from various respects like structure, expressional technique, and poetic narrator, and based on this analysis, it further goes into uncovering the status and literary implication of romance gasa among the genre of old Korean gasa. It is required to examine the whole gamut of works that belong to the so-called romance gasa in their diverse aspects, rather than to focus on a particular pie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mance gasa as it is. That is to say, it is necessary to do a research that can give an overview of romance gasa. To this end, we should, first of all, define the notion of romance gasa, and determine the category according to the definition. Chapter Ⅱ presents a general view of discussion, i.e., it defines the concept of romance gasa, and, from there, sets up its category. Prior to this, previous approaches to the concept and category are given, the result of which shows that the object and character of love are not well defined. In addition, they confuse the researchers in that they overlap the romance gasa with the boudoir gasa in categorizing them, in many cas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concept of romance novel and romance shijo, which are distinct genres dealing with the theme of 'romance,' is investigated in the first place, and then due to that investigation, the concept and category of romance gasa are to be provided. Chapter Ⅲ concentrates on the works that were categorized in chapter Ⅱ, and analyzes their structures and expressional techniques. It is evaluated to be an opportunity to consider a general world of works and their properties. The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romance gasa confirms that the romance gasa is distinct from the boudoir gasa. As for the expressional techniques, they are divided into the conventional expressions, variety of inserted elements, and interaction with the other genres, out of which some implication is attempted to be extracted. Chapter Ⅳ investigates the poetic speakers and the authors of romance gasa. Male narrators and dual narrators, who had not witnessed before in the romance poems, appeared in the romance gasa, and this phenomenon changed the existing tradition led by female speakers. By taking account of the fact that there are various speakers showing up within a single genre, the propensity of romance gasa is examined according to sexuality, viz., male, female, and dual speakers. This gives rise to realization of difference in men's and women's outlooks on love, and at the same time, it shows that how men and women are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recognition of love. Besides, onymous works, among others, are closely examined with regard to how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speakers get distinguished due to the authors' sexuality. It turns out that even one and the same female narrator is to be a bit distinctly represented according to who the writer is, i.e., male or female. Furthermore, when an author decides on a narrator, he or she should be under the influence of the society which he or she belongs to. Chapter Ⅴ looks into the status and implication of romance gasa, grounded in the analyses presented in the previous chapters. When attention is drawn to the works with known authors, romance gasa is a genre which was taking form in relation to the lied culture in the late 17th century. It was developed and spread in parallel with the boudoir gasa or the popular gasa in the same period. Consequently, there were more and more people who got to enjoy the romance gasa, which ended up with varied enjoyment areas. In the end, the romance gasa overtly expresses love between man and woman, which was tabooed in the Chosun era. This fact puts the romance gasa a step ahead of the gasa literature which kept to conservatism. On the other hand, an individual gets unleashed from the restraint laid upon him or her, and he or she can unveil his or her own feelings. In these regards, the romance gasa is said to be significant as a unique genre. This thesis has tried to inquire into the characteristics of romance gasa, as one of the genres, focusing on the structure, expressional technique, and poetic speaker, the whole study begins from positing the concept and category of romance gasa. There has been many thoughts that the romance gasa belongs to the boudoir gasa since there was no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However, the study of this thesis teases the romance gasa apart from the boudoir gasa, and the romance verse gets to secure a space as an independent gen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is newly established romance gasa from various phases, it could be realized that the romance gasa was a popular and common genre of literature that had been enjoyed by various people from manifold social strata. In this sense, the undertaking of this thesis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본고는 애정가사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는 것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아 애정가사를 구조, 표현기법, 시적화자 등 여러 측면해서 분석한 후, 그것을 토대로 하여 가사 장르에서 애정가사의 위상과 문학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애정가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정 작품에 치중된 연구에서 벗어나 애정가사에 속하는 전 작품을 다양한 측면에서 두루 살펴보는 것이 요구된다. 즉 애정가사 전체를 조명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애정가사의 전체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먼저 애정가사의 개념을 규정하고 그에 따른 범주를 확정하여야 한다. 논의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논의의 전체적 측면으로 애정가사의 개념을 규정하고 그에 따른 범주를 설정하였다. 애정가사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기 전에 먼저 선행 연구의 애정가사 개념과 범주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 애정가사의 개념을 규정할 때 애정의 대상과 성격이 명확하지 않을 뿐 아니라 범주화함에 있어서도 애정가사와 규방가사가 중복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연구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애정’이라는 주제를 다른 장르로 형상화시킨 애정소설과 애정시조의 개념을 살펴본 후, 그것을 토대로 하여 애정가사의 개념을 규정하고 그것에 따른 범주화를 시도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범주화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애정가사의 구조와 표현기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 작업은 애정가사의 전반적인 작품 세계와 특성을 살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애정가사 구조에 대한 연구는 애정가사가 규방가사와 다르다는 점을 확인시켜주는 작업이었다. 표현기법은 관습적 표현, 삽입 요소의 다양성, 타장르와의 교섭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것에 따른 의미를 추출하고자 노력하였다. 관습적 표현은 어휘의 관습적 표현과 구절의 관습적 표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삽입 요소의 다양성은 꿈의 삽입, 편지글의 삽입, 대화체의 삽입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애정가사는 다양한 장르와 교섭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잡가와 소설, 전대가사와의 교섭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애정가사의 시적 화자와 작가에 대해서 살폈다. 애정가사에는 전대의 애정시가에는 보이지 않던 남성 화자와 이중 화자가 등장하고 있는데, 이것은 기존의 여성화자 중심의 애정시가의 전통을 바꾸어놓은 것이다. 이처럼 하나의 장르 안에서 다양한 화자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애정가사를 남성화자, 여성화자, 이중화자로 나누어 화자의 성별에 따라서 작품의 성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하였다. 이것은 여성의 애정관과 남성의 애정관이 어떻게 다른지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동시에 애정에 대한 남녀의 인식의 차이를 살펴볼 수 있는 작업이었다. 그리고 애정가사 중 작가가 알려진 작품을 중심으로 작가의 성별에 따라서 시적 화자의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도 살폈다. 그 결과 같은 여성화자 작품이라도 작가가 남성이냐, 여성이냐에 따라서 그 성향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작가가 시적 화자를 결정함에 있어서 작가가 속해 있는 사회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이상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애정가사의 위상과 의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애정가사는 작가가 알려진 작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17세기 말에 가곡창 문화와 관련하여 형성되기 시작한 장르로, 같은 시기 규방가사나 서민가사의 형성과 맞물리면서 그 영역을 확대해나가게 된다. 그 결과로 애정가사를 향유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었고, 결국 향유공간도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애정가사는 조선사회에서 금기시 되던 남녀간의 사랑을 공개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가사 문학의 보수성에서 한걸음 나아가고 있을 뿐 아니라 개인에게 부과되어 있던 구속에서 벗어나 자신의 감정을 펼쳐 보여줄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장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논문은 애정가사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구조, 표현기법, 시적화자 등에 주목하여 애정가사의 장르적 성격을 고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애정가사는 규방가사와 확연히 구분되지 않아서 애정가사가 규방가사에 종속되어 있는 장르라는 인식이 많았다. 하지만 본고에서 애정가사와 규방가사를 분리해 냄으로써 애정가사가 독립된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게 하였다. 그리고 새롭게 설정한 애정가사를 대상으로 여러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애정가사가 다양한 계층의 다양한 사람들에 의해서 향유되어진 대중적이고 통속적인 문학 장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본고의 의미를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