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8 Download: 0

비정규직의 조직 내 사회심리적 갈등에 관한 연구

Title
비정규직의 조직 내 사회심리적 갈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ocial-Psychological Conflict for Irregular Workers in Organizations
Authors
정수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성남
Abstract
Amidst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re the entire labor force consisting of more than 50% of irregular workers is becoming almost a standardized for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d the societal mental state of discord within the organization between the regular workers that essentially hamper the participation of irregular workers. In addition, the constituents perpetuating this conflict will be examined, so as to address the possible resolution of the discord between the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and present as rudimentary material to unify the organization and point the way for future policy making in this specific area. Moreover, moving away from previously delved researches exposing the inferior employment conditions degrading the irregular workforce, the paper will rather focus on amplifying the specific discrimination and conflict that the irregular workers experience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ular workers and the organization, and further, scrutini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ssue. To do this, the examples from irregular workers within a business, in collaboration with a quantitative analysis were subsequently undertaken. Furthermore, a microscopic approach was taken to discover exactly how the irregular workers face-up to the conflict, how they come into friction with the regular workers, and what the factors fueling this process are, to try and unearth an answer to how we can come to a resolution to both improve the conflict for irregular workers within the organization and improve the consequent employment condition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questions posed by this thesis and the analysis of the depth interview. 1. Status of the Societal Mental State of Conflict for Irregular Workers The fractured relationship between the irregular and regular workers within an organization was accordingly broken down into moral, social standing/identity, business operations, and relational aspects. The highest degree of distress and state of conflict faced by the irregular workers turned out to be related to operations within the business, with relational, moral, and lastly social standing/identity aspects gauging in, in that order respectively. The irregular workers were not only suffering from discrimination arising from name labeling, discriminatory speech and behavior, and mistreatment as a inferior worker by the regular workers, but also having difficulties in being conscious of the very ‘rank’ that exists between the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In addition, the irregular workers face a type of isolation and exclusion because whereas the regular workers pursue interests promoting the focal interest for simply regular workers, they persist on rules and discrimination on the irregular workers. On a moral level, the regular workers arbitrarily exploit the human resource of the irregular workers and then intercept all the fruitful results of the operations carried out by the irregular workers themselves. Also, there seems to be a monopoly of powe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within a business by the regular workers. Overall, there is a low level of trust and bleak conditions for cooperationbuilding for the irregular and regular workers, with irregular workers becoming more and more hesitant to enter into human relations within the organization making future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 becoming ever more futile. To add to the difficulty of the situation, there is a lack of unity to work as a spokesperson in voicing out all the difficulties and conflicts for the irregular workers, and even though there may be a labor union, it mainly represents the interests of the regular workers which makes the irregular workers within a business the minority forcing individual outcries and no more. 2. Reasons For Mental State of Societal Conflict Of Irregular Workers To uncove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state of societal conflict for the irregular workers within the organization, several elements including the discriminatory conditions of employment created by various corporate policies, behavior of the labor union towards the irregular workforc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Falling under the category of corporate policies,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nature of the business operation were found to play large roles as influencing factors, with especially the nature of the operation being an important factor in almost all aspects of conflicts. This subsequently implies the possibility to improve the situation of the organizational conflict by promot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level for irregular workers in ways of corporate policies. With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both seemed to be the most reasonable factors of influence.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level impacted all aspects of conflict relationship including the general mental state of societal conflict, moral aspect, social standing/identity, and business operations, except the relational aspect. It was discovere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attained education for the irregular worker, the higher the level of conflict, which could imply the incompatibility of acquired knowledge and ‘lower-level’ work that brings on a feeling of a sense of severe limitation on one’s role within the organization. Other factors such as marriage, tenure, income level all played a part, but age and sex did not seem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contrast, the factor concerning the labor union typically affected the relational aspect, which implies the importance of the labor union in ties between the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In light of all these results, a resolution will be presented in trying to improve the conflict and discriminatory culture between the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within an organiz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the dissolution of conflict, the role of the organization is a sine qua non. As the results have shown, the satisfactory level towards business operations on behalf of the irregular workers can decrease the tension, which points to a need for various methods to service the inequality of the operational nature. Especially, a structured objective method of evaluation focused on assessment of pure operational results is needed, replacing the subjective evaluation dependent on the divisional manager. Also, mechanisms to regulate and prevent the various discriminatory practices and behavior towards the irregular workers within the organization are requir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wards the resolve of the conflict. Finally, in order for the labor union to increase solidarity between the regular and irregular workforce, a circumvention of representing solely the regular workers is necessary, along with an increased effort to positively reflect the problems incurred on the irregular workers. From the employees’ union stance, efforts to educate and publicize the regular workers on the conditions of discriminatory practices and employee conditions of the irregular workers are necessary to increase the awareness level between the two factions.;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비정규직이 전체 근로자의 50%가 넘어 전형적인 근로 형태로 자리잡아 가는 시점에서 비정규직의 조직 참여를 저해하는 핵심요소인 조직 내 정규직과의 사회심리적 갈등 현상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규명해 봄으로써, 앞으로 정규 비정규간의 갈등 해소와 조직 통합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효과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데 두고 있다. 기존 비정규직 관련 연구들의 비정규 노동의 열악한 고용조건 실태 고발에서 벗어나 비정규 노동자들이 조직 내 정규직과의 관계 속에서 경험하고 있는 차별과 갈등의 구체적인 모습을 알리고 그것들의 영향요인을 밝혀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사무직 비정규직의 사례분석과 양적 조사를 병행하여 살펴보았다. 그들이 실제로 조직내에서 어떠한 양상의 갈등을 겪으며 생활하는지, 어떠한 방식으로 정규직과 마찰하는지, 이러한 갈등을 야기시키는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미시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비정규직의 조직 내 갈등을 해소하고 근무여건을 개선시키기 위한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설문 조사 및 심층면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정규직 사회심리적 갈등 양상조직 내 비정규직과 정규직과의 갈등 양상을 크게 도덕적 차원, 신분정체성 차원, 업무적 차원, 관계성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비정규직은 조직 내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사회심리적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그 중에서도 업무적 차원에서의 갈등이 가장 갈등이 심한 것을 알 수 있으며, 관계성 차원, 도덕성 차원, 마지막으로 신분정체성 차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의한 호칭차별과 같은 동료로서 인정하지 않는 차별적 언행에 갈등을 느끼고 있었으며, 정규, 비정규 간의 비공식적 서열이 존재한다고 인식하며 특히 신분구별 현상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정규직이 정규직 중심의 이익을 추구하는 동시에 비정규직에게는 원칙을 고수하며 차별을 두는 데서 비정규직은 소외감을 경험한다. 정규직은 자신의 업무에 비정규직 인력을 임의대로 활용한 뒤 비정규직의 업무성과나 업무자원을 자신의 것으로 가로채는 비도덕적인 방법으로 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사내 정보의 정규직 독점이 이루어 지고 있다. 조직 내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관계는 서로에 대한 신뢰수준이 낮고 정규직과의 공동체 형성이 어려운 상태였으며, 조직 내 인간관계에 참여하기를 꺼려하게 되어 점차 정규직과의 관계 개선은 더욱 어려워진다. 비정규직의 조직 내 어려움과 갈등을 대변해줄 비정규직 조직도 부재한 상황이며, 노조가 있다 하더라도 정규직의 이익을 대변하기 때문에 현재 사무직 비정규직은 조직 내에서 소수로서 존재하며 개별적으로만 목소리를 내고 있다. 2. 비정규직 사회심리적 갈등 영향요인 비정규직의 조직 내 사회심리적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직 정책적 차원에서 야기되는 차별적 근로여건 들과 노조의 비정규직에 대한 태도, 개인적 특성 등 비정규직의 조직 내 갈등 구성 및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들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직정책 요인 중에서는 근무환경과 업무내용이 큰 영향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업무내용은 모든 유형의 갈등에 중요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비정규직의 근무환경을 개선시키고 업무 만족도를 높이는 조직정책 정비가 조직내 갈등 해소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개인적 특성 요인에서는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가장 설득력 있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교육수준 변인은 비정규직의 사회심리적 갈등 일반과 도덕성 차원 갈등, 신분정체성 차원 갈등, 업무적 갈등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성 차원에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고학력 비정규직일수록 정규직과의 갈등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하향취업으로 인해 학력과 맞지 않는 일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조직 내 역할에 한계를 느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결혼여부, 근속기간, 소득수준도 주요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지만, 연령과 성별은 유의미한 영향요인이 아니었다. 그에 비해 노조요인은 주로 관계성 차원 갈등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져 정규직과의 인간관계에 노조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조사 결과 분석을 토대로 조직 내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사회심리적 갈등을 개선하고 조직 내 비정규직 차별 문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조직 내 비정규직의 사회심리적 갈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직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처럼 업무 내용에 대한 비정규직의 만족이 정규직과의 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 요인임을 인식하고 조직 내 업무적 불평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부서 내 관리자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존하는 재계약 평가 기준을 개선하여 업무성과를 중심으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제도를 마련하는 등 구조적 뒷받침이 시급한 과제이다. 더불어 직장내에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적 행위에 대한 예방 및 규제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비정규직의 사회심리적 갈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노조가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의 갈등을 해소하고 연대를 현실화 시키기 위해서는 정규직 중심의 노조활동을 극복하는 것이 시급하며,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 더욱 긍정적이고 분명한 태도를 취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비정규직의 사회심리적 갈등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노동조합 차원에서 정규직을 대상으로 비정규직 실태 및 차별적 노동조건에 대한 교육과 홍보 활동을 실시하여 서로의 의식차이를 좁히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