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재영, 홍나영-
dc.contributor.author주혜나-
dc.creator주혜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6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8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복식의 전통양식이 완성된 조선시대 19세기의 일반복식 중 여자복식의 전개과정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복식의 형태적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19세기는 문예부흥기인 영 · 정조시대와 한국복식에 양장이 도입된 개화기 사이에 존재한 과도기적 시기로, 역사적으로는 순조(純祖) · 헌종(憲宗) · 철종(哲宗)의 3대에 걸친 잇따른 어린 왕의 즉위로 세도정치(勢道政治)가 시행되었고, 유교적 신분제의 와해 및 민중사회의 성장으로 사회 제반에 끊임없는 갈등과 혼란이 나타난 격동기이다. 이렇듯 사회적인 많은 변동과 갈등의 요소에도 불구하고 19세기에는 복식발달의 최고조를 이루며 일반복식에 있어서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세기에 해당하는 문헌자료 및 회화와 복식유물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동안 표면적으로 알려져 있던 19세기 조선시대 여자 일반복식의 실태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19세기 조선시대의 여자 일반복식 중 회화와 복식유물을 통해 분석이 가능한 두식(頭飾)과 의복(衣服)을 연구범위로 하였는데, 두식은 머리모양인 쪽찐머리와 얹은머리, 내외용 쓰개인 쓰개치마 · 장옷(長衣) · 처네[薦衣] · 삿갓으로, 의복은 저고리[赤古里] · 치마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쪽찐머리는 얹은머리를 대신하여 장려된 머리모양으로 궁중의 양식인 족두리(簇頭里)를 함께 착용하도록 규정되었는데, 가체금지 시행 직후인 18세기 말엽 양반여자와 기녀가 의례시(儀禮時) 쪽찐머리를 받아들였다. 당시 서민여자는 얹은머리를 하였는데, 이처럼 쪽찐머리의 시행이 다른 복식금제에 비해 빨리 성과를 본 데에는 상류계층의 신분구별의 욕구가 반영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의례가 아닌 일상의 풍속에서 쪽찐머리가 정착된 것은 19세기 후반의 일이다. 쪽의 형태와 위치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는데, 가체의 풍속이 있었던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는 쪽의 크기가 풍성하면서 그 위치가 어깨에 닿을 만큼 낮았고, 19세기 중반 이후 점차 자신의 두발을 사용하면서 부피가 줄어들고 위치도 차츰 올라가게 되었다. 얹은머리는 가체의 폐단으로 정조 12년(1788) 제도적으로 금지되었는데, 예외적으로 서민과 천민의 여자는 규제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19세기에 양반여자와 기녀도 의례를 제외한 일상생활에서는 얹은머리를 지속하였고, 가체가 한창 성행하였던 19세기 초에는 그 부피가 매우 커졌다. 19세기 중반 이후 양반여자와 기녀가 일상생활에서도 점차 쪽찐머리로 전환하게 되면서 얹은머리는 서민여자에 의해 지속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얹은머리의 형태도 다양하게 발달하였다. 특히 머리 앞에서 둥글게 올린 형태는 20세기까지 그 풍속이 이어졌다. 조선시대는 엄격한 내외법(內外法)의 존재로 부녀자들의 외출시 내외용 쓰개가 사용되었다. 내외용 쓰개는 쓰개치마 · 장옷(長衣) · 처네[薦衣] · 삿갓이 있었는데, 19세기에는 신분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장옷이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장옷은 일반적으로 녹색 겉감에 백색 안감을 사용했으나, 19세기 말에는 자색 장옷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19세기 장옷은 깃과 고름 등 구성요소의 색상을 길과 이색(異色)으로 하지 않고 동색(同色)으로 하기도 하였으며, 형태적으로 직령교임(直領校任)보다 맞깃의 장옷이 많이 나타나 쓰개로의 정착을 살펴볼 수 있다. 저고리[赤古里]는 조선중기부터 시작된 단소화(短小化)가 19세기에 이르러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한 세기 동안 각 부위의 치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었으며 구성요소는 작아지면서 곡선적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19세기에 널리 유행한 당코깃저고리는 조선 중기 목판깃으로부터 변모하여 19세기 초 · 중반에 날렵하고 유연한 형태를 갖추었다. 저고리의 종류에 있어서 19세기에 신분에 관계없이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반회장저고리였으며, 삼회장과 민저고리는 상대적으로 그 비중이 적었다. 치마는 저고리 단소화에 따라 길이가 길어졌고, 속옷을 겹겹이 입어 둔부를 풍성하게 강조하는 등 상체에 밀착된 저고리와 대비를 이루었다. 19세기의 일상용 치마는 끌치마 · 거들치마(거둠치마) · 두루치 · 행주치마가 있었는데, 끌치마는 특히 의례용으로 착용하였다. 일상생활에서는 거들치마를 가장 일반적으로 착용하였는데, 거들치마는 치마를 올려서 끈으로 묶어 여성미와 활동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었다. 19세기에 치마의 여밈 방향은 신분에 따라 다른 양상이 나타났으나, 19세기 중반 이후 점차 왼여밈으로 정착되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조선복식의 완성기인 19세기 여자 일반복식의 전개과정 및 형태적 특징을 구체적 사례와 분석을 통하여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앞으로 남자 일반복식의 연구를 통하여 19세기 일반복식의 실태를 총체적으로 비교 ·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 shapes of women's everyday clothing, ornaments, and hairdos in 19th century Chosun Dynasty of Korea. This is the period where the mode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was established. As fo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imes, it comes between a renaissance of culture and art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 (英祖, 1724-1776) and King Jeongjo (正祖, 1776-1800) an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dress during Korea's modernization period from 1894 to the 1910s. Korea's 19th century was a period of social upheaval when making young kings powerless―Soonjo (純祖, 1800-1834), Heonjong (憲宗, 1834-1849), and Choljeong (哲宗, 1849-1863)―a handful of people in power dominated politics, the Confucianism-based social class system started dismantling, and there was continued conflict and disorder in every aspect of society amid the rise of the general public. Despite the 19th century social unrest, traditional costume reached the summit in development with ordinary clothes becoming similar to modern on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volution of women's wear and hair styles and their usage, this study examined paintings and the relics of clothing and ornaments from the 19th century as well as related research. Among other items for women, particularly hair styles, outer garments, and veils developed in the 19th century. Hair styles were largely divided into zokjin meori and unjen meori. Women's veil included a sseugae-chima (skirt-shaped veil), a jang-ot (長衣, cloak-shaped veil), a chone (薦衣, padded veil), and a satkat (conical bamboo rain-hat). In outer garments, women's basic wear of a jeogori (赤古里, jacket) and a chima (skirt) changed much. Zokjin meori was encouraged to make in place of previous unjen meori. Women had to wear a jokduri (簇頭里, a black silk crown with beads, originally allowed in the royal palace. However, its adoption varied between classes, starting with the nobility and female entertainers right after the ban of the extravagant gache (headpiece like unjen meori). Common women began to accept it in the 19th century. It was, however, the late 19th century that zokjin meori became common practice. Over time, it underwent formative changes; in the early 19th century, its volume was exaggerated with gache still remaining; as more women used their own hair for the style, it was completed as what is now known as zokjin meori. Unjen meori was prohibited by law in 1788 because of its vice, but common and low-class women were exempted from the rule. Still, noble women and female entertainers were doing unjen meori except on special occasions, the volume of which ran to an extreme in the early 19th century. It gradually disappeared after the mid 19th century among the noble and female entertainers, who turned to zokjin meori. It was maintained by common women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and in the process a unique type was developed. Veils were needed in Chosun society to keep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opposite sexes. Women's veil were various: a sseugae-chima, a jang-ot, a chone, and a satkat. The jang-ot was commonly worn regardless of class in the 19th century. Its color in this period was primarily green, sometimes purple and yellow. Depending on status, a different color or the same color was used for kit (collar), goreum (a set of two chest strips), and other parts. The jang-ot, evolved from men's long overcoat, was originally fastened with chest strips from two overlapped chests, but in the 19th century, mutually facing chests―a veil had no need to be fastened―were used, which tells it took root as a veil. The jeogori's shortening and narrowing trend since mid Chosun Dynasty was most evident in this century, bringing about changes in compositions such as the kit, sup (outer collar of a jacket), gyeotmagi (lower armhole with a different color), and goreum. Originated from a mokpankit (right-angle-tipped kit) and undergoing changes in shape, the dangkokit (curve-tipped kit) that prevailed in the 19th century came to take a sleek and rounded form. The sup became very small, and the gyeotmagi was absorbed in the lower curve of the sleeve as the side seams shortened and finally disappeared. Moreover, the banhwoijang jeogori (jeogori with a different color match for the goreums, kit, and cuffs) was widely worn with a variety of primary colors and color combinations. As for the chima, its length and silhouette gradually changed along with the shortening jeogori. Volume exaggeration around the hips that started in the late 18th century continued in the early 19th century, going downward in the mid 19th century, and almost disappearing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way of wrapping a chima differed depending on class and period.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e right hem overlapping the left one was prevalent and this has become the tra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sed concrete examples and analyses of them to find out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19th century―the establishment period of Chosun Dynasty costume―everyday clothing, ornaments and hairdos for women.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on men's costume of the same period be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neral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19th century costu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xiii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Ⅱ. 19세기 조선사회의 특징 = 7 A.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7 B. 신분제의 구조와 변화 = 8 C. 삼정의 문란과 농민운동 = 11 D. 천주교의 전래와 동학의 발생 = 13 Ⅲ. 19세기 조선시대 여자 일반복식 = 15 A. 두식(頭飾) = 15 1. 머리모양 = 15 가. 쪽찐머리 = 15 (1) 19세기 쪽찐머리의 정착과 전개 = 18 (2) 19세기 쪽찐머리의 형태적 특징 = 27 나. 얹은머리 = 32 (1) 얹은머리의 지속과 전개 = 35 (2) 얹은머리의 형태적 특징 = 40 2. 내외용 쓰개 = 45 가. 쓰개치마 = 45 나. 장옷(長衣) = 48 다. 처네[薦衣] · 삿갓 = 57 B. 의복(衣服) = 60 1. 저고리[赤古里] = 60 가. 19세기 저고리 치수의 변화 = 60 나. 19세기 저고리 구성요소의 특징 = 64 다. 19세기 저고리 종류의 특징 = 71 2. 치마 = 78 가. 19세기 치마 형태의 변화 = 78 나. 19세기 치마 여밈의 특징 = 80 다. 19세기 치마 종류의 특징 = 88 Ⅳ. 결론 및 제언 = 92 참고문헌 = 95 ABSTRACT = 101 부록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515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세기 조선시대 여자 일반복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veryday Clothing, Ornaments, and Hair Styles for Women in 19th Century Chosun Dynasty of Korea-
dc.creator.othernameJoo, Hye na-
dc.format.pagexiv,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