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Effects of Content and Pretask on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Mini-Lecture Listening Comprehension

Title
Effects of Content and Pretask on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Mini-Lecture Listening Comprehension
Other Titles
내용과 사전과업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 소강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전혜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tent familiarity and pretasks on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mini-lecture listening comprehension. A total of 92 participants from English language/literature and science education departments listened to two audio-taped cross-major lectures. Participants of each major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with respect to pretask type ― Partial Summary, Knowledge Map, and Prequestioning. They then completed an immediate recall test and a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composed of four different question types ― Topicalizing, Inferring, Completion, and Revision of Notes. After they took two types of assessment,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on the difficulties and strategies they used in academic listening. The results of the immediate recall tests, listening comprehension tests, and academic listening strategi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effects of content familiarity and pretasks in English lecture listening comprehension. While the immediate recall analysis did not show a discrepancy between students' content familiarity across majors, the pretasks partly uncovered different competence in specific subject areas. Tukey's HSD procedure, which was done to find differences in the main effects of pretask, showed that students recalled best in the Partial Summary pretask for the science lecture. As for listening comprehension tests, the study faile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s among two variables. The findings suggest that an appropriately offered pretask like Partial Summary could help students' understanding and retention of lecture content. With reference to the students' listening process, four question types were tested with two variables. The ANOVA repeated measure revealed that students got the higher scores in local listening question types, Completion and Revision of Notes, than in global question types, Topicalizing and Inferencing. However, none of the interaction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across major and topics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in difficulties and strategies in academic listening area. The majority of students from each major had more difficulties in following the lecture, note-taking, the phonological problems such as stress, volume, and speed rather than identifying the purpose and scope of lecture. The strategy used most frequently during the listening to the English-medium lecture was 'read the question items in advance (RQU)' followed by 'listen summarizing important points (SUM)' in both lectures across major.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shed further light on the effects of content familiarity and pretask in English lecture listening comprehension and serve as a springboard for more active research in the growing field of academic listening.;본 논문은 내용 친숙도와 사전과업이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매개 소강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참여자는 모두 92명의 영어 영문학과와 과학교육학과 대학생들로서 오디오 테이프로 녹음된 전공 간의 서로 다른 두 강의를 들었다. 강의를 듣기 전 참여자들은 부분요약, 지식맵, 사전질문제시의 세 가지 사전과업 집단에 임의로 속하여 사전과업 활동을 수행하였다. 전공 간의 강의에서 내용 친숙도와 사전과업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즉각회상시험과 듣기이해 시험 ─ 네 가지 질문형태 (주제 나타내기, 추론하기, 완성하기, 강의 노트 수정하기)로 구성되어 있는 사지 선다형 및 단답형, 을 통하여 듣기 이해를 측정하였다. 이해도 측정 후 자기보고 질문지를 통하여 영어매개 강의에 대한 일반적인 어려움과 듣기 이해전략을 조사하였다. 즉각회상시험 분석에서는 학생들의 전공 간에는 내용 친숙도를 보여주지는 못한 반면, 특정한 과목 영역에서 사전과업 효과가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사전과업사이에서의 차이를 밝히기 위한 사후분석 결과, 부분 요약 사전과업을 행한 학생들이 다른 과업들에 비해 과학 지문에서 전공에 관계없이 더 많이 기억하였다. 듣기이해시험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두 요인들 간의 유의미한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강의내용에 대한 부분요약 과업과 같이 강의 전에 적절하게 제공되는 사전과업은 학생들의 이해와 강의 내용기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질문형태를 통한 학생들의 듣기이해 과정에 관해서는 반복측정 결과, 주제잡기와 추론하기 등의 전반적 이해에 관한 질문보다 완성하기와 강의노트수정하기 등의 구체적 질문으로 구성된 질문형태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하지만 질문형태, 내용친숙도, 사전과업 사이의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학문적 듣기 분야에서의 어려움이나 전략 사용에 관해, 자기보고질문지를 통하여 전공과 내용 간에 차이를 빈도분석과 카이제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각 전공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강의 목적이나 범위를 밝히는 면에서 보다는 강의 따라잡기, 노트필기와 강세 등의 음운학적인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전략 사용면에서는 '문제항목을 미리 읽어보는 것'이 가장 자주 쓰이는 전략이었으며, 그 외에 '중요 요점 요약하기' 등의 전략을 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한 교육적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제안 등이 제시되었다. 이 논문은 영어 강의이해에서 내용친숙도와 사전과업의 효과를 조명함으로써 점차 증가하고 있는 학문적 듣기 연구 분야에서의 활발한 연구를 위한 도약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