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한국과 일본의 고용보험제도 고용유지 및 고용창출사업 비교 연구

Title
한국과 일본의 고용보험제도 고용유지 및 고용창출사업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mparison of Korea and Japan Job Keeping and Creation in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Authors
박유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Korea started to experience usual restructuring and jobless growth,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and entailed instability in employment is getting serious. To overcome such a crisis, the preparation for the keeping and creation of employment conditions is required to be made, not running counter to flexibility in the labor market.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actually, is used as a means to secure employment stability and flexibility in Korea. In particular, diversified programs introduction is pursued for keeping and creation of employment. The efficacy of the current programs to keep and create employment, however, is not recognized, owing to very low payment records. The quality of created jobs is low. This paper is to identify what tasks exist to improve any problems to achieve the project's original goal, which is the keeeping and creation of employment, focused on the employment stabilization programs and part of unemployment benefits program. Regarding job keeping programs, the effect of this system differs depending on who is the target to be subsidized. How to utilize firms, disadvantaged people and regions is important to the success of employment creation programs. The framework for analysis in this paper was classified into business owner support and worker support, based on support target, in terms of job keeping, and also classified into firms, disadvantaged people and regions, based on target, in terms of employment creation. As detailed analytic content, in the case of business owner support, how strategies for employment adjustment support, jobless people support, reemployment support, disadvantaged people support and facility support would be utilized has been analyzed in terms of the job keeping. As for worker support, the strategy focused on the disadvantaged people was investigated, because employment security of workers could be realized by directly supporting the income of them. Concerning the creation of employment, how the strategies for employment adjustment, professional personnel, business types, facility equipment and business start-up were utilized in the case of targeting firms. In the case of targeting disadvantaged people, an analysis was made by categorizing them into aged people and other disadvantaged people. In the case of targeting regions, detailed strategies were divided into general regions, disadvantaged people and professional personnel and then analyzed corresponding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licies, based on the said framework to analyze, regarding business suspension in Korea, which is one of the strategies sustain and adjust employment, supporting period was rigid, and income compensation was not properly conducted. Also, outplacement services was carried out without a clear reemployment guarantee requirement for jobless people. The supporting period for employment keeping of disadvantaged people was short and its effect was low. In creation of employment, the target was limited and the supporting period was short for creation of constant employment opportunities. The supporting level or supporting period strategies were not properly utilized. In the case of Japan, the supporting period for business suspension was flexible and income compensation was clearly regulated in terms of employment adjustment. In the reemployment guarantee factor for jobless people, workers' employment security was pursued. For the employment keeping of disadvantaged people, the supporting period was longer than Korea. In terms of employment creation, various targets, such as regions, firms and disadvantaged people, were targeted. Also, supporting level and period were much better and longer than Korea. The supporting level and period were utilized as strategies and thus contributed to their activation. In this paper,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programs to keep and create employment in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s of Korea and Japan: First, when utilizing an employment adjustment strategy to keep employment in terms of business owner support, the employment security of workers can be enhanced and workers' getting another job can be easier if training is combined in the policy design. The effectiveness of firm's employment keeping needs to be raised by flexibly applying the payment period. Above all, if business suspension that adjusts the number of working hours or a means of reducing working hours is utilized, the concerned business owner should pay adequate allowances by regulation. The utilization of an employment agency or entrustment to a specialized consulting agency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intervention for business owners to utilize employees changing occupation, so that incumbent employees can get an employment again without being unemployed. In this case, a condition that subsidy is provided only when a job was obtained again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should be prescribed, so that successful reemployment can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n incentive needs to be provided to business owners that employ workers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raining the target to be reemployed is undertaken by the business owner who employed a new worker, the provision of training incentives is required. In the case of employment keeping of the disadvantaged people with the support for business owners, employment security should be pursued by using a strategy targeting aged people, women and seasonal workers. The employment keep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currently difficult in Korea, considering that many workers are seasonal workers. An introduction of an employment subsidy supporting system within the employment stabilization program is needed for employment keeping of the seasonal workers engag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 continuance of the employment keeping of disadvantaged people, it needs to support longer periods than other programs. For employment keeping of women (or men who nurture babies), a system to enhance recognition on the temporary suspension of work for baby rearing system should be devised. Not only through this system, but also through solving family problems, constant employment sustainment during life needs to be performed. The aged people or women can bring employment sustainment through a guarantee of their income from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so that they can use time flexibly. Secondly, the employment keeping for disadvantaged people can enhance efficacy through direct income compensation of workers by directly supporting the workers. In addition, it is demanded to execute the support by expanding it to the workers with lower employment induction. At the time of discussing a wage peak system, the wage compensation for aged people becomes an important issue; thus, a plan to expand the incumbent employee's salary to aged people can be considered, so that lowered wage of the aged people can be compensated. Thirdly, for creation of employment targeting firms, a start-up supporting system and a supporting system for the employment of start ups should be drawn up within employment stabilization program in Korea. Practical help to accomplish a start-up should be provided by supporting various items, such as occupation ability development expenses, facility and operation expenses in terms of support content. To promote employment in the business advancing into new business types, support from employment stabilization program needs to be provided targeting growing business types. To foster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SMCs), professional personnel needs to be employed. By subsidizing the employment expenses, cost savings should be realized to the SMCs. By combining business types and human resources, entry into growing business types should be made easy for SMCs. Namely, for them to enter into the growing business types and actively utilize the professional personnel simultaneously. Support needs to be extended to installation expenses for consulting or consultant employment, so that employment creation can take place by supporting installation expenses of facilities and equipment. Fourthly, when creating employment targeting disadvantaged people, the target, whose employment is difficult without subsidy, needs to be selected. It is also important to keep employment after creating the jobs. To do so, an employee reduction prevention period and a supporting period need to be formulated. Effectiveness can be enhanced by paying subsidies in at least two installments, rather than by paying lump sum amount. Especially, when the owners of SMCs utilize this system, a condition of preferential treatment should be prescribed. Also, in the case of target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employment, more incentives need to be provided by deferentially paying subsidies and providing supporting periods. Fifthly, to create employment targeting regions, objective criteria in selecting a region should be prepared. A mode in which a region applies first before the government selection should be taken, rather than the government selects a concerned region unilaterally. An employment opportunity of a specific target in the appointed region can be expanded by combining regions and specific target groups. As for regional employment creation, a requirement that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expenses need to be a certain amount or more should be formulated. Also, the jobs by which regional resources and the technologies of the target groups in the region can be utilized need to be created. The business owners' installation of a system that employees can seek guidance or advice should be made compulsory, and a close associ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cultivated.;IMF 위기 이후 한국은 상시적인 구조조정과 고용 없는 성장을 경험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한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고용유지와 창출의 여건 마련이 노동시장유연성을 거스르지 않고 조성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고용보험제도에서 고용유지 및 창출을 위한 핵심적인 사업이 고용안정사업이기 때문에 고용안정사업 내 유지와 창출을 위해 다각적인 프로그램 도입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고용안정사업은 그 지급실적이 매우 저조하여 실효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구직자나 기업의 호응도 낮고 창출되는 일자리의 질도 낮아 그 본래 목적인 고용유지와 창출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용유지 및 창출목적에 해당하는 한국과 일본 고용보험제도 내 고용안정사업과 실업급여(일본은 ‘실업등급부’)의 일부사업을 분석하고자 한다. 고용유지사업은 보조금을 직접적으로 지원 받는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제도의 효과성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고용창출사업은 목표대상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고용창출 성공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의 분석틀은 고용유지사업은 지원대상을 기준으로 사업주지원과 근로자지원으로 구분하고, 고용창출은 목표대상을 기준으로 기업, 취업취약계층, 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세부분석 내용으로써 고용유지사업은 기업주지원의 경우 고용조정지원, 이직자지원, 재고용지원, 취약계층지원, 시설지원 전략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분석하였다. 근로자 지원은 고용조정, 취업취약계층 전략의 구체적 제도운영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고용창출사업은 기업을 대상으로 할 때는 고용조정, 전문인력, 업종, 시설설비, 창업의 전략으로 구분하고,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할 때는 고령자와 기타취업취약계층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지역을 기반으로 고용창출을 하고자 할 때는 세부 전략을 지역일반, 취약계층, 전문인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상기와 같은 분석틀에 의거하여 정책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고용유지 고용조정 전략의 하나인 휴업에 있어서 지원기간이 경직적이고 소득보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직 근로자의 확실한 재취업 보장 요건 없이 전직지원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었으며, 취약계층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기간이 짧아 효과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또한 고용창출에 있어서 고용창출 대상이 지역을 배제하고 있어 제한적이고 지속적인 고용기회를 창출하기에는 지원기간이 짧고 지원수준이나 지원기간의 유인전략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했다. 일본은 고용조정전략의 하나인 휴업에 있어서 지원기간이 유연하고 소득보전이 확실하게 규정되어 있었으며 이직 근로자의 확실한 재취업 보장 요건이 있어서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꾀하고 있었다. 또한 취약계층의 고용유지를 위해 지원기간을 길게 두고 있다. 고용창출에 있어서 지역, 기업, 취약계층 등 다양한 목표대상을 타게팅하고 있으며, 지원수준이나 지원기간에 있어서 한국보다 훨씬 길고 지원수준 및 기간을 유인전략으로 활용하여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고용유지 및 창출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두 나라의 고용보험제도 고용유지 및 창출사업 비교 평가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고용조정 전략을 활용할 때, 훈련을 결합하여 지원해 주면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높일 수 있고 설사 해고가 되더라도 재취업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경제사정에 의해 고용유지조치를 활용하는 경우 지급기간을 유연하게 적용하여 고용유지의 효과성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근로시간수를 조정하는 휴업이나 근로시간단축 같은 방식을 활용할 경우 근로자의 소득안정을 위해 사업주가 적절한 수당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어야 한다. 특히 재직자가 실업 없이 재취업을 하도록 전직지원을 활용하도록 사업주에게 개입하는 과정에서 직업소개자를 활용하거나 전문컨설팅기관에 위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정 기간 이내에 재취업을 성공하였을 경우에만 지원을 해주도록 하는 조건을 두어 실질적인 재취업 성공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직시키는 사업주뿐만 아니라 일정기간 이내에 고용하는 사업주에게도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특히 새롭게 고용한 사업주가 훈련을 통해서 재취업대상자를 교육할 경우 고용정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상기해 볼 때 훈련에 인센티브를 주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업주지원으로 취약계층의 고용유지를 하도록 하는 경우 특히 고령자, 여성, 계절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략을 사용하여 고용안정을 도모해야 한다. 현재 한국은 계절근로자라고 할 수 있는 건설업의 고용유지가 어려운 실정이다. 건설업에 종사하는 계절근로자들의 고용유지를 위해 조속히 고용안정사업 내 이들을 위한 고용보조금 지원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취약계층의 고용유지의 지속성을 위해 다른 제도보다 더 긴 기간을 보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여성(혹은 육아를 하는 남성)의 고용유지를 위해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인식을 높이도록 하는 제도 마련을 하고 육아문제뿐만 아니라 가족의 문제를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생애에 걸쳐 지속적인 고용유지를 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고령자나 여성은 시간을 유연하게 사용하도록 고용보험제도에서 소득을 보장함으로써 고용유지를 가져올 수 있다. 둘째, 특히 취약계층의 고용유지는 직접적으로 근로자지원을 하여 근로자의 직접적인 소득보전을 통해서만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임금이 낮아 취업의 유인이 떨어지는 근로자로 대상을 확대하여 실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논의하고 있는 시점에서 고령자의 임금보전 문제는 중요해질 것이기 때문에 재직자급여를 고령자까지 확대하여 고령자의 낮아진 임금을 보조해 주는 방안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기업 대상 고용창출을 위해 한국은 우선적으로 고용안정사업 내 창업 및 창업 채용을 보조하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지원 내용에 있어서 직업능력개발경비, 설비·운영경비 등 다양한 항목을 지원하여 실질적으로 창업을 달성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신규 업종 진출로 고용 촉진을 하기 위해서는 성장업종을 대상으로 하여 고용기회를 창출하도록 고용안정사업에서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 전문인력을 채용할 필요가 있는데 채용비용을 보조해 주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또한 업종과 사람을 혼합하여 중소기업이 전문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성장업종 진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넷째, 취약계층 대상 고용창출 시 보조금 없이는 취업이 어려운 대상을 선정해 야 한다. 그리고 고용창출 후에 지속적으로 그 고용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감원방지 기간 및 지원기간을 적절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보조금 지급방식에 있어서 일시불로 지급하는 것보다는 2차례 이상으로 나누어 지급하는 방식을 통해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중소기업사업주가 제도를 활용할 경우 대기업보다 우대해 주는 조건을 두고 특별히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대상층의 경우 지원기간 및 지원액에 있어 차등지급하여 인센티브를 많이 줄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지역 대상 고용창출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선정에 있어서 객관적인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정부가 일방적으로 지역을 선정하기 보다는 지역에서 먼저 신청하면 그것의 인정을 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지역과 특정 대상층을 혼합하여 지정지역의 특정 대상의 고용기회를 확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의 고용창출은 지역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의 대상층들이 가진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사업주가 지도 및 조언을 구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하도록 의무화하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와의 연계가 긴밀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