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실-
dc.contributor.author김미선-
dc.creator김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9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6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96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1920~30년대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근대적 여성 주체의 특징을 밝힘으로서, 식민지 조선 사회의 소비문화가 신여성의 주체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동하였음을 밝히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에 본 연구는 1920~30년대에 발간된 여성잡지인 『신여성』, 『신가정』, 『여성』을 중심으로 하여, 그 중에서도 화장과 관련된 글과 광고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인 여성잡지를 역사 자료로 위치시키고, 역사적 · 사회적 맥락을 주목하면서 화장에 관한 새로운 지식과 진리가 구성되어지는 과정으로서의 ‘신식’화장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이었던 여성잡지는 조선의 근대화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이 습득해야 할 지식이 다르다는 인식 아래 제작되었으며, 근대와 관련된 언설이 구성되어지고 또 확대되어지는 담론적 장으로 기능하였다. 그 과정에서 근대의 일부분으로 소비문화를 가져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화장과 관련된 정보와 지식으로서의 글과 상품을 판매하려는 목적으로 가진 광고의 경계가 명확하게 나눠지기 보다는, 오히려 상호 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맥락 속에 위치한 여성잡지에 실린 화장과 관련된 글과 광고를 중심으로 구성된 ‘신식’화장담론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지 시대 남성 지식인들은 여성의 신체를 대상으로 하여 문명과 야만으로 이분화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언설은 여성의 아름다움에 관한 논의로 이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여성의 근대적인 아름다움은 과학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측량 가능하고 비교 가능한 것이라는 새로운 내용으로 변화되었다. 그 리고 아름다움에 관한 논의는 서구 여성을 기준으로 하여 전개되었으며, 건강미와 각선미와 같은 신체미는 부와 교육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여성의 아름다움에 관한 언설은 주로 남성지식인들에 의해서 담론화되었는데, 근대주의자와 달리 전통주의자와 맑스주의자의 언설은 대립적이지만, 여성을 알레고리 및 은유의 대상으로 만든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한편, 식민지 시대 여성의 아름다움은 ‘문명’과 ‘문화’와 연결된다. 여기서 등장하는 ‘문화사회’는 서구화와 동시에 대량생산이 가능한 자본주의 사회를 의미하는 것으로, 누구나 화장품이라는 상품 소비를 통해서 아름다움을 획득할 수 있는 사회를 의미한다. 그리고 교양과 예절의 의미를 갖는 화장은, 결국 상품 소비를 통해서 가능하다는 점에서 근대적 여성 주체는 소비를 통해서 구성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화장 행위가 구체적인 실천으로 옮겨지도록 하기 위한 근대적인 체계와 제도가 등장한다. 여기에는 화장품의 상품화와 산업화 그리고 화장의 전문화와 상업화가 전개된다. 근대 학문인 과학에 의해 화장품의 상품화가 가능할 수 있었으며, 화장품 광고 산업은 새로운 아름다움과 화장품에 대한 소비 욕망을 심어주는 것을 통해 여성들을 소비자로 구성하기 시작했다. 이와 동시에, 광고는 새로운 삶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나침반과 같은 역할과 함께 근대에 관한 새로운 감각과 정보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와 함께 화장은 전문적 · 상업적인 영역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는데, 1920년대부터 미용사와 미용원이 조선 사회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여성의 유망한 직업 중의 하나로 여겨진 미용사는 여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여성들이었다. 이들은 여성 잡지에 글을 투고하는 것을 통해 화장이 개성 표현과 자기 관리의 의미를 가지며, 유행하는 화장을 만들어나갔다. 이를 통해 화장은 대중적인 것으로 이해되는 기반을 마련하기 시작했으며, 궁극적으로 화장품 소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셋째,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여성 주체인 신여성은 근대적인 소비 공간의 이용을 통해서 소비하는 주체로 되어간다. 그리고 미용에 관한 정보와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은 개별화된 행위라는 점에서 근대적 여성 주체는 개별화된 소비 주체가 되어간다. 그러나 소비 주체는 근대에 관한 일정한 수준의 지식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특정한 계층의 여성들에게만 가능하였다. 이를 통해 ‘신식’화장담론은 여성을 구성하는 일부분으로서 아름다움을 구성하는 장치라는 점에서 일종의 젠더장치라고 볼 수 있다. 즉, 근대 사회에서 화장은 근대적 젠더를 구성하는 장치, 혹은 젠더를 관리하는 기술이었다. 이처럼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근대적 여성 주체로서의 신여성은 화장을 매개로 한 소비 주체가 되었으나, 신여성은 ‘생산’에 종속된 존재라는 점에서 사적화(privatized)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식민지 시대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새로운 여성 주체의 형성 과정에는 자본주의적 소비문화가 중요한 요소로 작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신여성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신여성의 특징으로 소비하는 여성 주체임을 밝혀냈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의 근대의 재현에는 여성이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즉 근대는 성별화된 담론 속에서 구축되어졌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담론을 생산하는 주체는 바로 식민지 조선의 남성 지식인들이었다. 여성이 ‘근대’나 ‘진보’를 표상하는 장소가 되었다는 것은, 여성에 대한 의미구성이 여성 자신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근대는 서구의 문명을 지향하고 있으며, 자본주의와 과학 기술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식민지 근대 사회에서 근대적 여성 주체인 신여성은 남성 지식인과 식민 권력 그리고 자본주의의 상호 작용 속에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대적 여성 주체인 신여성은 소비 주체인 동시에, 성별화된 주체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가 갖는 의의는 가부장제에 대한 억압과 저항의 측면에서만 접근되었던 신여성의 외모와 소비를 가부장제와 식민주의 그리고 자본주의 등의 총체적인 관계 속에서 설명했다는 점에서, 소비 주체라는 근대적 여성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탐구이자, 소비 주체가 구성되는 근대화의 초기 단계를 여성주의적으로 분석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 식민지 근대를 구성하는 축의 하나로 소비문화가 위치하고 있음을 드러냈으며, 신여성은 소비문화를 통하여 근대를 구성하고 매개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임을 보여주었다. 여성의 경험인 화장에 관한 논의를 통해 식민지 조선의 근대가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그것이 갖는 성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지배적인 미로 작용하는 서구적인 아름다움이 어떤 맥락 속에서 구성되기 시작했는지 그 출발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신여성에 관한 여성주의적 담론분석은 궁극적으로 역사라는 담론의 장에 개입함으로써 여성주의적 역사쓰기에 참여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한편, 본 연구는 여성잡지에 실린 자료를 일차적인 분석 대상으로 하였는데, 그 중에서 여성지『신가정』은 다른 여성잡지에 비해 접근이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어, 전체적인 흐름을 충분하게 보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this research,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subjects constructed by the 'neo' cosmetics discourses in the 1920s and 30s in colonial Chosun period. I argue that consumer culture in Chosun society under colonizat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onstructing the 'New Woman' subjects. I analyze articles and advertisements related to cosmetics and appeared in three major women's magazines in the 1920s and 30s - Sin yosung, Sin Gajung and Yosung. I attempt to situate the women's magazines as historical material with a focus on its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and to analyse the cosmetics discourse as a process of knowledge and truth making about cosmetics. M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ew concept of women's beauty was invented as a discourse by male intellectuals in the colony era, as its standards came from western world. Modern women should have modern looking, which were identical to western looking in the discourse. The modern beauty created in this discourse was something that is measurable and comparable to that of western women, and also that can be attained through the consumption of modern products. In this discourse, as women stood for culture and civilization, modernization of women's looks was considered central to modernization of Chosun society. Such civilized society was where any woman can attain new beauty through consumption. In such society, cosmetics were a symbol of high culture and etiquettes of 'modern women' and making of modern women subjects became possible through consumption of products such as cosmetics. Second, consuming subjects were central to the construction of modern women subjects, and cosmetics became a necessity. Cosmetics became commercialized, industrialized, and professionalized in order to make the practice mundane. The commercialization of cosmetics was possible through modern science, and cosmetics advertisement mushroomed for increasing women's consumption. Such advertizement cultivated women's desire for better looks and consumption as well as constructed new sense and information of modernity. A cosmetic professional was created as a new job for women and was limited to women's work. These were the women who had at least a women's high school degree, and they wrote various articles about cosmetics in women's magazines. These cosmetic professionals in colony er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cosmetics popular and in bringing further consumption of cosmetics. Third, New Woman, modern women subjects that were constructed by the 'neo' cosmetics discourse consumed cosmetics in modern public spheres such as departmental stores, cosmetic shops and women's magazines. By reading women's magazines at home, New Woman attained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cosmetics and expanded her networks through question and answer section on cosmetics. Through such activities, the women subjects became individualized consuming subjects. This shows that New Woman was an important actor in the modern cosuming culture, yet was limited by their dependency on modern production. Based on the 'neo' cosmetic discourse,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consumer culture of modern society was a central factor in making of new women subjects under colonization. The conceptualiz- ation of New Woman as consuming women subjects is a significant attempt as it fills the gap of the previous literature on New Woma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분석 대상 = 5 1. 연구 방법 : 역사 자료에 대한 담론 분석 = 5 2. 분석 대상 : 역사 자료로서 여성잡지 = 7 C. 분석 잡지의 성격 및 자료의 정치학 = 8 1. 분석 잡지의 성격 = 8 가. 『부인』과 『신여성』(개벽사) = 10 나. 『신가정』(동아일보사) = 12 다. 『여성』(조선일보사) = 15 라. 여성잡지 독자의 분석 = 16 2. 자료의 선별과 분류의 정치학 = 18 Ⅱ. 기존 논의 검토 및 이론적 배경 = 23 A. 식민지 시대 신여성 선행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23 B. 근대 사회의 소비문화와 여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 = 26 1. 근대성을 구성하는 소비문화와 광고 = 26 2. 근대 사회의 소비문화와 여성에 관한 페미니즘 연구 = 32 Ⅲ. 근대 여성과 여성미의 근대화 = 36 A.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등장 = 36 1. 문명과 야만의 기준인 여성의 외모 = 36 2. 측량 및 비교 가능한 여성의 아름다움 : 신체미의 부상 = 40 B. 문명에 의한 아름다움의 확대 = 47 1. ‘문화’로서 외모관리 = 47 2. 근대여성의 교양과 예절로서 화장 = 50 Ⅳ. 화장문화의 상품화/과학화/전문화 = 54 A. 화장품의 상품화와 산업화 = 54 1. 과학적 지식을 통한 화장품의 상품화 · 산업화 = 54 2. 여성을 소비자로 구성하는 화장품 광고 = 61 B. 화장의 전문화.상업화 = 67 1. 미용사와 미용원의 등장 = 67 2. 미용사의 사회적 역할 = 72 2.1. 개성 표현과 자기 관리로서 화장 = 72 2.2 유행화장 만들기 = 75 Ⅴ.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근대적 여성 주체로서 신여성 = 79 A. 화장품과 미용원의 이용을 통해 구성된 소비 주체로서 신여성 = 79 B. 개별화/구체화된 지식에 의한 주체성 확보 = 85 C. 신여성의 젠더기술(장치)로서 화장 = 90 Ⅵ. 요약 및 결론 = 96 참고문헌 = 101 1. 국내 문헌 = 101 2. 외국 문헌 = 108 별첨 : 연구자료 목록 = 110 1.『부인』 = 110 2.『신여성』 = 110 3.『신가정』 = 113 4.『여성』 = 115 5. 신문 및 기타 잡지 = 117 도판 = 119 ABSTRACT =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811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1920~30년대-
dc.subject여성잡지-
dc.subject‘신식’화장담론-
dc.subject신여성-
dc.subject소비문화-
dc.title1920∼30년대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신여성에 관한 여성주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Buy Cosmetics and You Shall Be Modern : 'Neo' Cosmetics Discourse and Construction of New Woman in Colinized Korea 1920∼30-
dc.creator.othernameKim, Mee Seon-
dc.format.pageⅵ,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