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2 Download: 0

우리나라 모피와 피혁 복식에 관한 연구

Title
우리나라 모피와 피혁 복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Costumes Made of Fur or Leather
Authors
안보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우리나라는 북방의 기마유목문화와 남방의 농경문화가 만나는 지역이다. 기후적으로 아열대에서 한대까지 다양한 기후 분포를 띠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리적으로는 북쪽에 유라시아 대륙과 연결되어 있고, 서쪽으로는 동양문화권의 핵인 중국과 연접하여 있으며 동·남으로는 일본 및 동남아 문화권과도 가까운 위치에 있다. 고대부터 스키타이 문화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는 초기에는 북방 유목문화적 성격을 띠고 있었으나 기원전 4세기경에 농경문화권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원시 고대에서 의료로 출발한 모피와 피혁은 계급의 지표·장식품· 방한용·국내외 관계에 있어 예물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활용되어 발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모피와 피혁의 착용이 어떠한 배경에서 비롯되었는지 밝히고, 우리나라에서 생산 및 사용되었던 모피와 피혁의 명칭·종류·산출·제작 방법·용도 그리고 이에 따른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우선 모피와 피혁을 착용하게 된 그 배경에 대해서 우리나라 자연환경적·사회문화적·심미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자연환경적 측면에서 보면 우리나라의 겨울은 특히 추웠으므로 모피와 피혁은 방한의 목적으로써 적합한 의료였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샤먼의 주술적 성격을 띠기도 하였으며, 계급사회 이후로 신분의 지표로써 모피와 피혁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심미적 측면에서 볼 때, 모피와 피혁은 그 자체의 심미성을 지녔기 때문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애용되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모피와 피혁이 생산되었으며, 이는 주로 수렵과 목축의 방법으로 얻어졌다. 선사시대부터 근래까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모피와 피혁의 종류에는, 주로 일반 복식 재료로 사용되는 牛皮·馬皮·驢皮·騾皮·豚皮·羊皮·羔皮·전皮·狗皮·鼯皮·혼皮·단皮·환皮·놜皮·놜皮 등과 고급 복식 재료로 사용되는 虎皮·狐皮·鹿皮·獐皮·貂皮·鼠皮·貍皮·狼皮·水獺皮·豹皮·水豹皮·土豹皮 등이 있었다. 일반 복식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대부분 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었고, 실용적 측면이 강조되어 의복의 재료나 일상 생활용품으로 쓰였다. 반면 고급 복식 재료로 사용되는 것 중에는 수렵에 의한 채집의 위험성을 띠고 있는 것들과 특수한 가공기술을 요하는 것이었으므로 복식재료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고가의 상품이었다. 선사시대 유적을 통해서 우리나라에서 모피와 피혁이 의료로써 사용은 오래되었지만, 복식사 연구에 있어서 구체적인 기록과 실제 유물 등 남아있는 자료는 많지 않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선사시대 이래로 고대국가까지, 고려에서 조선시대까지의 두 시기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그러나 모피와 피혁 제품의 종류에 관한 연구는 유물과 비교적 많은 문헌 기록이 남아 있는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모피와 피혁은 복식 및 복식 외 생활용품이나 무구 등에 주로 쓰이는 재료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모피와 피혁으로 만들어진 복식을 裘라고 부르는데, 그 쓰임의 목적에 따라 儀禮用 裘, 軍服用 裘, 防寒用 裘 등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 모피와 피혁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제작과정은 털가죽을 다루는 과정과 제품을 만드는 두 가지로 이루어진다. 털가죽을 다루는 과정은 수렵 및 도살> 박피 및 생려> 전타 및 탈지> 제유> 건조> 무두질의 순서이다. 특히 製鞣過程은 모피와 피혁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로, 우리나라에서는 훈연법이나 배설물, 석회, 명반, 식물성 탄닌 등을 쓰는 것 이외에도 腦腋을 사용했다. 이러한 과정들을 거친 재료로 제품이 만들어지는데 모피와 피혁은 직물과 달리 다루기가 어려운 면이 있어 전문적으로 도맡아 하는 장인들이 존재했다. 이들은 통일신라 때부터 皮典, 打典, 皮打典, 鞦典, 탑典, 靴典 등 분업화 되어있었고, 후대에 고려·조선 시대에도 각종 모피와 피혁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 장인들이 있었다. 어느 나라든지 복식 착용에 있어서 신분 및 사회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다. 모피와 피혁 복식 역시 재료 사용에 있어 계급의 영향을 받지만 서민층을 포함한 지배계층까지 입혀졌다. 또한 일부의 사족 및 왕족 층에서는 검소함을 상징하는 복장으로도 착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높은 가공기술로 만들어진 고급 모피와 피혁은 일부 상류층의 고급복식 재료였다. 또한 고급가죽의 경우에 그 자체가 고가였으므로 무역품·진상품·공물·하사물 등으로도 활용되었다.;Korea is a region where mounted nomadic culture of the northern and agricultural culture of the southern meets. The climate is various from the subtropical to the arctic. And geographically it is connected to the Eurasian Continent in the north, and interlocked to China, the core of Oriental culture, in the west. And it is also located near Japan and the Southeast Asian culture. Ancient Korea had a northern nomadic cultural character, through the influence of Scythian culture from the ancient times. But around 4B.C. it switched to agricultural culture. In this flow, fur and leather, which started as a clothing in the primitive ancient times, developed by utilizing various purposes like to indicate classes, to protect against cold, used as ornaments, and used as gifts for domestic or political relations of the country. This study has clarified in which background Koreans started to wear fur and leather. And examined the name.type.output.production method.use.characteristics of fur and leather produced and used in Korea. First, to clarify the background of wearing fur and leather, this study examined it by dividing into natural environmental, social-cultural, and aesthetical factors. In the view of natural environmental aspect, as Korea's winter is particularly cold, fur and leather was the suitable clothing to protect people from the cold. As for the social-cultural aspect, with the incantational character of Shamanism, fur and leather was used as an indication of social position after the class society. And for the aesthetical aspect, since fur and leather had aesthetics itself, it was used habitually through all ages. Various kinds of fur and leather was produced in Korea through hunting and cattle-breeding. The kinds of fur and leather produced in Korea from prehistoric age to recent days are the skin of cow[牛皮], horse[馬皮], donkey[驢皮], mule[騾皮], pig[豚皮], sheep[羊皮], goat[羔皮], dog[狗皮], squirrel [鼯皮.혼皮] etc. and for high-class clothing material there are the skin of tiger[虎皮], fox[狐皮], deer[鹿皮], roe deer[獐皮], marten[貂皮], leopard[豹皮], seal[水獺皮] etc. General clothing material was easy to obtain from the surroundings nearby and emphasizing the practicality it was used as clothing materials and living supplies. On the other side, the high-class clothing material was obtained by hunting which was risky to gather and needed special processing technology. So it was not only a clothing material but also a high-cost good itself. Fur and leather has been used as clothing for a long time in Korea since prehistoric age. But there are only few specific documents and data left to use for history of costume research. So this study researched by dividing into 2 periods; from prehistoric age to ancient country, and from Geryeo Dynasty to Chosun Dynasty. But for the research on types of fur and leather products, this study centered on Chosun Dynasty since there were lots of remains and literature documents. As a result, fur and leather was a material mostly used for not only costumes but also for living goods or arming. Especially, costumes made of fur and leather is called Gu[裘], it can be segmented to ceremonial Gu[儀禮用 裘], military-uniformed Gu[軍服用 裘], cold-blocking Gu[防寒用 裘] by its use. The production process to produce fur and leather products can be divided into process of dressing fur and producing the product. The process of dressing fur is hunting and butchering>filming>beating with a paddle and removing fat>drying>tanning. Especially the tanning process is the most important stage to soften the fur and leather. The Koreans not only used smoking method, excrement, lime, alum, vegetable tannin but also liquid of brain[腦腋]. A material made through these process makes a product. But since fur and leather was difficult to treat, it had professional craftsman. They were divided into craftsmen of tanning[皮典], beating[打典.皮打典] and making saddle[鞦典], boots[靴典], shoes[탑典]. from unified Silla. Later in Geryeo and Chosun Dynasty they were more segmented by each fur and leather. All countries are highly effected by social positions when wearing costumes. The materials of fur and leather costumes were also affected by the ranks. They were worn by the noble family class including the working class. And also some of the noble family class and the royal class wore fur and leather costumes to show frugality. While high-class fur and leather made with high process technology were the material for high-class costume of the ruling class like the noble family and the royal family. And since high-class leather was a valuable product, it was used for trade goods.prizes.tribute.Imperial gif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