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중-
dc.contributor.author전유미-
dc.creator전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0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6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092-
dc.description.abstract전자적 패러다임 속에서 디지털미디어의 급진적 사용과 다원화된 사회구조는 공간디자인 방법과 사고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미디어 의존적인 공간디자인은 모던공간의 선형적이며 고정적인 형상들이 아닌 복잡하고 유동적인 비선형 공간형식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미디어는 다양한 변형과 생성을 끝없이 확장시키기 때문에 디지털 문화에서 형태변이의 가능성과 비선형성은 극에 달하게 된다. 본 연구는 디지털미디어가 디자이너의 공간 생성능력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다수의 형태적 가능성들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는 전제로부터 출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종래의 환원주의적인 선형적 공간디자인에 대한 한계로부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비선형성이 강조되는 디지털미디어 중심의 형태생성 및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을 전제로 1990년대 이후, 디지털미디어에 의해 생성된 공간디자인사례들의 형식적 특성과 조형원리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그러한 공간형식의 생성과정에 있어 비선형성이 강조되어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자는 비선형 공간형식의 조형원리를 범주화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도심 공원디자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디지털미디어의 개념 및 사회문화적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로 인한 새로운 공간디자인 방법 및 사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디지털미디어가 형태생성 방법에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둘째, 공간디자인에 적용된 비선형성의 개념 및 특성을 분석한 후, 디지털미디어 중심의 비선형적 조형특성을 비물질성, 비정형성, 유기성, 혼성성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디자인사고의 도구로서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하여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조형언어를 추출하였다. 셋째, 앞서 제시된 비선형 공간언어를 기초로 도심 공원디자인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비결정적인 공간구조 등을 결합하여 이용자 경험과 참여를 강화할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공원디자인의 디자인방법 및 공간형식에 있어 비선형성을 강조함으로써 도시의 랜드마크적인 요소로 작용함과 동시에 미학적인 측면에서 도시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었다. 넷째, 연구자는 디지털미디어가 디자인방법의 도구 및 창작의 근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재현의 도구만이 아닌 디자인사고의 실현도구로서의 가능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디지털미디어가 공간의 비선형성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인간의 공간적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형태학적 측면에서 디지털미디어에 의한 형태생성은 기존의 선형적이고 유클리드적인 디자인프로세스로는 표현하지 못했던 비선형적인 형태구현을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기계적이고 획일화된 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연구자는 공간디자인에 있어 단순한 물리적, 기능적 측면만이 아닌 심리적, 심미적 측면을 강조하였으며, 복잡한 사회구조, 공간의 예술적 기능의 회복, 고도 첨단화 사회 등의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문화예술적인 도심공원디자인 사례를 연구하였다. 특히 연구자는 디자인을 통해 자연, 미디어, 예술의 유기적인 통합과 인간과 자연, 인간과 환경, 인간과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하였다. 결과적으로 연구자는 디자인과정에 디지털미디어의 창조적 가능성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비선형적인 공간을 생성할 수 있었으며, 미래 환경에서 요구되는 다양성, 복잡성, 비결정성의 공간 특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환원주의적인 디자인 방법의 한계에 대응하는 디지털미디어 의존적인 공간디자인 방법과 그 적용가능성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In the electronic paradigm, the radical use of digital media and plural structure of society require the shift of the methodology and thinking of space design. Such digital media-dependent space design is presented not in linear and fixed forms of modern space but in complex, fluid and non-linear spatial forms. In addition, as digital media continues to branch out into a variety of transformation and creation, transformability and non-linearity culminate in digital culture. The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digital media can not only reinforce designers' ability of space creation but also offer a number of formative possibilities. In this context, the study aims at suggesting digital media-centered formative creation and design methodologies emphasizing non-linearity as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isting reductionistic linear space design. Based on these, the study analyz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principles of space design cases which were created through digital media since the 1990's, and points out that non-linearity is emphasized in the creation process of the spatial forms. In addition, the study categorizes the formation principles of non-linear spatial forms and based on them, proceeds with urban park design. Finally, the study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digital media and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based on it, conceives new methodologies and thinking of space design. Through this, the study draws the conclusion that digital media will give infinite possibilities to the methodology of formative creation. Secondly, the study analyz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non-linearity applied to space design and then categorizes digital media-centered non-linear formative characteristics into immateriality, non-typicality, organicity and hybridity. In addition, the study exacts a new formative language which can materialize forms through digital media as a design-thinking tool. Thirdly, based on the non-linear spatial language mentioned earlier, the study suggests space where user experiences and participation can be reinforced by combining diverse programs and non-determinant spatial structures which are required in urban park design. Through this, methodologies of park design and non-linearity in spatial forms which are emphasized in the study can serve as landmark elements in urban areas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an urban image in aesthetic aspects. Fourthly, the study confirms that digital media can be a methodological design tool and the origin of creativity, and emphasizes its likeliness to be a tool not only for reproduction but also for the materialization of design-thinking. In addition, the study sees that digital media can increase spatial non-linearity, thereby extending the horizon of spatial experiences of man. In addition, in the perspective of morphology, formative creation by using digital media materializes non-linear forms which cannot be expressed with existing linear and Euclidean design process and contributes to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mechanical and uniform space. In addressing the issues in the above, the study emphasizes not only physical and functional but also psycholog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space design. The study also carries out a case study of urban park design which is a cultural and artistic space to cope with new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complex social structure, restoration of artistic functions of space, highly advanced society. In particular, the study emphasizes the organic unity of nature, media and art and interactions between man and nature, between man and environment and between man and man. Finally, the study draws the conclusion that the positive utilization of the creative potentials of digital media in design process makes it possible to create non-linear space and express spatial characteristics of diversity, complexity and non-determinant which will be required in future environments.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suggesting digital medial-dependent space design methodologies and their applicabilities to cope with the limitation of reductionistic design methodolog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i 그림목차 = ⅴ 표목차 = ⅷ Ⅰ. 서론 =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방법 및 범위 = 2 Ⅱ. 디지털미디어의 개념과 공간디자인 = 4 2.1. 디지털미디어 개념 = 5 2.2. 디지털미디어에 의한 사회. 문화 특성 = 7 2.2.1. 혼성화 = 8 2.2.2. 상호작용성 = 8 2.2.3. 탈중심화 = 9 2.2.4. 불연속성 = 10 2.3. 디지털미디어의 도입과 공간디자인의 변화 = 10 2.3.1. 공간개념의 재 정의 = 11 2.3.2. 공간디자인 표현방법의 변화 = 12 Ⅲ. 디지털미디어에 의한 비선형 조형특성 = 14 3.1. 비선형성 개념 및 특성 = 14 3.2. 조형특성 = 16 3.2.1. 비물질성 (immateriality) = 16 3.2.2. 비정형성 (non-typicality) = 19 3.2.3. 유기성 (organicity) = 22 3.2.4. 혼성성 (hybridity) = 27 3.3. 디지털미디어에 의한 비선형성 구현 = 35 3.3.1. 폴드 (fold) = 36 3.3.2. 탈그리드 (non-grid) = 37 3.3.3. 위상변이 (topological transformation) = 40 3.3.4. 메타볼 (metaball) = 41 3.3.5. 유기적 형태 (organic form) = 43 3.3.6. 하이퍼큐브 (hypercube) = 44 3.3.7. 하이퍼설피스 (hypersurface) = 45 3.3.8. 레이어중첩 (overlapping layer) = 46 3.3.9. 리좀구조 (rhizome structure) = 47 3.3.10. 유연한 연속성 (flexible continuity) = 48 Ⅳ. 비선형적 공간조형 특성에 의한 공원디자인 사례연구 = 50 4.1. 디자인 전제 = 50 4.1.1. 디자인 개요 및 목표 = 50 4.2. 프로그래밍 = 52 4.2.1. 대상지 환경분석 = 52 4.2.2. 이용자 행태 분석 = 56 4.2.3. 공간분석 = 59 4.2.4. 공간프로그램 = 63 4.3. 디자이닝 = 67 4.3.1. 디자인 개념 = 67 4.3.2. 공간조직을 위한 조형언어 = 68 4.3.3. 디자인과정 = 70 4.3.4. 세부 공간표현 = 79 4.4. 디자인 최종안 = 96 4.5. 종합 및 평가 = 103 Ⅴ. 결론 = 105 참고문헌 = 107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081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디지털미디어에 의한 비선형 공간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Non-Linear Space Design through Digital Media - Nature, Media and Art Combined Urban Park Design --
dc.creator.othernameJeon, Yoo Mi-
dc.format.pageⅷ,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