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3 Download: 0

T. S. 엘리엇의 여성 재현

Title
T. S. 엘리엇의 여성 재현
Other Titles
T. S. Eliot's Representation of Women
Authors
신희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준환
Abstract
본 논문은 엘리엇의 『프루프록과 그 밖의 관찰들』(Prufrock and Other Observations), 『시편 1920』(Poems 1920), 『황무지』(The Waste Land), 그리고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을 중심으로 여성 또는 여성적인 특질이 재현된 양상을 고찰한다. 비록 엘리엇이 비개성 시론을 주창하였지만, 이 시집들에서 재현된 여성 유형들을 보면 자전적인 사실들이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뉴잉글랜드 지방의 “점잖은 전통”(genteel tradition)의 청교도적 결벽성, 도덕률과 책임 의식을 중시하던 엘리엇 집안의 유니테리언교, 어머니, 누이, 보모 등 여성이 중심이 되었던 성장 배경, 정신적 육체적으로 병약했던 비비안(Vivian Heighwood)과의 결혼 생활, 불감증에 대한 그의 죄의식, 그리고 여성의 전통적 성역할에 변화를 가져온 급변하던 사회 현실에 대한 불안감은 그의 여성 재현 방식에 의식,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개인적, 사회적 사실들이 투영되어 만들어진 엘리엇의 다양한 여성 유형들을 시집별로 검토하는 것을 그 목표로 삼는다. 본론의 Ⅰ장에서는 『프루프록과 그 밖의 관찰들』을 중심으로 통일성과 유기성을 지향하는 남성 화자가 여성의 일탈적인 행위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공포와 혐오를 검토할 것이다. 화자는 여성의 육체와 히스테리적 감정이 논리와 이성으로 대변되는 남성의 의식과 질서 체계를 파괴하고 있다고 규정하고, 여성을 통제하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기울인다. 또한 그는 귀족주의적 문화에 길들여진 구식 여성의 무기력한 형식주의, 피상적인 세련성, 그리고 교양주의와 근대화의 결과 탄생한 신여성의 준거 없는 삶의 방식 모두가 문화의 전통과 질서를 파괴하는 경험이라 간주하고 있다. 여성 인물들의 이러한 일탈적 행위들은 화자에게 불안과 공포를 유발하는 경험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종류의 감정은 남성의 이상 속에 각인된 여성의 역할이 현실 상황과 부닥치며 일으키는 갈등으로 인해 야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론 Ⅱ에서는 『시편 1920』을 중심으로 여성 또는 여성적인 특질이 사회의 부정적인 현상에 대한 비유로 사용되고 있음을 살펴볼 것이다. 상류층 여성과의 경험에 한정되어 있던 『프루프록과 그 밖의 관찰들』과는 달리, 『시편 1920』은 여성 또는 여성적인 특질에 대한 남성 화자의 불안이 사회적 차원으로까지 확대된다. 근대화로 인해 나타난 여러 가지 부정적인 현상들 때문에 유럽 문명의 유구한 전통이 파괴되고 있다는 두려움이 현대적 여성에 의해 죽음과 쇄락의 위협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종교계에서의 무의미한 성서 논쟁은 여성의 다산성과 동일시된다. 제국주의적 음모와 전쟁으로 점철된 역사는 여성 명사로 호칭되며, 현대 문명의 불모는 여성의 불모와 동일시된다. 이와 같이 화자는 문제적인 사회 현실에 여성적인 특질을 덧입힘으로써 우회적인 방식으로 여성에 대한 부정적임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 본론 Ⅲ에서는 『황무지』를 중심으로 여성 또는 여성적인 특질이 현대 문명의 총체적 위기의 문제와 맞물리며 나타나고 있음을 고찰할 것이다. 여기서 상류층 여성과 하류층 여성의 육체, 그들이 사회 안에서 수행하는 기능, 그리고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에까지도 일탈적인 특징을 가진 것으로 그려짐으로써 통일성과 유기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가진 화자의 정체성을 파괴하는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여성의 육체는 성적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대상으로 그려짐과 동시에 현대 사회의 불모적 경험과 동일시된다. 또한, 포주와 창녀, 타이피스트와 같은 여성 인물들이 수행하는 일은 현대 도시에서의 황폐한 경험들로 규정되고 있으며, 여성이 사용하는 언어적 특질 역시 반복성과 히스테리를 내재함으로써 간단명료함을 중시하는 남성의 언어 체계와 대립되고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여성에 대한 이와 같은 부정적 재현은 여성으로 인해 개인의 의식, 더 나아가 사회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다고 느끼는 남성의 불안감을 형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론 Ⅳ에서는 『재의 수요일』을 중심으로 탈육화된 여성을 이상적 여성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남성 화자가 영적인 요소를 가진 여성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그려내고 있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이 시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은 크게 네 가지로 범주화된다. 첫째는 성적 욕망과 관련된 대상은 아니지만, 세속에 존재하면서 인간적인 특질을 지닌 종교적인 여성 인물, 즉 누이 또는 어머니이다. 이 여성은 탈육화에 대한 화자의 갈망을 실현시켜주지 못하기 때문에 그녀를 바라보는 화자의 태도에도 원망(怨望)의 감정이 다소 투영되어 있다. 둘째는 지상의 세계에서 관찰되는 성녀이다. 세 번째 유형인, 이상화된 공간에 등장하는 성녀와는 달리, 지상의 성녀는 육체적인 특성이 더 강하게 부각되고, 세속을 상징하는 사물들 사이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네 번째는 하나님과 직접 소통 가능한 영적 존재인 성모 마리아이다. 완전히 탈육화된 존재인 성모는 언어적 재현을 초월한 경외의 대상이자, 유기적으로 통합된, 완전한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여성 인물들은 화자의 이상적인 여성상, 즉 탈육화된 여성을 갈망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관찰하게 되는 여성 유형이라 할 수 있다.;This thesis investigates T. S. Eliot's representation of women in his four major poetry collections, Prufrock and Other Observations, Poems 1920, The Waste Land, and Ash Wednesday. Although the women in Eliot's life do not absolutely coincide with the ones in his poetry, this thesis presumes that some relevant biographical facts will help to further explain Eliot's literary representation of women. There are some common features among his female characters. Eliot, a male modernist, perceives women as aberrant beings, destroying the unity and order of men and civilization. This attitude affects the way women are portrayed in his poetry. In Prufrock and Other Observations, there appear horror and disgust toward the fragmented female body and abnormal behavior of women, by which the male narrator is being disturbed. In Poems 1920, the narrator identifies the negative phenomenon of the contemporary world with women or womenness. In The Waste Land, women are further identified with undesirable experiences in both private and public spheres, which themselves are regarded as the crisis and chaos resulted from contemporary way of life. Finally, in Ash Wednesday, women are being represented as disembodied, which reflects the narrator's desire to escape a fully embodied female body. Eliot's representation of women not only reflects his own view and the ethos of modern society toward women, but it also leads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modernism itself, the key of which is order and authority. Through his poetry, Eliot describes women as being opposed to order, system, and authority, his concept of modern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