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희진-
dc.creator한희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6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41-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on political aspects of Barbara Kruger's works. Until now, in terms of forms, Kruger's works have been recognized as pieces of crucial critics of postmodernism with appropriation, dismantling of author identity, duplication and collapse of boundaries between high and low art. Also in terms of contents, her works have been noticed as a place for discussion on feminism issues. It is noted that she has been exposing critical views of the society in her works since 1980's when she started to work seriously. 1970's and 1980's, period Kruger started to work seriously, is an era when one of the main flow of art is to pursue art in the social context, while modernism represented by formalism collapsed. Accordingly, many artists of this era focused not only on issues like gender, race and class, which are issues after the modernism period, but also on practical issues like capitalism society, war, AIDS, rights to abortion, homelessness and domestic violence. They wanted to challenge systemic power and to change the society by reflecting their views on their works. To this end, they appropriated techniques and forms from the mass media. This is to effectively convey critical information of society to the general public, who is very accustomed to and affected by the mass media. In the noted atmosphere of the era, Kruger raised from a mid-low class family and experienced social unfairness from early childhood has constantly contemplated on the role of the artist and the art itself in the society. This is manifested on her works with critical and participatory attitudes towards the society. Especially she focused on revealing and criticizing the power relation of everyday life. Based on many years of experience as a graphics designer, she established a form similar to a photo montage with various black and white photos appropriated from various mass media and Futra-Bold font text. This advertisement-like form induced focused attention from the audience via the strong visuals. More importantly, images and texts created for different purposes are now interactively creating critical effects within her works. Through this form, she focused on criticizing the patriarchal ideology used to govern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under the influence of feminism, which in 1980's focused on issues on gender structure and representation of woman. In particular, Kruger used pronouns strategically; she expressed unequal relationship with submissive women and men in charge. This also enables her works to be applied to other power relationship than gender. Also this type of text assumed a speaker and a listener, thus induced dialogic atmosphere and active audience participation. In 1990's, Kruger worked on pieces that use the whole gallery and museum space and pieces that are installed permanently on parks, schools and railroad stations. This is to convey her consistent message on power issues strongly to the audience via extending the traditional display space. Also, she placed her works in the mass media format in public areas as a poster, billboard, and placard etc. with broad social issues on AIDS, right to abortion, homelessness and domestic violence. As with theses examples, Kruger wanted her works to penetrate the power woven society and induce a big stir and change, through various channels of communication. As noted above, Kruger consistently conveyed structural societal conflicts and unequality which are not so easy to perceive, and she used various formal strategies to express above ideas effectively to the audience. Namely, Kruger's works can be viewed as political works, since she intended an overturn of the existing stable societal order through public resistance to the governing ideology that enables unfair power relationships.;본 논문은 바바라 크루거(Barbara Kruger, 1945 - ) 작품에 나타난 정치성에 관한 연구이다. 그동안 크루거의 작품은 형식적인 면에서 차용, 작가 정체성의 해체, 복제성, 고급미술과 저급미술의 경계 와해 등과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적 비평을 포함하고 있고, 내용적인 면에서 페미니즘 담론에서 진행되고 있던 이슈에 관한 논의의 장으로 커다란 주목을 받아 왔으나, 본 논문에서는 그녀가 본격적으로 작업을 전개했던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의 작업에서 일관되게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 에 주목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크루거가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전개했던 1970-80년대는 형식주의로 대변되는 모더니즘이 붕괴되면서 사회적인 맥락 속의 미술을 추구하는 것이 하나의 주된 흐름이 되었던 시기였다. 따라서 이 시기의 많은 미술가들은 젠더 인종·계급과 같은 모더니즘 이후 시기의 핵심적 이슈를 비롯하여 소비사회, 전쟁, 에이즈, 낙태의 권리, 노숙자, 가정폭력 등 보다 현실적인 문제들에 관심을 기울였고 이를 작품에 반영함으로써 제도적 권력에 도전하고 사회적 변혁을 일으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미술가들은 대중매체의 형식과 테크닉을 차용하였는데, 이는 대중매체에 익숙하고 이로부터 절대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살아가는 일반 대중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중하층의 가정에서 태어나 일찌감치 사회적인 불평등을 인식했던 크루거는 지속적으로 미술과 미술가의 사회적인 역할에 관해 끊임없이 고찰하였으며, 이는 작품을 통해서 사회 비판적이고 현실 참여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크루거는 일상적 삶을 이루고 있는 권력관계를 드러내고 비판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다년간 그래픽디자이너로 활동했던 것을 바탕으로 크루거는 다양한 대중매체로부터 차용한 흑백사진이미지와 푸트라-볼드체의 텍스트를 결합한 일종의 포토몽타주와 같은 작품형식을 확립하였다. 광고를 닮은 이러한 형식은 강렬한 시각성으로 관객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기도 했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원래 다른 목적을 위해 창조되었던 이미지와 텍스트가 원래의 문맥에서 벗어나 크루거 작품 내 상호작용으로 비판효과를 일으킨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작품형식을 통하여 크루거는 1980년대에 젠더의 구조와 여성의 재현에 관한 문제에 집중했던 페미니즘의 영향으로 불평등한 남성과 여성의 권력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해 온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고 이를 비판하는데 집중하였다. 특히 크루거는 텍스트 내 인칭대명사를 전략적으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복종의 위치에 있는 여성과 소유와 지배의 위치에 있는 남성이라는 불평등한 관계를 나타내는 동시에 그녀의 작품이 젠더 이외의 다양한 권력관계에까지 확대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한편 이러한 형식의 텍스트는 화자와 청자를 가정함으로써 대화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냈다. 1990년대에 들어서서 크루거는 갤러리와 미술관의 공간 전체를 이용하는 설치작품을 비롯하여 공원, 학교, 기차역과 같은 장소에 영구히 설치되는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는 전통적 전시공간을 확장하여 그녀의 일관된 관심사인 권력에 관한 메시지를 관객에게 더욱 강력하게 전달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크루거는 에이즈, 낙태의 권리, 노숙자, 가정폭력과 같은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문제들을 담은 작품들을 포스터, 빌보드, 플래카드 등의 대중매체의 형식으로 공공영역에 위치시켰다. 이처럼 크루거는 다양한 소통의 방식으로 작품이 권력관계가 그물처럼 얽혀 있는 바로 그 사회적 공간에 개입하도록 하여 커다란 사회적 파장과 변화를 일으키고자 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크루거는 일관되게 우리가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불평등을 작품에 담아 왔으며, 이러한 내용을 관객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식적 전략들을 이용해 왔다. 즉 크루거의 작품은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가능케 하는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대중적 저항을 통해서 기존 사회의 안정된 질서를 전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폭넓은 정치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크루거의 정치적 태도의 형성 배경 = 7 A. 1970-80년대 미술의 정치적 성격 = 7 B. 크루거의 사회 비판 의식의 형성 과정 = 16 Ⅲ. 정치성의 표출 방식 = 27 A. 대중매체 요소의 활용 = 27 B. 젠더를 통한 권력관계 탐구 = 40 C. 권력공간으로의 개입 = 53 1. 전통적 전시공간의 확장 = 54 2. 공공 영역으로 진입 = 65 Ⅲ. 결론 = 75 참고문헌 = 79 도판목록 = 88 도판 = 95 Abstract =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438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바바라 크루거-
dc.subject정치성-
dc.subjectBarbara Kruger-
dc.subject미술사-
dc.title바바라 크루거(Barbara Kruger) 작품에 나타난 정치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olitical Aspects of Barbara Kruger's Works-
dc.format.pagevi,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