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효영-
dc.creator정효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6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39-
dc.description.abstract끌레베르는 속담을 문장인 동시에 명칭인 문장적 명칭으로 규정하며, 이러한 이중적 위상으로 속담이 나타내는 특성들을 설명한다. 하지만 문장의 형태를 띠고 있는 속담이 어떻게 명칭으로 작용하게 되는지에 관해서는 다루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속담이 지니는 두 가지 위상을 검토하면서, 한 개인의 은유적 표현으로 발화된 문장이 명칭의 위상을 지니는 특수한 기호로서 언어 속에 고정되는 과정을 일반화된 관용구파생 개념을 적용하여 살펴 볼 것이다. 우선, 속담을 문장 층위에서 검토해 보자. 문장으로서 속담은 비시간적 일반성을 나타내는 총칭문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총칭문은 세 가지 유형, 즉 필연적 진리문인 분석적 문장, 합의적 속성을 표현하는 선험적 유형화 문장, 주관적 속성을 표현하는 국지적 유형화 문장으로 구분된다. 속담은 한편으로 예외를 포함하며 논리적 추론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다른 한편으로 통념에 반하는 내용을 표현하거나 상반되는 견해를 나타내는 속담들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국지적 유형화 문장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화자의 주관적 견해를 표현하는 국지적 유형화 문장으로 발화된 속담이 명칭으로 발전되는 과정을 일반화된 관용구파생 개념을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이는 두 단계의 과정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첫 번째 단계에서 속담적 문장은 언어공동체의 수많은 화자들의 발화행위를 통하여 특정 유형의 상황에서 관습적으로 발화되는 관용어구가 된다. 다음으로 두 번째 단계에서 이 관용어구는 전달담화 형태로 무수한 인용의 대상이 됨에 따라 창출된 새로운 의미를 약정적 의미로 부여받음으로써 명칭이 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용어구로의 발화행위를 통하여 약정적 의미를 획득한 속담의 명칭적 위상을 검토해 보자. 속담은 복합명사나 다른 관용표현들과 마찬가지로 첫째, 여러 어휘로 구성된 단위임에도 불구하고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고 둘째, 그 의미가 구성요소들의 의미의 합으로는 환원되지 않는 약정적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코드화된 단위인 명칭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속담의 명칭적 성격은 속담의 발화를 통하여 어떤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는 특성 덕택에 속담적 문장이 관용어구로서 수많은 발화행위의 대상이 될 수 있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속담이 명칭으로서 명명하는 것은 선행 발화행위에 관련된 총칭적 상황으로 볼 수 있으며 속담의 명칭적 성격을 관용구파생 명칭으로 규정할 수 있다.;L'analyse linguistique la plus convaincante du proverbe est celle de Kleiber qui definit le proverbe comme denomination phrastique. Selon lui, le proverbe est a la fois une phrase et une denomination, et ce double statut, antinomique, constitue son particularite linguistique. Mais Kleiber n'explique pas comment le proverbe en tant que phrase peut fonctionner comme denomination. Nous nous proposons, dans cette etude, d'expliquer ce phe'nome'ne a l'aide de la notion de de'locutivite' ge'ne'ralise'e. Pour ce faire, nous examinons d'abord le proverbe au niveau de la phrase. Comme phrase, le proverbe rele've des phrases generiques qui expriment une ge'ne'ralite' intemporelle, specialement des phrases typifiantes locales qui portent sur une propriete que le seul locuteur reconnai^t subjectivement comme typique. Le proverbe, etant phrase generique typifiante locale, comporte des contre-exemples accidentels, donc n'autorise pas la deduction analytique. Et il existe des proverbes qui s'en prennent a l'idee recue et qui se manifestent comme le principe antinomique. Ensuite nous expliquons le processus dans lequel une phrase proverbiale e'nonce'e comme phrase typifiante locale est changee en denomination. Pour ce faire, nous introduisons la notion de de'locutivite' generalisee, de'stine'e a rendre compte des cas ou' un morpheme M, ayant a l'origine une valeur semantique S donne naissance a un autre morpheme dont la valeur semantique contient une allusion a l'emploi en enonciation de M avec la valeur S. Applique au proverbe, ce processus a deux etapes se de'roule comme suit : a premikre e'tape, une phrase proverbiale devient une formule par ses multiples enonciations : a deuxieme e'tape, cette formule devient une denomination dans la mesure ou elle recoit une nouvelle valeur semantique cre'e de son usage formulaire. Enfin, nous examinons le statut de denomination du proverbe. Au point de vue de la se'mantique-re'fe'rentielle, pour que l'on puisse parler de denomination d'un element x par une unite linguistique X, il faut qu'un lien re'fe'rentiel ait e'te' auparavant instaure' entre x et X. Or dans le cas de proverbe, bien qu'il se soit constitue en sequence d'unite's lexicales, le fait qu'il fonctionne comme une unite codee dont la forme est fixe'e et dont la signification est inde'composable, nous permet de le considerer comme denomination. Et si le proverbe est une denomination, son caractkre de denomination decoule de nombreuses enonciations dont une phrase proverbiale a elle-me^me fait I'objet. Nous pouvons conclure que le proverbe est une denomination de situation ge'ne'rique relative a ses multiples enonciations anterieures, donc une denomination delocu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문장으로서의 속담 = 4 A. 총칭문의 유형 = 4 B. 총칭문으로서의 속담 = 8 Ⅲ. 속담의 관용구파생 = 16 A. 관용구파생의 정의 = 16 B. 속담의 관용구파생 과정 = 21 1. 총칭문에서 관용어구로의 파생 = 24 2. 관용어구에서 명칭으로의 파생 = 27 Ⅳ. 명칭으로서의 속담 = 35 A. 명칭 개념 = 35 B. 문장적 명칭으로서의 속담 = 39 Ⅴ. 결론 = 51 참고문헌 = 53 RESUME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12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관용구-
dc.subject파생-
dc.subject속담-
dc.subject프랑스어-
dc.title관용구파생 명칭으로서의 속담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TUDE SUR LE PROVERBE COMME DENOMINATION DELOCUTIVE-
dc.format.pagev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