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원-
dc.creator이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6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3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쿳시의 『포』를 통해 서사의 함정에서 비롯되는 제국주의적 글 쓰기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그의 노력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고찰한다. 쿳시는 메타픽션의 형식을 빌어 서사가 구성되는 과정을 공개하고 그 작업을 하는 포와 수잔이 자신의 욕망을 개입시켜 사실을 왜곡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서사 행위에 의문을 제기한다. 즉, 서사는 그것을 구성하고 진행시켜 나가는 주체의 언어와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상황에 따라 조작될 수밖에 없고 때문에 어떠한 서사도 진실의 순수한 재현일 수 없다는 것이 이 소설에 드러난 쿳시의 입장이다. 이어 그는 수잔의 글쓰기를 통해 제국이 이러한 서사의 함정을 이용하여 인종적 타자를 왜곡시키고 자신들의 지배를 정당화시키는 글쓰기를 하는 과정을 암시한다. 백인이지만 식민주의 이데올로기에 저항했던 쿳시는 자신 역시 이러한 글쓰기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수잔의 실패한 글쓰기를 통해 스스로의 한계를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쿳시의 이러한 고민을 염두에 두고, 남아프리카 백인 작가로서 모호한 입장에 처한 그가 인종적 타자를 그려내는 데 있어 느끼는 한계를 서사의 방식이 지닌 함정과 연관시켜 살펴보고 그 한계를 그가 극복할 수 있는지, 만약 그것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로 제시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고찰을 위해 서론에서는 『포』에 대한 몇 가지 분석 경향과 더불어 남아프리카 사회 내 백인작가들의 위상과 딜레마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본론이 시작되는 2장에서는 수잔과 포의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서사의 함정을 크게 두 가지 면에서 살펴 볼 것이다. 첫째로 서사의 과정에서 사실과 허구의 경계가 모호해진다는 점이고 둘째로 서사에는 서사 주체의 의식 체계나 욕망이 반영되기 때문에 실체가 왜곡, 조작 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쿳시는 수잔의 글쓰기를 통해 이러한 서사의 함정이 궁극적으로 자신이 가장 지양하는 백색 글쓰기로 이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타자에게 접근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3장에서는 2장에서의 고찰을 토대로 쿳시가 서사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모색하는 새로운 방식을 고찰해본다. 그가 시도하는 방식은 몸에 주목하는 것으로 소설의 마지막장에 등장하는 화자가 "프라이데이의 고향은 언어가 아닌 몸 그 자체가 기호인 곳(F 157)"이라고 말한 데서 이를 예상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몸에 주목하는 것을 '신체적 행위에 주목'하는 것과 '고통받는 몸 그 자체에 주목' 하는 것으로 나누어 이러한 방식인 어떠한 면에서 타자와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지 연구해 볼 것이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로빈슨 크루소』의 다시 쓰기라고 평가되는 『포』를 그와 동시에 작가적 고민과 딜레마에 초점을 맞춰 이해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포』에 나타난 몸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 제국의 서사로 나타낼 수 없었던 프라이데이를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임을 지적하는 데에서 그쳤다면 본 논문은 그의 몸이 과연 어떠한 면에서 서사의 한계를 넘어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며 더 나아가 서구 중심적 서사 내에서 열등함의 증거로 인식되던 타자들의 몸을 어떻게 재전유 할 수 있는가에 관한 단서를 찾아보고자 한다.;This thesis investigates the effort J.M. Coetzee makes in Fo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arrative. The act of placing or rather re-presenting events in narrative is cast in an ambiguous light by Coetzee. The metafictional frame of the novel shows how in the process of producing narrative, the narrative is colored by the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of the narrators, Susan and Foe. Coetzee, a white writer in South Africa, is aware that he also cannot be free from exploiting the story of the colonial Other through writing and so to some extent employs the figure of Susan to dramatize his own dilemma as a writer. This thesis attempts to unravel how he illustrates his own limitations and how he attempts to overcome them through the figure of the body. The first chapter offers a brief scholarly review of works on Foe focusing on the problematics of narrative of the white writer in telling the story of the racial Other. The second chapter examines pitfalls revealed in the act of narrative by Susan and Foe including the problem of the uncertain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fiction and the other is the arbitrary account of events according to the needs or desire of the narrator. Coetzee, especially through Susan's writing, demonstrates how these two pitfalls prohibit a genuine understanding of Friday. The third chapter argues that the alternative to narrative Coetzee proposes is the body as can be inferred from the passage, "This is a place where bodies are their own signs. It is the home of Friday."(F 117) Though the body of racial Others is the very site of discrimination in imperial narrative, Coetzee views the body as a significant site in which experiences and histories are encapsulated. In Foe, Friday's bodily acts tell a story that is outside the reach of Susan and Foe, and only when the unnamed narrator traces Friday's body, does the latter respond with a slow stream. The novel is an attempt to recover Friday's voice despite all the attendant dangers of such an endeav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Ⅱ. 서사의 함정과 백색 글쓰기 = 14 A. 사실과 허구의 모호한 경계 = 16 B. 서사주체에 따른 자의성 = 27 C. 프라이데이의 불가해성과 백색 글쓰기 = 35 Ⅲ. 타자에 접근하는 새로운 방법의 모색 - 기호로서의 몸 = 43 A. 신체적 행위에 주목하기 = 46 B. 고통받는 몸에 주목하기 = 59 Ⅳ. 결론 = 74 참고문헌 = 79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342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서사-
dc.subject글쓰기-
dc.title서사를 넘어 타자와 소통하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포』에 나타난 기호로서의 몸-
dc.title.translatedOvercoming the Limits of Narrative : The Place of the Body on Foe-
dc.format.pageiv,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