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5 Download: 0

임파워먼트 관점에서의 중도지체장애인 가족보호제공자 자조집단 프로그램 연구

Title
임파워먼트 관점에서의 중도지체장애인 가족보호제공자 자조집단 프로그램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lf-help Group Program for Non-congenital Physically Handicapped Family Caregivers
Authors
차현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임파워먼트 관점중도지체장애인가족보호제공자자조집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중도지체장애인 가족보호제공자의 자기효능감 증진, 스트레스 대처 및 사회적 지지감의 증진을 위해 임파워먼트적 관점에서 자조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중도지체장애인의 가족보호제공자는 심리 사회적, 신체적, 경제적인 욕구와 아울러 사회복지 서비스의 욕구 등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참여가 보호제공자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참여가 보호제공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변화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참여가 보호제공자의 사회적 지지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는 이상의 3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접근을 위해 문헌연구의 방법과 효과성 검증을 위한 양적인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임파워먼트적 관점에서 가족보호제공자의 자조집단 프로그램을 개발, 구성하였으며 이들 프로그램이 가족보호제공자의 자기 효능감 증진, 스트레스 대처 및 사회적 지지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를 양적인 분석방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진행은 정보공유와 상호지지, 대처방법 습득의 3가지 집단프로그램의 목표를 가지고 총 11회의 프로그램을 2003년 2월부터 4월까지 주1회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B복지관을 이용중인 가족보호제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운영하여 상호 비교하였고,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 스트레스 대척방식 척도 및 사회적 지지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10.0의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Mann-Whithey와 Wilcoxon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지체장애인 가족보호제공자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프로그램 내용은 보호제공자의 심리 사회적, 신체적, 사회 복지적 차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세 가지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첫 번째 부분은 사회적 지지 자원에 대한 정보제공과 정보교환, 상호교육으로 구성되는 정보공유 프로그램이고 두 번째 부분은 보호경험, 스트레스 사건경험에 대한 동료상담으로 구성되는 상호지지 프로그램이고 세 번째 부분은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긍정적 사고훈련, 근육이완훈련이 포함되는 대처방법의 습득 프로그램이다. 둘째, 자조집단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보호제공자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집단 프로그램에 참가하기 전보다 참가한 후에 증진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즉,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가족보호제공자의 사회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자조집단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보호제공자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대처에 있어 집단 프로그램에 참가하기 전보다 참가한 후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가족보호제공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적극적 대처방식의 증진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넷째, 자조집단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보호제공자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 사회적 지지감이 집단 프로그램에 참가하기 전보다 참가한 후에 보다 증진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즉,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가족보호제공자의 긍정적 사회적 지지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자조집단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보호제공자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부정적 사회적 지지감이 집단 프로그램에 참가하기 전보다 참가한 후에 보다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즉,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가족보호제공자의 부정적 사회적 지지감 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임파워먼트 관점에서 진행된 중도지체장애인 가족보호제공자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보호제공자들의 사회적 자기표능감 증진,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감 증진에 있어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애인 복지 현장에서 가족보호제공자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진행에 있어 다양한 접근방법에 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즉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보호제공자의 사회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가족보호제공자를 위한 심리사회적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서비스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다.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이들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사회적 지지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자조집단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보호제공자들이 이들의 스트레스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고 적극적으로 사회적 자원을 습득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장애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장애인에 비해 가족보호제공자들을 위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미약한 상황에 있는 우리의 현실에서 가족보호제공자를 위한 복지서비스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자조집단 프로그램을 임파워먼트적 관점에서 구체적 실천과정을 통해 실시함으로써 이들의 문제와 욕구에 적절하게 개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This study focused in its objective on developing and carrying out a self help group program from an empowerment perspective to promote self efficacy, cope with stress and enhance the feeling of social support in non-congenital physically handicapped family caregivers and then inquiring into what effectiveness can be obtained from it. It seems that non-congenital physically handicapped family caregivers have their o m unique complex needs such as psychosocial, physical, economic needs as well as social welfare service need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posed subjects of study as to: 1) Whether or not family caregivers' participation into a self help group program is effective on promotion of their self efficacy. 2) Whether or not family caregivers' participation into a self help group program is effective on changes in their stress-coping strategies. 3) Whether or not family caregivers' participation into a self help group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in their feeling of social support. The present study had recourse to a review of literature method and an quantitative analysis to approach to the above three subjects. From an empowerment perspective this study developed and created a self help group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and then prosecutes a quantitative analysis to clarify whether or not this program was effective on promoting self efficacy, coping for stress, and enhancing feeling of social support. The self help group program was carried out 11times in total, once a week, from February through April 2003 with three programs goals : information co-ownership, mutual support, and acquisition of coping methods. With this in view, this study organize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sampled out from those family caregivers who utilized B Welfare Community Center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m. To measure the results of the self help program, this study used a self efficacy measurement scale, a stress coping scale, and a feeling of soci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depended upon the SPSS 10.0 statistic package to carry out the Mann-Whitney and Wilcoxon tests. Results of this study were revealed, as followed: First, the contents of the self help group program to empower non-congenital physically handicapped family caregivers proceeded by categorizing it into three parts to satisfy family caregivers' psychosocial, physical, and social welfare need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program. The first part was of information co-ownership consisting of information provision of social support resources, exchange of information, and mutual education. The second one was of mutual support consisting of peer counselling about experience of caregiving and stress. And the final one was of acquiring stress coping methods, including positive thinking training and muscular relaxation training to get rid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Second, having participated into the self help group program, family caregiv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better improvement in social self efficac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at is, the self help group program was found to be efficacious on promotion of family caregivers' social self efficacy. Third, having participated into the self help group program, family caregiv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a more positive coping for stres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at is, the self help group program was identified to be effective for active stress coping. Fourth, having participated into the self help group program, caregiv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represented a better feeling of social support,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at is, the self help group program was revealed to have a better effect upon family caregivers' enhancement of feeling of social support. Fifth, having participated into the self help group program, caregiv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reflected a decrease in negative feeling of social support,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at is, the self help group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on diminishing family caregivers' negative feeling of social support. As aforementioned, the self help group program that was implemented from an empowerment perspective was revealed to be effective on upholding the feeling of social self efficacy, active stress coping, and enhancement of feeling of social support, These results make it possible to discuss varied approaches in carrying programs for family caregivers from a welfare of the handicapped perspective. That is, the identification of the self help group being effective on ameliorating caregivers' feeling of social self efficacy seems to be much help to the development of psychosocial programs and the expansion of related services for family caregivers. Furthermore, the revelation of the self help group program being effective on improving caregivers' active stress coping and improving feeling of social support, might be thought to be the result that they properly coped with stress and actively acquired social resource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ould be conductive to the development of welfare and services for them remain relatively stagnated,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handicapped. It may be said that this study suggests such a potentiality as can adequately involve with issues and needs of family caregivers by concretely carrying out a self help group program from an empowerment perspe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