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수미-
dc.creator장수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6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31-
dc.description.abstractThe court-mandated spouse abusers who have the drinking problem not only have the resistance and the complaint about taking the court-mandate itself but also have the low motivation about their own drinking and violence behavior. They lay their violence behaviors at faults of drinking, while they justify the violence and also deny the seriousness about the drinking problem. Then they are recognized as the difficult clients to approach. Therefore, the special intervention strategy that can decrease the resistance about taking the court-mandate and can enhance low motivation for the family violence is required to intervene between the spouse abusers who have the drinking problem. Actually, the preceding studies report about the co-ocurrance of alcohol and family violence continuously and also indicate that drinking is the important indication that brings the reappearance of violence behavior. However, the intervention of the family violence agency for the spouse abusers who have the drinking problem is not active in Korea. The reasons are regarded as follows : the insufficiency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he network coping with the family violence, the limited court-mandated hours, the lack of scientific discussion about the relativity of alcohol and family violence, the lack of the specialist who are trained in order to intervene in the drinking and the family violence. Hereupon, this study was researched to develope the applicable program in order to decrease the violence behavior for the spouse abusers who have the drinking problem and was examined the usefulness of this program by measuring the effect. The firs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relativity of drinking and family violence and then wa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ouse abusers who have the drinking problem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it could be known the truth the abusers who have the drinking problem became to drink and to happen to use the violence when they didn't have the positive coping skills in the conflict situation that the violence could be happened. In this study, it was made the model that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drinking was the indirect cause of family violence. Also, the drinking problem and the family violence problem were recognized as the issue that the intervention was necessary at the same time. Because it helped to see the maximum effect in taking the limited court-mandate hours in Korea that the family violence coping system was unprepared. The second, I developed the program for the violence behavior decrease of the spouse abusers who have the drinking problem. After investigating the existent intervention program, the program component was established in the Motivational Enhancement Therapy(MET) and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CBT) that were the intervention model about the drinking and violence behavior. The pilot program was composed with the basis of two therapy model integration and then drinking and family violenc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evaluation. The program was enforced by the four sessions for the MET as The first phase and then it was enforced by the nine sessions for the CBT about the family violence behavior as the second phase. The specific contents by each session were presented in the postscript. The third, the drinking and family violenc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execu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family violence program was only executed in the comparison group so that the two groups could be verified the effect. All both two groups were composed by the spouse abusers who have the drinking problem through the screening and I tried to compose the homogeneous groups under the control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The members of two groups were 14 people at the experimental group and 13 people at the comparison group while the program was executed 6 weeks in total as 8 hours a day and once a week. Not only executing the pre-to-post investigat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operation, but also executing the later investigation after 3months since it had been expired. Then both groups were compared about 12 variables by the variation of the measurement time. The effect measurement of the program was executed togeth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ith intent to get the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The investigative questionnaire 1, 2, 3 were analyzed by using the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 and the questionnaire 4 was executed by the content analysis. It was carried out as the subject to the group process recording about the group cohesiveness, the universality, the catharsis, and the existential factor. Because they were exposed tha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executing the group therapy factor test after the program expi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Variables Connected with Drinking Among the 4 drinking relevant variables that measures the c h g e connected with drinking the experimental group's pre-to-post variation was decreased by significant level statistically than the comparison group's variation in the drinking degree and the drinking problem. Then it was regarded as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intervention to the spouse abusers who have the drinking problem. But this variable showed the post-to-later variation of the drinking degree became increased again in the experimental group. I saw from it that the effectiveness of MET was short-term and it suggested that the continuous intervention was required later on after the program expiration, 2. Variables Connected with Coping Skills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examined about the anger control skill, the communication skill, the problem-solving skill, and the self-assertiveness skill that were indicated lacking to the spouse abusers. As the analysis results, the variation by measurement time or the 4 kinds of coping skills poi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all as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s variation. Two groups all were little shown the points change in the pre-to-post and later investigation. Therefore, it was showed that the coping skills were little acquired by the drinking and the family violence program. As the above results, the anger control skill and the problem solving skill were not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they were shown the points more increasing later than po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it was regarded that not only 6 weeks short-term was not enough to acquire the coping skill, but also the acquired skill was asked enough hours to apply to the practical life. 3. Variables Connected with Family Violence Comparing the violence behavior variation among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s pre-to-post and pre-to-later variation were decreased largely and were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the comparison group's variation. And also the drinking program and the family violence program execu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iveness to decrease the abuser's violence behavior who had the drinking problem. Remarkably both groups were showed the positive increasement to the post-to-later variation with the exception of the comparison group's physical violence behavior was showed the recurrence as of the later investigation. The verbal violence was also showed the same variation aspect to the whole family violence behavior, so it resulted in the same to the existing studies that the verbal abuse was continued in spite of the intervention. The physical violence was showed that the decreased change of the post program became to maintain almost or to decrease until later on. Therefore, the country to the verbal violence, the physical violence informs us no more increase after the probation period was finished. 4. Comparison with Variation Aspect among Groups The variation difference that was occurr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presumed to be happened by the MET that was executed to the experiment group. Because the MET was judged as it affected a lot of influences on the group's dynamics and interaction. That was,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could share their general experiences for drinking by the MET, they could be created the cohesiveness such as the feeling of closeness and the mutual supporting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y were full of the strong resistance and complaint about taking the court-mandate as well as they denied and minimized their own violence behaviors. Therefore, the drinking problem was intervened as less resistant issue than family violence as the first phase. So it was regarded as contributing to decrease the group members resistance. Moreover it,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became to perceive the group as the safe environment in this process, and then they were possible to participate the program positively and to interact lively between the group members Therefore, it was seemed to be helpful for them easy to confess frankly their drinking, family violence, the difficulties of human life hard to say easy, and the like as well as the recognition for their problems. By the above results, the MET that was executed by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firmed that it was helpful for the spouse abusers who have the drinking problem. And it was also helpful to change the negative emotion by the positive emotion and to lead the group interaction promotion and the active group participation. The program development and the effectiveness measurement results will be contributed to promote the specia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coping service with the family violence. Especially they are differentiated with the existing program that was introduced and executed by the Western spouse abusers program as it was without the distinction of abusers type and researched into the alternative program as well. Moreover it, they are worth significant in the view of presenting the practical model for the violence behavior decrease of the spouse abusers with drinking problem and preparing the motive to activate the intervention about this group from now on. This study added the requisites that were forward required in research, practice, and political side on spouse abusers who have the drinking problem through the investigation results and implication;법에 의한 보호처분으로 수강명령에 의뢰된 가정폭력가해자는 수강명령 자체에 대해 강한 저항을 나타낸다. 특히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는 수강명령에 대한 불만과 함께 자신의 음주와 폭력행동에 대해서 낮은 변화동기를 가진다. 이들은 자신의 폭력행동을 음주의 탓으로 돌리면서 폭력을 정당화하고 음주문제에 대해서도 그리 심각한 정도는 아니라고 부정하는 특성을 갖고 있어 가해자에게 개입하는 실무자사이에서는 임상접근이 더욱 어려운 집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 개입에 있어서는 수강명령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고 음주와 가정폭력에 대한 변화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문적인 개입전략이 요구된다. 실제로 선행연구에서는 알코올과 가정폭력의 동시 발생에 대한 보고가 계속되고 있으며 음주가 폭력행동의 재발을 가져오는 중요한 지표임을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가정폭력관련법 시행 5년이 다가오는 현시점에서도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에 대한 국내 사회복지기관의 개입은 활발하지 않다. 그 이유로는 국내 가정폭력대응서비스 전달체계 및 연계망의 미비, 제한된 수강명령시간, 알코올과 가정폭력의 관련성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부족, 음주와 가정폭력에 대해 개입할 수 있는 훈련된 전문가의 부족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의 폭력행동감소를 위해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측정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음주와 가정폭력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의 임상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음주문제를 가진 가해자는 폭력이 발생할 수 있는 갈등상황에서 다른 긍정적인 대처기술이 학습되지 않을 때 술을 마시고 폭력을 행사하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음주가 가정폭력의 간접적 원인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연구모형을 만들었다. 또한 아직까지 가정폭력대처체계가 미비한 국내현실에서는 제한된 수강명령 시간내에 최대한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음주문제와 폭력문제에 대한 통합적 개입이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둘째,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 폭력행동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기존 프로그램을 고찰한 후 음주와 폭력행동에 대한 개입 모델인 동기증진치료와 인지행동 치료에서 구체적인 프로그램구성요소를 확정하였다. 두 치료모델 통합의 근거를 바탕으로 예비프로그램을 구성한 후 평가를 통해 이를 본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프로그램은 1단계로 음주문제에 대한 동기증진치료를 4세션, 2단계로 가정폭력행동에 대한 인지행동치료를 9세션 실시하였으며 각 세션별 구체적인 내용은 부록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음주 및 가정폭력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가정폭력에 대한 프로그램만을 실시한 후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양 집단 모두 선별단계를 통하여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로 집단을 구성하였고 인구학적 특성 등을 통제하여 동질적 집단을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집단성원의 수는 실험집단이 14명, 비교집단이 13명으로 두 집단 모두 하루 8시간 주 1회 총 6주간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시행전후에 사전, 사후조사와 종료 3개월 후 추후조사를 실시함으로서 11가지 변수에 대해 측정시기별 변화량으로 집단간 비교를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은 다양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얻기 위해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연구질문 1, 2, 3은 비모수통계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질문 4는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분석은 프로그램 종료시 집단치료요인검사를 실시한 후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집단응집력, 보편성, 정화, 실존적 요인의 치료요인에 대하여 집단과정기록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질문 1. 음주관련변수 음주와 관련된 변화를 측정하는 4가지의 음주관련변수 중 음주정도와 음주문제에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이 비교집단의 변화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여 본 프로그램이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 개입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실험집단에서 음주정도의 사후추후 변화량이 증가하고 있는 사실로 미루어볼 때 음주문제에 대한 동기증진치료의 효과는 단기적이며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계속적인 추후개입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연구질문 2. 대처기술관련변수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에게 부족하다고 지적된 분노조절기술, 의사소통기술, 문제해결기술, 자기표현기술에 대하여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의 4가지 대처기술점수의 측정시기별 변화량은 비교집단의 변화량에 비해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양 집단 모두 사전, 사후, 추후조사시 점수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대처기술이 음주 및 가정폭력프로그램, 가정폭력프로그램에 의해 거의 습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분노조절과 문제해결기술의 경우, 통계적인 유의미성은 없었지만 실험집단에서 사후보다 추후에 점수가 더 증가하고 있어 대처기술이 6주라는 단기간내에 습득되기 어려우며 배운 기술을 실생활에 적용해보는 데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질문 3. 가정폭력변수 폭력행동 변화량의 집단간 비교결과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사전추후 변화량이 비교집단의 변화량보다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여 실험집단에 실시한 음주 및 가정폭력프로그램이 음주문제를 가진 가해자의 폭력행동감소에 효과적임이 나타났다. 주목 할 만한 것은 비교집단의 신체적 폭력을 제외하고는 양 집단에서 사후추후 변화량이 정적 증가를 보여 추후조사시점에서는 폭력행동이 재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언어적 폭력도 전체 가정폭력행동과 같은 변화양상을 보여 개입에도 불구하고 언어적 폭력은 계속된다는 기존 연구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신체적 폭력은 프로그램사후에 감소된 변화가 추후에도 거의 유지되거나 감소되어, 언어적 폭력과 달리 신체적 폭력은 보호관찰기간이 끝난 후에도 증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연구질문 4. 집단간 변화양상의 비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발생한 변화의 차이는 실험집단에 실시한 동기증진치료에 의해 발생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동기증진적 개입이 집단의 역동과 상호작용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즉 실험집단성원은 음주에 대한 동기증진적 개입에 의해 술에 대한 보편적 경험을 나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친밀감과 상호지지 등 집단응집력이 비교진단보다 더 많이 생성될 수 있었다. 자신의 폭력행동을 부정, 최소화하고 수강명령에 대해 저항과 불만이 가득한 상태에서는 바로 가정폭력에 대한 개입보다 덜 저항적인 이슈인 음주문제를 1단계로 개입한 것이 집단성원의 저항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했으리라 보인다. 무엇보다 이 과정에서 실험집단성원은 집단을 안전한 환경으로 지각하게 되어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집단성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가능했다. 이로 인해 자신의 음주나 가정폭력, 쉽게 말하기 힘들었던 인생살이의 어려움 등에 대해서도 솔직한 고백과 자기 문제에 대한 인식이 용이했다고 보인다. 이상을 통해 실험집단에 실시된 동기증진치료는 수강명령에 임하는 음주문제가 있는 가정폭력가해자의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 정서로 전환시키고 집단 상호작용의 촉진과 활발한 집단참여를 이끄는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연구의 프로그램개발과 효과성 측정결과는 사회복지실천분야에서 가정폭력대응서비스의 전문성과 효과성을 제고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가해자 유형에 대한 구분없이 서구의 가정폭력가해자프로그램을 그대로 도입, 실시한 기존의 프로그램과는 차별되고 대안적인 프로그램을 모색했다는 점과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 폭력행동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모델을 제시함으로서 이 집단에 대한 개입을 활성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와 함의를 통해 앞으로 음주문제를 가긴 가정폭력가해자 연구와 실천, 정책적 측면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제언으로 첨부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 목적 = 5 C. 연구의 의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음주와 가정폭력의 관련성 = 8 B.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의 특성 = 12 1. 음주와 폭력행동에 대한 낮은 변화동기 = 12 2. 금주자기효능감의 저하와 긍정적 대처기술의 부족 = 13 C. 음루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에 대한 개입 = 19 1.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 개입현황 = 19 2. 선행 개입프로그램의 효과성 검토 = 21 Ⅲ.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 폭력행동감소 프로그램 재발 = 24 A.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기초 = 24 1. 동기증진치료 모델 = 24 2. 인지행동치료 모델 = 27 3. 치료모델 통합의 근거 = 30 B. 예비 프로그램(Pilot Program) 실시 및 평가 = 37 1. 프로그램 구조 측면 = 37 2. 프로그램 내용 측면 = 39 3. 프로그램 진행 측면 = 40 C.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 폭력행동감소 프로그램 = 41 1. 프로그램의 고유성 = 41 2. 프로그램 진행절차 = 43 3.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 44 4. 프로그램 메뉴얼 = 44 Ⅳ. 연구방법 = 46 A. 연구모형 = 46 1. 연구모형 = 46 2. 프로그램 개발 모형 = 47 3.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 47 B. 연구질문 = 49 C. 연구기간 = 50 D.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52 E. 변수의 정의 및 측정도구 = 52 F. 분석방법 = 58 Ⅴ. 연구결과 및 분석 = 60 가. 양적분석 결과 = 60 A.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동질성 분석 = 60 B.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집단내 측정시기별 효과 분석 = 68 C. 실험집단 비교집단의 집단간 측정시기별 효과 분석 = 71 나. 질적분석 결과 = 83 A. 내용분석 절차 = 84 B.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집단치료요인 비교 = 86 Ⅵ. 결론 = 97 A. 연구결과 요약 = 97 B. 연구의 함의 = 104 C.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107 참고문헌 = 113 부록 1 프로그램 메뉴얼 = 124 부록 2 설문지 = 127 ABSTRACT =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985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음주문제-
dc.subject가정폭력가해자-
dc.subject폭력행동감소-
dc.subject프로그램개발-
dc.title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 폭력행동감소 프로그램개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the Violence Behavior Decrease of the Spouse Abusers who have the Drinking Problem-
dc.format.pagexii, 14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