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윤경-
dc.creator이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6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29-
dc.description.abstractWord-finding deficit has been defined as an impaired ability to generate a specific word in any given situation. It is one of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word-finding abilities between children with SLI and normal children and to account for the word-finding problem in terms of lexical processing. Forty fiv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5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6;6, 15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and 15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In study 1, picture naming task and word recognition task were used. The children were shown 35 pictures of objects and asked to name each, then were again asked to identify all misnamed objects by pointing to the picture arrays consisted of the target and three foils. Frequency and type of errors in picture naming task were analysed. The principal findings of study 1 were as follows: (1)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total misnamed items and those misnamed but recognized than the CA controls. But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LA controls. (2) Error typ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related and visual errors. Unrelated err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LI group compared with the CA control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LA controls. Visual err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A controls and the LA control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LI group and two control groups. (3) As for the order of error types, the SLI group produced unrelated errors most frequently, and semantic and visual errors followed, and phonological errors were produced least frequently. But in the CA controls and the LA controls, semantic errors were produced most frequently, and visual and unrelated errors followed, phonological errors being produced least frequently. In study 2, picture naming task was examined in two conditions to account for the lexical processing of children with the SLI. The presentation of the picture was preceded by a semantic priming in one condition, and a unrelated priming hi the other condition. Frequency and type of errors in picture naming task were analysed. The principal findings of study 2 were as follows: (1) The SLI group, the CA controls and LA controls produced less errors with semantic priming than unrelated priming. The result means that word-finding is improved by the semantic priming. (2) Error type analysis showed that in the SLI group the number of semantic errors changed less with semantic priming than He CA controls and The LA controls. The CA controls and the LA controls produced much more semantic errors and much less other kinds of errors with semantic priming than unrelated priming. The result of the two studies shows that children with the SLI have difficulty in retrieving the words present in memory. The word-finding problem involves the semantic level of lexical processing.;낱말산출은 구어 산출의 기본이 되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을 말로 유창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구성하는 개개 낱말들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언어장애 아동들은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필요한 낱말을 정확하고 빠르게 산출하는 데에 어려움을 보인다. 이처럼 어떠한 상황이나 자극이 주어졌을 때 특정한 낱말을 산출하는 데 어려움을 갖는 현상을 낱말찾기 장애 (word-finding deficit)라고 한다(Rapin & Wilson, 1978) 낱말찾기 장애는 특히 다른 발달영역에서는 문제를 보이지 않으면서 언어습득과 발달에만 문제를 보이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언어적 특징 중의 하나로 보고되어 왔다. 선행연구자들은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일반아동들에 비해 어휘력이 제한되기 때문에 낱말찾기에 어려움을 갖는다고 설명하기도 하나, 동시에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낱말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출해내지 못하는 것을 원인으로 설명하기도 한다(Leonard, Nippold, Kail & Hale, 1983; Lahey & Edwards, 1996, 1999). 그러나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다른 언어영역에 비해 낱말찾기에 특정적으로 문제를 나타내는 것인지를 분명하게 밝히지 못하였으며, 또한 낱말찾기 문제를 주로 낱말의 저장과 인출의 측면에서 다루고 있을 뿐 어휘산출과정의 측면에서는 분명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찾기 능력이 단순히 지체된 것인지 혹은 일반아동들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 어휘산출과정을 중심으로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찾기 장애를 설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위하여 연구 1은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15,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이하 생활연령 일치집단) 15명 및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집단(이하 언어연령 일치집단) 15명, 총 45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림 이름대기 검사와 낱말이해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림 이름대기 검사에서의 오반응율과 오류유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연구 2에서는 연구 1과 동일한 조건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점화를 제시하였을 때 그림 이름대기 검사에서의 오반응율과 오류유형에 어떠한 차이를 갖는 가를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 1의 결과를 보면,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은 이름대기에서 생활연령 일치집단에 비해서만 유의하게 높은 오반응율을 산출하였으나 언어연령 일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이해는 가능하면서 이름대기에서만 오반응을 보인 문항의 경우에는 생활연령 일치집단은 물론 언어연령 일치집단에 비해서도 높은 오반응율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전반적으로 이름대기에 지체되어 있으며, 특히 알고 있는 낱말을 산출하는 데 특정적으로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준다. 오류유형 분석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서 목표낱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는 물론 이해하는 경우에도 "모르겠다"는 기타 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산출하였다. 그리고 다른 두 일반아동 집단과 마찬가지로 이름대기에서는 오반응을 보였으나 낱말을 이해하는 경우에는 의미적 오류를, 낱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시각적 오류를 많이 산출하였고, 두 경우 모두 음운적 오류는 거의 산출하지 않았다. 이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찾기 장애가 어휘산출과정 중 의미적 처리과정과 관련된 것일 수 있음을 제시해 준다. 연구 2는 연구 1의 결과를 중심으로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찾기 장애를 어휘산출과정의 측면에서 보다 분명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름대기에 점화가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목표낱말에 대한 의미적 점화와 무의미 점화를 제시하고 각 조건에서의 이름대기 오반응율과 오류유형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은 두 일반아동들과 마찬가지로 의미적 점화 조건에서 이름대기 오반응율이 감소하여 의미적 정화에 의해 이름대기가 촉진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여전히 일반아동들에 비해 높은 오반응율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찾기 장애가 의미처리과정에서의 문제일 수 있다는 연구 1의 결과를 지지해 준다. 오류유형 분석 결과, 두 일반 아동 집단은 무의미 점화조건에 비해 의미적 점화 조건에서 의미적 오류를 더 많이 산출하였고 기타 오류는 적게 산출한 반면,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두 점화조건 간에 의미적 오류가 상대적으로 차이가 없었고, "모르겠다"는 기타 오류도 두 조건 모두에서 동일하게 많이 산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의미적 점화에 목표낱말이 상대적으로 덜 활성화되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이 아동들의 낱말찾기 장애가 의미처리과정에서의 문제임을 확인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 1과 연구 2의 결과를 통하여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단순히 이름대기에서가 아니라 알고 있는 낱말을 산출하는 데 특징적으로 어려움을 지니며, 이는 어휘산출과정 중 의미적 처리과정에서의 결함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찾기 특성을 현상적인 특성만이 아니라 어휘처리모형을 기초로 그 원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찾기 특성을 이해하고, 평가나 중재전략을 결정하는 데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언어문제를 이해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단순언어 장애의 정의 및 언어적 특성 = 4 1. 단순언어장애의 정의 = 4 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특성 = 6 3.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언어특정적 장애에 대한 이론적 설명 = 8 B. 낱말찾기 장애의 정의 및 어휘처리과정 = 11 1. 낱말찾기 장애의 정의 및 특성 = 11 2. 어취산출과정 = 13 C. 단순언어장애의 낱말찾기 특성 = 18 1. 그림 이름대기에서의 낱말찾기 특성 = 18 2. 점화가 낱말찾기에 미치는 효과 = 21 Ⅲ. 연구 1 :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 25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문제 = 25 B. 연구방법 = 28 1. 연구대상 = 28 2. 검사도구 = 29 3. 연구절차 = 31 4. 자료분석 = 31 5. 신뢰도 = 33 6. 자료의 통계처리 = 33 C. 연구결과 = 34 D. 결론 몇 논의 = 46 Ⅳ. 연구 2 : 점화가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찾기에 미치는 효과 = 53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문제 = 53 B. 연구방법 = 56 1. 연구대상 = 56 2. 실험과제 = 57 3. 연구절차 = 58 4. 자료분석 = 59 5. 신뢰도 = 60 6. 자료의 통계처리 = 60 C. 연구결과 = 62 D. 결론 및 논의 = 75 Ⅴ. 종합논의 = 82 참고문헌 = 91 부록 = 103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403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단순언어장애-
dc.subject아동-
dc.subject낱말찾기-
dc.subject어휘산출과정-
dc.title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낱말찾기 특성-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어휘산출과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Word-Finding Abilities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dc.format.pageix,, 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