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진경-
dc.contributor.author이진숙-
dc.creator이진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9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5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94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에밀 갈레(Emile Gallé, 1846~1904년)의 유리 공예의 주요 기법과 빛의 도입을 통해 작품에 부여한 상징적 의미들을 다루면서 그가 공예의 장식성을 한층 확장시켰음을 고찰한 연구다. 갈레가 유리 공예의 선구자로서 그것을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던 데는 19세기 말의 사회적, 예술적 배경이 있다. 갈레는 고향인 낭시 지역의 문화적 환경과 당시 유행한 아르누보(Art Nouveau)의 양식을 예술의 정신적인 기반으로 삼았다. 새로운 건축 소재로 대두된 철과 유리는 가소성이 풍부하여 성형이 자유로웠기 때문에 다른 어떤 재료들보다 아르누보 운동의 양식적 특색인 비대칭, 곡선, 유기적 형태들을 실현시키기에 적합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공예가들은 기법적 제약에서 한층 자유로워진 가운데 다양한 예술적, 조형적 실험을 할 수 있었다. 갈레는 이 새로운 미학 개념과 기술을 유리 공예라는 장르에 도입하고 발전시킨 선구자였다. 이처럼 갈레는 유리의 재질적 특성을, 작품의 조형성을 극대화시키는 요소로 적극 활용했다. 의미적 측면에서도 갈레는 식물, 과학, 문학에 대한 개인적 관심을 작품 속에 끌어들여 장식 모티브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그는 색채와 조각 장식 기법 개발에 몰두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유리 공예의 예술적 가능성을 탐구했다. 그 결과 갈레의 유리 공예 작품은 역사적으로 경시되어 온 공예의 위상을 끌어올렸다. 본고에서는 먼저 장식 기법을 시작으로 갈레의 유리 공예가 지닌 장식성을 살펴보았다. 갈레의 장식 기법은 크게 색채 장식과 조각 장식으로 구분된다. 갈레는 에나멜 등의 색채 장식 기법과 인그레이빙, 상감, 파티네이션 등의 조각 장식 기법을 사용하여 작품의 장식성을 효과적으로 부각시켰다. 특히 조각 장식의 입체적 효과는 유리의 가장 큰 특성인 투명성과 결부되어, 상징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그중에서 인그레이빙은 유리 표면을 선으로 조각하는 기법이다.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Orpheus and Eurydice)>에 표현된 머리카락의 섬세한 선이나 <잔 다르크(Joan of Arc)>에 나타난 공간 분할은 갈레 특유의 섬세하고 치밀한 장식 성향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예다. 또 상감과 파티네이션은 예술가의 감정과 세계관을 색채로써 표현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엉겅퀴(Thistles)>에는 상감 기법이 매우 의미 있게 나타나 있다.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 주는 자연 모티브를 다양한 색상으로 상감하는 기법을 사용한 갈레의 작품은 전통적인 유리 공예 작품들과 차별된다. 갈레는 이런 장식 모티브의 원천을 상징주의 문학과 고향인 낭시 지역에서 찾았다. 주로 매미, 잠자리, 난초 등 다양한 곤충과 식물들이 삶과 에너지의 순환 과정을 나타내는 소재로 사용되었다. 그는 보통의 예술가들이 선호한 아카데믹한 주제보다 자신이 관심을 기울여 왔던 자연주의적 모티브들을 택하여, 그 소재들의 유기적인 형태가 각종 기법을 통해 사실적으로 표현되도록 노력했다. 이런 상징주의적 특성은 화병 시리즈에서 두드러진다. 일명 ‘말하는 유리병’에서 갈레는 양식적으로는 장식 모티브와 시구를 병치시키고, 의미적으로는 신비한 미지의 물체에 주목하여, 자신의 독특한 세계관을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이것은 유리를 서정적이고 은유적인 표현 수단으로써 사용한 예다. 그리고 이 모든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다름 아닌 빛의 효과다. 갈레는 각종 장식 기법을 탐구하고, 상징주의적 의미를 부여하는 데 있어 빛의 굴절, 전도 등 유리 본연의 재질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그의 램프 작품은 전기를 통해 인공적으로 발생한 광선의 물리적 효과를 카메오 기법과 함께 실험한 것이다. 자연에서 따온 장식 모티브들을 투과한 빛이 램프가 놓인 공간에 퍼지도록 한 작품에서 그는 조형적 가능성을 한 차원 확대시켰다. 예를 들어 <버섯 램프(Mushroom Lamp)>는 유기적인 선을 사용하여 불이 켜진 공간을 마치 숲으로 장식한 듯한 효과를 내는 작품이다. 이와 같이 갈레의 작품을 분석해 본 바, 그는 단순한 아르누보 유리 공예 작가라기보다 아르누보 스타일의 상징주의 미학을 추구한 작가다. 갈레는 자연적 소재를 상징성과 연결한 의미화 작업으로, 공예 미술의 장식성이 갖는 의의를 확대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바로 이 점이 갈레를 다른 아르누보 예술가들과 구분 짓는 그의 독창성임을 본고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Dealing with Emile Gallé's main techniques in glass fine arts and symbolic meanings assigned to his work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light, this study has pointed out that Emile Gallé (1846~1904) had extended the ornamentality of applied fine arts. There were social artistic background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which Gallé, as a pioneer of glass fine arts, could develop the arts up to a higher level. Gallé based his artistic spirit on the cultural environment of his home town, Nancy, and on the Art Nouveau mode prevailing at that time. Iron and glass, appeared as new materials for construction at that time, are more adequate to realize the modal properties of the Art Nouveau movement like asymmetries, curves, and organic forms than any other material, because it is easy to shape them due to their rich plasticity. Based on these backgrounds of the age, crafts artists, much freer from technical restrictions, could carry out various artistic figurative experiments. Gallé was a pioneer who introduced, and hence developed, such new aesthetic concepts and technologies into the genre of glass fine arts. As such, Gallé positively utilized the material properties of glass as an element ultimately magnifying the formativeness of his works. On the semantic side, Gallé introduced his interest in plants, science, and literature into his works to extend the domain of the decoration motif. He explored artistic possibilities of glass fine arts while devoting himself to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of color decoration and sculpted decoration. As a result, Gallé's works in glass fine arts raised the status of applied fine arts, which had been underrated historically. This study first has examined the ornamentality of Gallé's glass fine arts to begin with his ornamental techniques. Gallé's ornamental techniques fall mainly into the color decoration and the sculpted decoration. He effectively made the ornamentality of his works conspicuous using the color decoration techniques with enamel and the sculpted decoration techniques like engraving, marquetry, and patination etc. Especially,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sculpted decoration effectively conveys symbolic meanings together with translucency, one of the most prominent properties of glass. The fine lines of hair expressed on Orpheus and Eurydice, and the composition appeared in Joan of Arc are representative examples that show Gallé's own delicate and elaborate ornamental disposition. The marquetry and patination were used mainly to express artists' emotion and view on the world with colors. The marquetry appears very significantly on Thistles. Created by the technique inlaying natural motifs that reveal the artist's emotion in various colors, Gallé's works are distinguished from the works in the traditional glassware. Gallé sought the origin of these decoration motifs in the symbolist literature and his hometown, Nancy. He used various insects like cicadas and dragonflies, and plants like orchids as subject matters of his works. Selecting naturalistic motifs that he had paid attention to rather than academic themes that common artists preferred, Gallé's tried to realistically express organic forms of those subject mattes with various techniques. These symbolistic properties are the most conspicuous in his vase series. In so-called Verreries Parlantes, Gallé coordinated the decoration motif and poems on the side of mode, and symbolically revealed his unique view on the world on the semantic side by paying attention to unidentified mysterious objects. This is an example to use glass as a lyrical and metaphorical instrument of expression.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all these works is the effects of light. Gallé payed attention to the material qualities of glass such as refraction of light and conduction in the exploration of various decoration techniques and the assignment of symbolistic meanings. Specifically, his works of lamps are resulted from the experiment, with the cameo technique, of light rays' physical effects generated artificially by electricity. He expanded the figurative possibility a step further with his works in which, after penetrating the decoration motifs from the nature, the light is spread over the space where the lamp is placed. For example, Mushroom Lamp has the effect as if the lighted space is decorated with a forest using organic lines. Analyzing Gallé's works in this line, he was an artist who pursued the symbolistic aesthetics in Art Nouveau style, rather than a common Art Nouveau artist of glass fine arts. Gallé tried to extend the significance of the ornamentality of applied fine arts with his work in making meanings of natural subject matters in relation with symbolism. Just for this originality, Gallé is distinguished from other Art Nouveau artists, which this study tries to explicat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 개요 = ⅱ Ⅰ. 서론 = 1 Ⅱ. 갈레의 유리 공예의 배경 = 6 A. 유리의 기원과 발전 = 6 B. 아르누보와 유리 공예 = 9 C. 낭시(Nancy)의 문화적 배경 = 18 Ⅲ. 유리의 특성을 통해 확장된 장식성 = 21 A. 표현 기법을 통한 장식성 = 21 1) 색채에 의한 입체적 표현 = 21 2) 조각에 의한 3차원적 장식성 = 28 B. 자연주의에 의한 조형성 = 34 1) 자연 모티브 = 34 2) 선과 형태의 유기적 통합 = 42 C. 빛에 의한 조형 공간의 확장 = 48 1) 화병 시리즈 = 48 2) 램프 = 54 Ⅳ. 결론 = 59 참고 문헌 = 63 도판 = 69 도판 목록 = 70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784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에밀갈레(Emile Gall&eacute;)의 유리 공예에 나타난 확장된 장식성-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Lee, Jin-Sook-
dc.format.pageⅳ,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