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6 Download: 0

한무숙 소설 연구

Title
한무숙 소설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an4 Moo Sook's Novels - Focusing on a Critical Percep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
Authors
조혜윤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美賢
Abstract
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an Moo Sook's objective and general understanding of reality, focusing on her novels' critical percep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contrary to the unilateral estimation that she is a past oriented author. The period of 1950s, when her author spirit was established, was the time that for the people who experienced extremities resulting from the Korean War, the understanding of tragedy of the realistic society as well as observation of individuals who could not help being isolated was prevalent as an important subject of a novel. However, Han Moo Sook's novel focuses on reality facing the two categories, 'tradition,' and 'modernity' rather than tragedy from the absurdity of the Korean War and the following devastated reality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ostwar novels. This study based on a critical perception of the two realistic categories observes both duality which the modern reality has in the external irony dimension and duality which traditional reality has in the internal irony dimension as a frame of ultimate understanding of Han Moo Sook's general literary works. This simultaneous consideration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sides can lead to introspection on self-existence as well as general awareness towards reality. Chapter Ⅱexamines subjective figures, who directly experience modern reality and represent it as well, the internal & external space implying modern duality and linguistic aspects as a way of expressing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of modernity. Here, intellectuals representing modernity appear. These people are shaped as figures who pursue self-awareness through the rational and self-controlling behaviors, resisting existing systems and customs. However, on the other side, they also seem rather isolated and disrupted in a westernized education and modernized society. This modern duality is substantiated by hospitals and cities as modern space. Hospitals which are based on the value of service and benevolence and are equipped with up-to-date medical facilities and cities which display magnificent technical development exercise suppression on outsiders such as vagrants, psychos, poorest income group on the other side of their positive images. Also, the language of various figures experiencing and representing both modern positive and negative qualities of modernity is mixed with that of the narrator who holds a critical view of the both sides of modernity. In other words, with polyphonic language and rhetoric irony in the form of a double narrator, the author's awareness gets substantiated about modern duality which exists on the other side of progressive subjectivity through sarcastic language revealing modern falsehood and suppression. Chapter Ⅲ studies passive figures who are internalized through morals and a social convention and who are used as an object to substantiate traditional reality, internal space where the traditional reality is displayed as a system and language as a narrative strategy which reveals traditional duality. Negative property of tradition such as suppression under patriarchal society and rigid social class system plays a role as a sort of a system through morals and a social convention. In Han's novels, passive figures appear and merely accept their given lives rather than actively confront the unconsciously internalized system with a critical view and subjective intension. However, they try to overcome the negative property of tradition inherent in their life styles and customs with community spirit. Namely, positive traditional property such as love and harmony for family and neighbors and community spirit stemmed from dedication stands against the negative traditional property and function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with negative traditional property at the same time. The internal space as a setting for the passive figures is mainly their home towns or home, but the formation of the setting is out of the ordinary in such situations of absence of father or unusual family relationships. In addition, an undeveloped and uncivilized home town is chosen for the background. In this internal space, suppression coming out of feudal social class system and patriarchal ideology is formed in a concrete way, but on the other side, ethical consciousness between family members such as filial piety, fraternal love and generosity is firmly rooted and tries to find its genuineness. Also, through first person narrative, confession-toned language and mutual communication which show that the character suffers from internal conflict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traditional property make it possible to reconfirm the positive value of tradition. Therefore, the dual value of tradition is substantiated through the language for mutual communication used as a way to overcome identity crisis. It seems that modern sense elevates the concrete human life as people attain physical abundance and the improved quality of life. However, the modern sense which leads to development of the whole society and emphasizes rationalism and efficiency changes into a violent form as reason becomes an instrument. As a result, separation of nature by humans and separation of humans by themselves has arisen, followed by serious crisis in human society in the forms of lost humanity, ethical confusion and disorder. The general critical percep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value of modernity is concretely formed in Han's literary works. Her critical perception of modern duality and the profound concern result in vigorous interest in the positive value of tradition internalized in our unconsciousness for a long time, through convention and social customs. She does not present egoism of absolute individuals causing mutual isolation and separation among humans, but emphasizes that the universal human system is an indeed positive property produced in tradition where people try to resolve conflicts with others different from themselves through community spirit based on family-oriented solidarity. Furthermore, in her works, she suggests that the parallel mutual trust and lov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quality regar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is formed on the basis of ethical norms among family members. Also, Han asserts that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morals, in a way of unification and harmony, are the solution to various confusing situations and problems coming from modern reality. Accordingly, Han's literary world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her works does not belong to the general trend found in 1950s' novels where the prospect of future is absent, and she makes an effort in her works to pursue a prospect of active problem-solving in our lives through objective general perception of reality.;본 연구는 한무숙 소설의 전통과 근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중심으로 지금까지의 과거 추수주의 작가라는 그에 대한 일방적인 평가에서 벗어나 한무숙이 지닌 객관적이고 총체적인 현실 인식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의 작가적 의식이 확립된 1950년대는 한국 전쟁이 빚어낸 한계 상황을 체험한 인간들에게 현실 사회의 비극성에 대한 인식과 아울러 그것과 유리될 수밖에 없는 개인에 대한 탐구가 소설의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던 시기이다. 그러나 한무숙의 소설은 다른 전후소설이 갖는 주요한 특징인 한국 전쟁의 부조리성과 이후의 황폐한 현실에 대한 비극성에 중점을 두기에 앞서 ‘전통’과 ‘근대’라는 당면한 두 가지 범주의 현실에 주목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현실 범주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전제로 한무숙의 전반적인 작품 세계에 대한 궁극적인 이해의 틀로써 근대적 현실이 갖는 이중성을 외적 아이러니의 차원에서 고찰하고 전통적 현실이 갖는 이중성을 내적 아이러니의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 · 외적 측면의 동시적 고찰은 현실에 대한 총체적 인식은 물론이거니와 자아의 존재론적 성찰에까지 이를 수 있게 한다. Ⅱ장에서는 근대적 현실을 직접 체험하며 그것을 대변하는 주체적 인물과 근대의 이중성을 함축하고 있는 /외/공간, 그리고 근대의 긍정적 가치와 부정적 가치를 표출하는 방식으로서의 언어적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근대를 대표하는 인물로서의 지식인이 등장한다. 이러한 지식인들은 기존의 제도와 관습에 저항하여 이성적 · 자율적 행위를 통해 ‘자의식’을 추구하는 인물로 형상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표면의 주체적인 모습의 이면에 서구화된 교육과 근대화된 사회 속에서 오히려 소외되고 분열되어가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근대의 이중성은 근대적 공간으로 등장하는 병원과 도시를 통해 구체화된다. 봉사와 박애를 기치로 첨단적 의료 설비를 갖춘 병원과 화려한 기술의 발전을 보이는 도시가 그러한 긍정적 가치 이면에 부랑자, 정신병자, 도시 빈민 등 주변부에 대한 억압적 양상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근대의 긍정성과 부정성을 체험하고 대변하는 다양한 인물의 언어가 그것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는 서술자의 언어와 혼합되어 나타나는 양상, 이중적인 서술자의 형태가 공존하는 다성적 언어의 양상과 반어적 기법으로써 진보적 주체성의 이면에 존재하는 근대의 허위성과 억압적 양상을 폭로하는 풍자의 언어를 통해 근대의 이중성에 대한 작가의 인식이 구체화된다. Ⅲ장에서는 풍속과 습속으로 인해 내면화 되어 나타나는 전통적 현실을 구체화하는 수동적 인물과 그러한 전통적 현실이 제도로써 발현되고 있는 /내/공간, 그리고 전통의 이중성을 드러내고 있는 서사 전략으로서의 언어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부장제의 억압, 신분제의 억압 등 전통의 부정적 속성은 풍속과 습속을 통해 일종의 제도로써 기능한다. 한무숙 소설에서는 이미 무의식적으로 내면화된 이러한 제도에 대해 비판적 시각과 주체적 의지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보다 주어진 삶에 순응하고 수동적으로 행위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러나 이들은 생활양식과 관습으로 내재된 전통의 부정성에 대해 공동체 의식으로 그것을 극복하고자 한다. 즉 가족과 이웃에 대한 사랑과 조화, 헌신에서 비롯되는 공동체 의식은 전통의 긍정적 가치로써 전통의 부정적 가치와 상호 대립적으로 존재하는 동시에 그것에 대한 문제 해결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물의 주 행동공간인 /내/공간은 집과 고향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나 그 구성이 일상적 형태에서 벗어나 있다. 가정 내의 온전한 구성에서 벗어나서 아버지가 부재하거나 그 관계가 정상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낙후되고 미개한 환경의 고향을 그 배경으로 한다. 이러한 /내/공간에서는 봉건적 신분제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복합적으로 빚어낸 억압적 측면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있으나 그 이면에는 효(孝) · 제(弟) · 자(慈)와 같은 가족 상호 간의 윤리 의식이 공고히 자리 잡고 있어 그 본래의 진정성을 찾아가고 있다. 또한 1인칭 서술을 통해 인물이 전통의 긍정적 가치와 부정적 가치에 대한 내면적 갈등을 토로하는 고백의 언어와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전통의 긍정적 가치를 재확인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위기를 극복하는 소통의 언어를 통해 전통의 이중적 가치가 구체화된다. 물질적 풍요로움과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근대의 논리는 구체적인 인간의 삶을 고양시키는 듯 했다. 그러나 합리화와 효율성을 주장하며 사회 전반의 발전을 선도하는 근대의 논리는 이성의 도구화가 진행되면서 폭력적인 형태로 변질된다. 그 결과 인간에 의한 자연의 소외와 인간에 대한 인간의 소외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인간성의 상실, 도덕적 혼란과 무질서 등 인간 사회의 심각한 위기 현상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근대의 긍정적 가치와 부정적 가치에 대한 총체적이고 비판적인 인식은 한무숙의 작품 속에서 구체적으로 형상화된다. 이러한 한무숙의 근대의 이중성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그 부정적 양상에 대한 심각한 고민은 풍속과 습속을 통해 오랜 시간동안 우리의 무의식으로 내면화된 전통의 긍정적 가치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는 인간 상호 간의 소외와 단절을 야기하는 ‘절대 개인’의 이기주의를 상정하지 않고 이질적인 인간들 사이의 불협화음을 가족주의적 연대감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 의식을 통해 해소하려는 보편적인 인간 질서가 곧 우리의 전통적 현실이 산출한 긍정적 가치임을 역설한다. 또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수평적 상호 신뢰와 사랑은 가족 구성원 내의 윤리 규범을 기반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서로에 대한 배려와 윤리 의식은 통합과 화합의 방법론으로 근대적 현실이 야기한 여러 가지 혼란한 상황과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단초임을 그의 작품 내에서 시사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