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주의(周衣) 보편화의 과정과 요인 연구

Title
주의(周衣) 보편화의 과정과 요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niversalization Procedure and Primary Factors of Jueui(周衣)
Authors
이경민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universalization procedure and primary factors of Jueui(周衣) which have been emerged since Kabshin costume reform(甲申衣制改革) and worn until now. After an opening a port to foreign trade, 1876, Chosun society faced a transition period to found a modern society. It made several modern reforms come into effect to go through a new era. Among those improvements, there was a costume reform. This thesis analyzed universalization procedure and primary factors of Jueui in relation to rapidly changing social situation because Jueui has been common through these social circumstances. The universalization of Jueui had been processed through three steps; first, emerging and resistance, second, acceptance and proliferation, third, improvement and transformation. Jueui had been emerged by abolition of all coats with wide sleeves. And the wearing of coats with narrow sleeves, began from Kabshin costume reform, 1884. This was a big shock to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therefore, ministers and Confucian had opposed vigorously because wearing coats with wide sleeves were their way of showing their status and authority. In spite of these public opinion, king Kojong(高宗) strongly insisted the costume reform and carried his point for reform. However, due to the failure of KabshinJungbyun(甲申政變), Oct. 1884, the first costume reform trial had failed. But ten years later, during Kabokungjang(甲午更張), Jueui had been rapidly accepted and spread by formal costume reform. After change of overall society, the people needed simple and active costume. Also, they evaluated Jueui positively which had been presented by costume reform. Soon after, western dress, an influx from the opening a port, became an example of costume improvement which was a way of lifestyle improvement. Jueui had been made of woolen fabric. Moreover, dark colors such as brown, gray and black had been generated. Convenience has been emphasized by knot buttons instead of fastening ribbons and fixing side slit for putting hands. There are six primary factors that made the universalization of Jueui possible. First, there was a change of social position status. Social position status, which was a core for premodern social structure of Chosun dynasty, of the YangBan became unsteady. In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social position status change had been accelerated to the ascent status group. This change had an influence upon costume, then coats which was a mirror of premodern social structure. Second, there was formation of idea for civilization. Civilization, formatted in 1850's, was a helping idea to gather early civilized group as a political clique. Also, in the beginning of 1880's, the government promoted progressive modernization policy at homeland and abroad. Especially, early civilized group who were accredited to foreign countries had chances to know literary civilization and the national prosperity with defense. With the basis of these knowledge, they proposed costume reform while they pushed reform policy in the society at large. It was embodied into Kabshin costume reform which made people wear Jueui. Also I effects costume reform during Kabokyungjang. Third, there was special feature of Jueui in shape. During progress to modern society, people recognized that traditional costume has inconvenience in working. A change from excessive ornaments and uncomfortable costume to simple silhouette had been required. Jueui was coats with narrow sleeves and did not have slit, so that there was no need to wear on over another compared to coats which was popular at that time. Features were fitted to the needs of the times such as simplicity and activity. Fourth, there were government's costume reform and Japanese Empire's interference. After rising of necessity for costume reform according to new social needs, the government made Jueui emerging and helped people's acceptance and spread more rapidly by making laws and regulations. Besides, interference from Japanese Empire by Japanese financial profit, mind obliteration, and the exploitation of labor were about costume improvement such as coercing for wearing western dress, color, and simplification in shapes. Also Jueui had been influenced. Fifth, there was a change of understanding in Jueui. The officials, Confucian and people were opposed to kabshin costume reform furiously. As a result of failure of Kabshinjungbyun, it was abolished to pacify Conservatives' opposition in the government. People started to wear coats with wide sleeves again. However, some people wore Jueui and provided positive information about Jueui to other people and many of them might try Jueui to see whether it fitted to them or not. Therefore, the number of people who wore Jueui grew more and more. There were not only a big resistance when Jueui was appeared by costume reform in Kabokungjang. Moreover, people were excited to costume reform. And knowledge about Jueui had been renewed with social change during ten years. Last factor is the influence of western dress and costume improvement campaign. Western dress became an example of costume improvement which was on way of lifestyle reform because of admiration of an advanced culture practicality and pursuit of function. Therefore people made improvement in korean dress and wore korean dress with western dress. This process was spread to progressive costume reform in the press, social organization and education organization. During this trend, Jueui had been appropriated and became a common style. Also, there were change in shapes at the same time. These factors leaded to the successful universalization of Jueui by affecting the procedure of emersion in kabshin costume reform(1884), acceptance, proliferation in Kabokungjang(1894) and improvement and change. Moreover, the limits of wearing had been enlarged not only to the universalization as men's coats but also to ceremonial dress. Women started to wear Jueui as winter clothes. As a result of this study on the universalization and factors of Jueui, the universalization means the beginning of modernization in Korean costume which was universal tread such as functional extinction of status meaning costume, simplification of costume and pursuit to activity. It reflects social change as transition period to modern society. This thesis had focused on the universalization of Jueui. However, the precise origin of jueui and changing process may be done and more studies results about Dopo(道袍) or Chaneui(氅衣) should be accumulated.;본 논문은 갑신 의제개혁 이후 부각되어 현대까지 착용하고 있는 주의(周衣)의 보편화 과정과 그 요인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조선사회는 1876년 개항 이후 근대사회를 수립해야 하는 시대적 전환기를 맞이하였으며 새로운 시대로 도약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근대적인 개혁을 실시하였다. 그 가운데 주의를 중심에 둔 의제개혁(衣制改革)이 있었고 주의는 이러한 사회상황 속에서 보편화되었기 때문에 당시의 사회 변화현상과 관련지어 주의 보편화의 과정과 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의의 보편화는 부각과 반발, 수용과 확산, 개량과 변화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1884년 갑신 의제개혁(甲申衣制改革)에서 모든 광수의(廣袖衣)를 폐지하고 착수의(窄袖衣)인 주의를 입도록 하였다. 이것은 조야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특히 광수의로써 자신들의 신분과 권위를 표시하였던 조정 대신과 유생들은 격렬하게 반발을 하였다. 이러한 반대여론에도 고종은 의제개혁을 강력히 주장하면서 개혁의지를 관철시켰지만 1884년 10월 갑신정변(甲申政變)의 실패로 인하여 최초로 시도된 주의로의 복식개혁은 무산되고 말았다. 하지만 10년 후 갑오경장(甲午更張)기의 공식적인 의제개혁을 통해서 주의는 급속히 수용 · 확산되었다. 그간 국민들도 사회 전반의 변화와 발전을 겪으면서 간편하고 활동적인 복식의 필요성을 느꼈고 의제개혁에서 제시했던 주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기 때문이다. 이후 개항과 함께 유입된 양복은 생활개선의 한 방편으로 진행되었던 의복개량의 표본이 되었으며 주의도 그 여파로 개량이 시도되었다. 주의를 모직(毛織) 등의 양복지로 만들었으며 양장식 바느질법이 도입되었고 갈색 · 회색 · 검정색 등 어두운 색조가 일반화되었으며 고름 대신 단추를 달거나 손을 넣을 수 있는 아귀를 만드는 등 편리함이 더해졌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 주의의 보편화를 가능하게 했던 요인은 다음의 6가지이다. 첫째는 신분제도의 변동이다. 조선왕조의 전근대체제를 유지하는 기둥이었던 양반 중심의 사회 신분제도는 17세기 이후 사회경제적인 변화와 발전으로 점점 흔들리기 시작하여 19세기로 접어들면서 신분의 상승이동 방향으로 신분제도의 변동을 가속화시켰다. 신분제도의 변동은 복식에도 영향을 미쳐, 전근대적인 사회구조를 반영하고 있던 넓은 소매의 포(袍)들을 폐지하고 주의로 대체하여 관민(官民)이 평등하게 입기에 이르렀다. 둘째는 개화사상의 형성이다. 1850년대에 형성된 개화사상은 그 후 정치세력으로서 초기 개화파를 형성하기 시작하였으며 정부도 1880년대에 들어서면서 국내외로 적극적인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특히 외국에 사절단으로 파견되었던 초기 개화파들은 문명개화와 부국강병의 실상을 접하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 전반의 개혁을 추진하면서 의제개혁도 건의하였다. 이는 주의를 착용하도록 하는 갑신 의제개혁으로 구체화되었고 갑오경장기에 발표된 의제개혁들에도 영향을 미쳤다. 셋째는 주의의 형태적 특징이다. 근대사회로의 진행은 전통복식이 활동에 불편함을 인지하게 하였다. 과도한 장식이나 활동하기에 불편한 형태의 복식에서 단순하고 간소한 실루엣으로 변화가 필요하였다. 당시에 유행하던 편복포(便服袍)들에 비해 주의는 착수(窄袖)이고 트임이 없어 여러 겹을 겹쳐 입을 필요가 없다는 특징이 간편함과 활동성을 필요로 하는 시대적 요구에 가장 부합했던 것이다. 넷째는 정부의 개혁정책과 일제의 간섭이다. 정부는 새로운 사회의 요구에 걸맞는 의제개혁의 필요성이 대두되자, 주의라는 구체적인 논의를 이끌어 내어 법령을 반포함으로써 주의를 부각시키고 수용과 확산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었다. 또한 일제의 경제적 이익과 조선의 정신말살, 노동력 착취의 식민정책의 일환으로 진행된 복식에 대한 간섭은 양복 착용과 색의(色衣)의 착용강요, 형태의 간소화 등 의복개량에 관한 것으로 주의 역시 영향을 받았다. 다섯째는 주의에 대한 인식변화이다. 갑신 의제개혁에 대해 조정관리, 유림, 백성들은 맹렬히 반대하였다. 결국 갑신정변의 실패로 인하여 조정 내 보수파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하여 철회되었고, 사람들은 다시 광수의를 착용하였다. 하지만 그 후에도 주의를 계속 입었던 사람들이 있었고 이들이 주의를 착용하면서 주의에 대한 긍정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주의를 입는 사람이 하나둘씩 늘어나 갑오경장기의 의제개혁에서 주의가 다시 등장했을 때 큰 반대와 저항은 없었고 오히려 주의를 착용하라는 의제개혁을 환영하였다. 10년 동안 사회적 변화와 함께 주의에 대한 인식도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양복의 영향과 의복개량운동이다. 양복은 선진문화의 동경과 실용성, 기능성 추구라는 점에서 의복개량의 표본이 되어 한복을 개량하거나 양복과 혼용하여 착용하였다. 이것은 언론, 사회단체, 교육기관 등의 적극적인 의복개량운동으로 확산되었으며 이 흐름 속에서 주의도 수용되고 급속히 확산되어 가는 동시에 그 영향으로 인한 형태상의 변화를 하게 되었다. 이들 요인은 주의가 1884년 갑신 의제개혁에서 부각되어 1894년 갑오경장을 거치면서 수용 · 확산되며 그 후 양복의 급속한 확산과 함께 개량 · 변화하는 보편화 과정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 주의의 보편화를 성공으로 이끌었다. 또한 남자의 편복포로서 보편화 뿐만 아니라 생활의 간소화로 예복(禮服)으로까지 착용범위가 확대되었으며 여성도 방한용(防寒用)으로 주의를 입기 시작하였다. 이상에서 주의 보편화의 과정과 요인에 대해 살펴본 결과, 주의의 보편화는 복식의 신분 상징기능의 소멸과 의복의 간소화, 활동성 추구의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춘 한국복식 근대화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당시 근대사회로의 이행기라는 사회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었다. 본 논문은 주의의 보편화에 집중하였으나 앞으로 주의의 정확한 기원과 변화, 발전 과정에 대한 연구 또한 하루 속히 진행되어 여러 가지 편복포들 이상의 연구결과가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