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32 Download: 0

공공도서관의 그림책 분류에 관한 연구

Title
공공도서관의 그림책 분류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천숙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ethods of the picture books' classification in an effective and systematic way based on the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in order to manage and use pictures books properly in public libraries. This paper consists of the literature researches, case studies,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picture books' classification focusing on the characters and genre division of picture books. The literature researches included the definition and category of the picture book, and also its forms, contents, and genre factor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inspect the classification of picture books with the survey groups, 42 public and 14 private children's libraries. The case studies also investigated the present condition of picture books' classification in the public libraries with KDC.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First, 84% of surveyed public libraries possess over 10,000 children's books so that exceed the KDC standard about the collection volume of children's library. Most of libraries were inspected that they used location marks and colored labels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Second, all public libraries classify picture books with KDC, whereas the private children's libraries classify with home-made schemes. The librarians who manage classification have opinions that picture books should be classified by the subject of book's content and into not less than the section level. It is also investigated by the survey that the classification schedules are required to modify in the parts, given a weight on picture books, such as social science, pure science, technical science, and literature. The followings are the problems resulted from the analysis of picture books' classification. First, most of public libraries classify picture books as not books but series.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number can not reflect the various characters of picture books. Also, most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s are classified in the schedule number 375 elementary education, or number 800 literature. Second, many translated narrative picture books are given the classification numbers based on the author's nation and residence, or double translation.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no consistency in the classification level for narrative picture books. Most of public libraries classify and arrange the traditional fairy tales and the creative fairy tale books separately. Based on the results from surveys, classification rules and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the effective methods of picture books' classification. First, a picture book should be treated as a separate volume even if it is published in a series form. Second, a picture book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ook's subject and content. Third, a picture book should be classified in conformity to author's intention and purpose. It is also required to be classified into the proper division in line with the genre of book, and the classification of an informational picture book should reflect the author's intention. Fourth, a picture book about only one subject should be classified by that subject. When it comes to a picture book reflecting several subject equally, it should be given the first-mentioned classification number, or having a primary subject, it is classified into that division. Fifth, the translated narrative picture book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anguage of original work. Followings are the suggestions about picture books' classification in the public libraries. First,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arranged by considering the level of ages, and especially the picture books, for the ages from 0 to 3 years old, should be placed in another section. Second, the colored label should be required for library users to recognize the picture books' classification visually. Third, the traditional fairy tale books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narrative picture books. Followings are the prerequisite for the classification rules to be applied effectively. First, the library should have growing concerns about the picture books. Also, the problems of current classification for the picture books should be analyzed, and then applied to the adjustment of KDC. Second, classification number within ISBN and CIP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librarians could refer to those systems and the classification numbers of picture books could be reliable. Finall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ules for picture books and the adjustment rules of KDC, a new KDC is suggested such as the classification number of 080 general collected books, 300 social science, 400 pure science, 500 technical science, and 800 literature, the subdivision tables for the literary forms, and the relative index.;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그림책 관리 및 이용에 적합하도록 ‘한국십진분류법’(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이하 KDC)에 바탕을 두어 그림책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그림책의 특성과 그림책의 장르 구분에 초점을 맞추어 공공도서관의 그림책 분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및 면담, 사례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그림책의 개념과 범위를 규정하고, 형태적 . 내용적 측면을 고찰하였으며, 그림책의 장르 요소를 추출하였다. 그림책 분류와 관련한 일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공공도서관 42곳과 사립 어린이 도서관 14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공공도서관의 그림책 분류번호 분석을 통해 KDC에 기반한 그림책 분류 현황을 조사했다. 설문조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공공도서관 어린이 열람실의 84%는 10,000권 이상의 단행본을 소장하고 있어 KDC에서 정한 어린이 도서관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대부분의 조사대상 공공도서관과 사립 어린이 도서관에서는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별치기호나 레이블을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모든 공공도서관이 KDC를 사용하여 그림책을 분류하는 반면, 모든 사립 어린이 도서관에서는 자체분류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설문대상 분류담당자들 대부분은 그림책을 다루고 있는 내용 주제 분야에 분류해야 하며, 그림책의 분류 수준은 요목 수준 이상이 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림책의 비중이 높은 분야인 사회과학, 순수과학, 기술과학, 문학 분야에 분류표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책 분류번호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에서는 그림책을 단행본이 아닌 총서로 분류하고 있어 그림책이 가진 다양한 측면이 분류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정보그림책은 375대에 분류하거나, 800대 문학에 분류되고 있었다. 둘째, 번역 이야기그림책 상당수에 저자의 출신과 거주지, 이중번역 등에 근거하여 다양한 분류번호가 부여되고 있었으며, 이야기그림책의 분류 적용 수준에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은 이야기그림책에서 전래동화를 창작동화와 분리하여 분류, 배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그림책 분류 개선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분류원칙과 제안사항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분류원칙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은 총서로 나온 경우에도 단행본으로 처리한다. 둘째, 주제나 내용의 유사성을 근거로 그림책을 분류한다. 셋째, 그림책은 저자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분류한다. 그림책은 글의 장르를 고려하여 해당 분야에 분류해야 하며, 특히 정보그림책의 경우 저자의 의도에 따라 그림책을 분류해주어야 한다. 넷째, 한 권의 그림책에서 단일 주제를 다루고 있을 경우 해당 주제에 분류하며, 복합주제가 동등하게 다루어지고 있을 때는 KDC 번호에 근거하여 가장 앞에 오는 주제 아래 분류하고,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주제가 있다면 그 주제 아래 분류한다. 다섯째, 번역된 국외 이야기그림책은 원저작 언어에 따른 분류번호를 부여한다. 그림책 분류와 관련한 제안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별 수준을 고려하여 유아를 위한 그림책을 별치하고, 0세에서 3세까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그림책도 따로 모아 배가해 주어야 한다. 둘째, 도서관 이용자들이 그림책의 분류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별치기호를 부여하고, 레이블을 사용해야 한다. 셋째, 이야기그림책에서 전래동화를 유리시키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그림책의 분류 제안 사항이 효과적이기 위한 전제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그림책 분류사서 뿐 아니라 도서관 관계자들의 그림책 분류에 대한 인식과 관심의 향상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그림책 분류 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KDC 개정시 반영해야 한다. 둘째, 그림책 분류번호에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분류시 참고할 수 있는 정확한 ISBN 내용분류기호를 부여하고 CIP 제도를 정착시켜야 한다. 끝으로 그림책 분류를 위한 분류원칙과 KDC 수정 원칙을 토대로 본표의 080 일반전집, 300 사회과학, 400 순수과학, 500 기술과학, 800 문학 분야의 분류번호, 주기사항 수정과 함께 문학형식구분표, 상관색인에 해당하는 KDC 수정안을 제시했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