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순경-
dc.contributor.author유연정-
dc.creator유연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0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5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009-
dc.description.abstract사회보장적 복지체계의 마련 없이 임금을 통해 생계유지와 복지 증진을 꾀해온 한국사회는 경제위기 이후 빠른 속도로 빈곤화의 경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정부, 학계, 시민단체 등에서는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복지 정책을 내놓고 있다. 특히 빈곤이 여성가구주에게 집중적으로 나타나면서 이들의 빈곤 실태와 원인에 주목하여, 여성의 빈곤 탈피를 위해서 총체적인 복지 개입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해온 바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복지 수급자인 여성가구주들은 수급을 회피하거나 복지 자원을 부정적으로 사고하는 등의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복지 자원의 활용을 어렵게 하여 결과적으로 탈빈곤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여성가구주의 복지 인식 및 복지 활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여성가구주들의 부정적인 복지 경험을 가부장적 일의 윤리와 성역할 규범에 따른 사회적 낙인으로 보고, 그들의 경험에 착목하여 낙인이 발생되는 원인과 그에 따른 영향을 구체적으로 문제화 하였다. 이를 통해 복지 수급자인 여성가구주에게 부과된 낙인은 이들에게 심리적 고통을 안겨줄 뿐 아니라 불평등한 성별관계를 고착시킨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공공부조의 수급 경험이 있는 빈곤 여성가구주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하였다. 이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사회복지 전담자들 역시 보조사례로 심층면접 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자활후견기관에서의 실무 경험을 통해 공공부조 정책이 실행되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 문제 해결에 있어 가족의 책임과 노동시장에서의 경제적 자립을 강조하는 지배적인 인식은 복지 수급자인 여성가구주들을 결핍된, 능력을 상실한, 의지가 약한 등의 열등하고 부정적인 존재로 규정짓는다. 복지 지위를 갖는다는 것은 바로 빈곤을 규정짓는 가부장적 편견과 낙인에 직면하는 것이 된다. 공공부조의 부양의무자 조건과 복지 전달자가 갖는 왜곡된 빈곤 인식은 복지 수급자인 여성가구주에 대한 낙인을 강화, 재생산시키는 기제라 할 수 있다. 둘째, 공공부조의 부양 의무자 조건으로 인해 여성가구주들은 수급 과정에서 남편의 부재, 능력 상실을 강조하거나 과장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이 과정은 자신들에게 필요한 복지 자원을 얻는 계기가 되는 반면, 여성 빈곤이 남성생계부양자의 상실, 기능적 결핍에서 기인한다는 왜곡된 빈곤 인식을 갖게 한다. 셋째, 여성가구주들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복지 지위를 은폐하여 낙인의 상황을 조정하려고 애쓴다. 이는 여성들 간의 지지망 형성을 저해하고 정보 소통 역시 어렵게 만든다. 넷째, 낙인에 따른 반복되는 체념과 상황의 회피는 여성들의 복지 욕구를 위축되게 만들 뿐 아니라 복지 자원 활용을 어렵게 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탈빈곤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내용은 복지 수급자인 여성가구주들이 겪는 낙인의 문제가 이들의 탈빈곤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복지 낙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의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을 초래하는 여성의 저임금 시장 구조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토대로 최저임금을 현실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사회보험제도를 개선함으로서 비정규직 여성들이 복지 제도에서 배제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여성들의 복지권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여성가구주의 탈수급을 위한 토대 구축으로서 사회적 인프라 확충이 요구된다. 넷째, 가부장적 규범과 가치를 내재하고 있는 기초법의 부양의무자 선정 기준은 폐지되어야 한다. 빈곤층의 생계여건에 따른 욕구 조사에 근거하여 복지 급여를 분리하고 복지 서비스를 보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복지 수급자들이 복지 권리 의식을 갖고 공공부조 정책에 임할 수 있도록 기초법 교육과 상담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복지의 주체인 여성가구주들이 낙인에 따른 부정적인 결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여성가구주의 자존감 회복 등과 같은 인성적 차원의 변화가 요구된다.;Korean society, which has aimed to improve living and welfare through labor income without any social welfare system, is rapidly heading towards poverty. Therefore, the government, the academic sector, and civil organizations are proposing various welfare policies to solve these poverty problems. As poverty is concentrated among female householders,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level and causes of their poverty and have emphasized the need to provide integrative welfare services for anti-poverty. However, female householders in reality avoid welfare support or regard welfare resources negatively. This makes the use of welfare resources difficult and as a result obstructs anti-poverty movements. Concentrating on the above facts, this study analyses the socio-cultural factors that have negative influences on the female householders' recognition and use of welfare services. Negative welfare experiences of female householders are thought to be caused by the social stigma that is rooted in patriarchal work ethic and gender role norm. Therefore, their experiences were examined to clarify why such a stigma exists and what kind of influence it has. In result,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stigma imposes on female householders, who are welfare recipients, and not only brings them psychological distress, but also solidifies gender inequity.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poor female householders who have a experience of receiving public assistance. The following have been revealed by this study: First, dominant social recognition that emphasizes the responsibility of family in poverty problems and economic independence in the labor market stipulates that female householders are inferior and negative beings who are incapable and weak. Having welfare status is confronting patriarchal prejudices and stigmas that stipulate poverty. Family obligation requirement of public assistance and the distorted recognition of the welfare deliverers strengthen and perpetuate the social stigma on female householders who receive welfare services Second, female householders emphasize or exaggerate the absence or incapability of their husbands in order to be qualified as welfare assistance recipients. However, this process creates a distorted recognition that female poverty is caused by the absence or incapability of male householders, although it brings them the welfare resources they demand. Third, female householders try to manage stigmatic situations in order to minimize negative perceptions against them. They hide welfare status to protect themselves from negative evaluation. This also obstructs the formation of a support network among women and makes sharing information difficult. Fourth, repetitive renunciation and avoidance as a result of the stigma not only weaken women's desire to receive welfare services, but also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use welfare resources. As a result, it obstructs anti-poverty movements. The above results reveal that the stigma surrounding female householders who receive welfare services is directly related to their anti-poverty.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focusing on the problems of stigma surrounding welfare recipients and clarifies that the stigma surrounding public assistance recipients is caused by Korean society's dominant ethic and value. We would be able to establish more accessible and effective policies only when we deal with poor female householders' experiences with this stigma as public assistance recipients. This study offer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that causes female poverty must be changed. Second, Family obligation requirement of public assistance that is based upon male-centered social norms and values must be abolished.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and publicize the welfare provisions by examining the desires of the poor with certain living condi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let all social members understand the objectives and significance of public assistance. Fourth, it is necessary to educate welfare deliverers so they can understand poverty classes and the seriousness of social stigma that impact poverty classes along with welfare provisions. Fifth, education for the poor female householders on the law system and psychological, emotional support program to boost their self esteem are required so that these female householders recognize that the welfare they receive is a righ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기존 논의 검토 = 5 C. 연구 문제 및 논문 구성 = 10 D.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 12 1. 연구방법 = 12 2. 연구대상 = 15 Ⅱ. 성차별적 사회구조와 여성가구주의 공적 의존의 관계 = 23 A. 노동시장에서의 주변화와 여성 빈곤의 심화 = 23 B. 생존의 벼랑 끝에서의 유일한 생계수단, 공공부조 = 28 C. 탈수급(off-welfare)의 시도, 그러나 반복되는 좌절 = 35 Ⅲ. 가부장적 규범에 의한 사회적 낙인화의 과정 = 45 A. 일의 윤리(work ethic)에 의한 낙인 = 45 1. 근로능력에 따른 위계화된 빈곤인식 = 45 2. 노동기피와 의존성의 혐의 = 50 B. 가족규범에 의한 낙인 = 52 1. 남성 생계부양자에 의한 경제적 귀속 강화 = 52 1) 부양의무자 조건 = 53 2) 부정수급 : 부도덕성의 혐의 = 60 2. 가부장적 가족규범의 이분법적 분리(labeling) = 65 C. 통제받는 복지 = 70 Ⅳ. 낙인의 조정(managing)이 탈빈곤에 미치는 영향 = 75 A. 여성가구주의 낙인 수용 과정 = 75 1. 불평등한 도움의 장 = 76 1) 결핍으로 포장하기 = 76 2) 일 규범의 내면화 = 78 3) 가족정상규범의 환기, 낙인의 재생산 = 79 2. 기준과 원칙의 소통 불가능성 = 82 B. 낙인화(stigmatization)에 따른 자기부정의 결과 = 85 1. 무력감과 자기부정 = 86 2. 수급지위 숨기기 = 90 3. 여성들 간의 분리(segregation) = 93 1) 소통의 멈춤과 단절 = 93 2) 불신과 폄하 = 95 C. 복지자원 활용의 불평등성 = 100 1. 자원접근 기회의 차단 = 100 2. 복지 욕구와 자원 활용의 위축 = 105 1) 지식·정보습득의 제한 = 105 2) 주위의 부정적인 시선 = 108 3) 자녀들의 상처 우려 = 110 Ⅴ. 결론 : 종합논의 및 제언 = 114 참고문헌 = 121 ABSTRACT = 1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58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복지 낙인(Stigma)이 여성가구주의 탈빈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fluence of Welfare Stigma on Female Householder's Anti-Poverty - Focusing on Female Householder's experience of Receiving Public Assistance--
dc.creator.othernameYou, Yeon Jeong-
dc.format.pageⅴ, 13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