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6 Download: 0

영국 빅토리아 시기의 어린이책 삽화에 나타난 시대성

Title
영국 빅토리아 시기의 어린이책 삽화에 나타난 시대성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LLUSTRATIONS OF CONTEMPORARY CHILDREN'S BOOKS IN THE VICTORIAN AGE IN ENGLAND
Authors
황선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빅토리아 시대의 어린이 책 삽화에서 당시의 혁신적인 사회 분위기가 어린이 이미지와 상상적 이미지로 주로 나타나게 되면서 이러한 새로운 이미지들이 이전 시대와는 다르게 어떠한 사회적 맥락을 내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새롭게 나타난 이미지들은 필연적으로 급변하던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이러한 이미지들은 본질적으로 텍스트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삽화의 특성상 어린이를 주체로 한 이야기와 상상적 세계를 바탕으로 한 문학이 성황을 이루며 나타나게 된 사회적 현상과 결부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교훈과 성경 이야기 일색이던 이전의 어린이 문학과는 달리 19세기 근대 어린이 문학의 시작을 열게 된 본격적인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들을 배경으로 하여 나타난 새로운 삽화들 중 어린이 이미지와 상상적 이미지는 가장 특징적인 이미지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어린이 이미지가 주체적으로 나타나는 점 외에도 19세기 영국에서 특징적으로 만개하였던 판타지 문학에 따른 이미지 역시 빅토리아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19세기 이전과 비교하여 확연히 번성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판타지 문학으로 인한 서적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삽화가의 상상력이 반영된 새로운 이미지들을 생성해 내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점은 변형된 신체나 의인화된 물상들을 통하여 당시 급변하던 빅토리아 시대의 불안한 정서와 표면적 평화에 반하는 내면적 갈등의 양상을 반영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다. 또한 요정 이미지의 유행은 현실 도피적인 시선으로 혹은 권선징악적 시선으로 보여지는 모순적 양상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 시각은 빅토리아 시대의 시대상을 밀접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에서 시작된 근대 어린이 책의 전성기가 새로운 시도로서 해석되는 어린이 이미지와 상상적 이미지들을 통해 더욱 번성하여 나타난 것이 당시의 사회상과 연관하여 의의를 갖는 점을 살펴본 작업이었다. 위와 같은 이미지들은 19세기 이전과 비교하여 새롭게 나타났으며, 이는 당시 정치 경제적 안정을 바탕으로 발전하는 사회 속에서 어린이를 주체적 존재로 보는 관점의 정착과 어린이에게 상상력의 산물인 판타지 소설을 읽도록 허락한 근대적 사고 속에서 비로소 가능해진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변화로 인지되는 이미지들에서 100년 가까이 한 여왕이 지배하고, 혁명 없이 사회 변혁을 이룬 보수적이고 배타적이었던 19세기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사회상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이는 이와 같은 이미지들이 어린이 책에 삽입된 어른에 의해 그려진 삽화라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새롭게 등장한 이미지들 역시 당시의 사회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결코 변혁적이고 혁신적이 것이 아니라 보수적이고 기득권적 지배층의 시각을 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은 어린이 책이 시대를 초월하여 항상 사회적 학습을 전제로 하는 매개라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준다.;This thesis started from the assumption that the children's book illustration of the Victorian era has portrayed the changing social mood in children's images and imaginatory images. Thus, this thesis pursues to find how the new images a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and what social implications they possess. Book illustrations of this era comprised of two elements. It reflected the fast changing society and the new type of children literature where children were the main characters in imaginatory background. As book illustrations cannot be free from the text, the introduction of a new type of children literature inevitably lead to new images in children's storybooks. Thus, 19th century children literature was a shift from storybooks which dealt mostly with morals and biblical tales and its illustration were a stark contrast from that of the past and portrayed children and imaginatory drawings. Fantasy books, which also bloomed in the 19th century Britain, also reflected the social image of the era. Rapid increase of fantasy storybooks of the era inevitably lead to new illustrations with imaginatory images. Distorted physique and personified objects were reflections of the unstable sentiments and internal conflicts, which were widespread despite the seemingly peaceful society of the Victorian era. Fairytales reflected two conflicting sentiments. Surreal fairies were reflections of the social desire to escape from the present while the content of the stories still promoted virtue and condemned evil. Thus, it can be said these new illustrations were expressions of the changing society. This study was to look into how the boom of modern children literature and birth of children and imaginatory images were related with the 19the century Victorian Britain. These new illustrations were possible due to the increasing awareness of children as a being in themselves, which sprang from the modern perspective in the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stable society, and the society's assent into allowing children to read imaginatory fantasy tales, which is another result of the spread of modern perspective of the era. However, these new images also had limitations. They reflected the conservative and exclusive society of the Victorian era where a queen ruled for almost 100 years and where social reforms were accomplished without a major revolution. It also possessed an essential limitation in that they were products of adults not children. Thus, this thesis confirms that the new images of the 19th century were neither revolutionary nor radical, but was a close reflection of the society which was conservative and hierarchial. In that sense, it reaffirms that children's book have always been a tool to teach social norms regardless of the era they are fro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