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李鍾美-
dc.contributor.author朴彗鎭-
dc.creator朴彗鎭-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0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5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00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plementary diet fortified in iron and masticatory property on infants' nutritional and developmental status. For this, the study was processed in three experimental stages. The Study I was designed to develop appropriate supplementary diet for infants after analyzing problems of commercial weaning foods. The Study Ⅱ was for examining the effect of supplementary diet on nutritional status of iron, behavioral development and dietary habits. Healthy infants with age of 13~15 months were treated with the supplementary diet for three month of intervention period. In the Study Ⅲ, the effects of the applicable supplementary diet on the improvement of the symptom in iron-deficiency anemic infants with age of 6~8 months. Liquid medicine of iron was used for control group and the intervention period was 3 month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mercial weaning foods, targeting infants age of 12~18 months, were analyzed. 3 kinds of soup-type, 18 kinds of powdered-type, 1 snack-type, 1 cereal-type, and 5 kinds of liquid-type were found. Powdered-types were based on milky flavor and had strong sweetness caused by 9.5~13.0% of sugar content. Iron content was 6~10㎎ per 100g. Since the soup-type or powdered-type products did not include enough solid compounds, oral-chewing desire according to the infant's behavioral development was not satisfied. In that reason, new supplementary diet needed to be developed, which was enhanced in iron and solid compounds for masticatory property to fit behavioral developmental stage of the infants. The iron supplementary diets developed in this study contained 60.0㎉ of energy, 5.6g of protein, 22.0㎎ of calcium, 3.9㎎ of iron per 100g nutritionally. The serving size of the diet was 50g. Sweetness was excluded and fermented food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food tastes were used. Mechanical texture property of the supplementary diets was higher in chewiness, hardness and gumminess, compared with the commercial soup-type weaning food, which means the supplementary diet had better mastication. The iron supplementary diet developed in the Study I was supported to the healthy infants, having no particular diseases, twice a day for three months. The iron intake from the supplementary diet in the experimental group during the intervention was 1.8±0.8㎎/day. After the intervention period, total food intake including vegetable and grain was increased and nutritive intake was also increased, which means dietary behavior of the group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nutritive levels of iron in blood, in which hemoglobin, hematocrit, RBC(red blood cell), and serum iron were included,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TIBC(total iron binding capacity) also showed impr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home made weaning foods, showed slight increase in the levels of hematocrit and serum iro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levels of MDI(mental developmental index) and PDI(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evaluated by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Ⅱ in both groups were in the range of normal infant's development and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Only wh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ed the supplementary diets, the levels of MDI and PDI of the group were on the rise slightly.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development than the control group in cognitive, motor, and language function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the iron-deficiency anemia patients of 6~8 months of age. The group was supported with the modified supplementary diet developed in the Study I an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fter 1 month and 3 month of the intervention period. The control group, having same condition in age and health with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the liquid medicine of iron(Ferrum kid sol., 5.0g/100㎖ of iron content, Choongwae Pharma Co.) per 6㎎/㎏/day for 1 month. During the intervention, iron intake from the liquid medicine of iron was about 56.3㎎/day, and the amount of iron intakes from the iron supplementary diets was about 6.9㎎/day, ⅛ of the amount of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developed in conception of meals and total food intake including vegetable and fruit was increased. Moreover, the amount of nutrient intake from meal was also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hematologic indices of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recovered to the normal level.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tter result on the effect of improvement. Besides, the level of serum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T(alanine aminotransferase) were improved and the levels of serum Ig A and Ig M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feeding the infants with balanced diet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nutritive deficiency, formation of desirable dietary habits, desirable psychological and social emotions. Further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feeding in weaning period on the progressive periods of infancy, childhood and adulthood needs to be carried out. Also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study about supporting nutritionally,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weak group by intervention of food. Finally governmental health policy, which reflects the results of the studies, needs to be established.;본 연구는 철분과 저작성을 보강하여 제조한 보충식의 섭취가 영유아의 영양 상태 및 행동 발달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실험 I은 시판 보충식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를 보완하여 유아에게 적합한 철분강화보충식을 제조하였다. 실험 Ⅱ는 생후 13~15개월의 건강한 유아에게 실험 I의 철분강화보충식을 3개월간 중재함으로써 식습관의 개선과 철분 영양 상태 및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Ⅲ은 철분결핍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기인 생후 6~9개월의 철분 결핍성 빈혈 환아에게 철분강화보충식을 3개월간 중재하고 철분 약제와 그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음식을 이용한 질환 개선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I의 결과, 생후 12~18개월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시판 보충식 제품들은 죽 형태 3종, 분말 형태 18종, 스낵 형태 1종, 시리얼 형태 1종, 액상 형태 5종으로 대부분이 분말 형태였다. 이들 분말 형태의 제품은 우유 맛을 기본으로 하였고 약 9.5~13.0%의 당도를 나타내어 단맛이 강했으며, 100g당 철분은 6㎎~10㎎정도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시판 보충식 제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죽 형태나 분말 형태의 시판 보충식 제품들은 고형물이 포함되지 않아 유아의 발달과정에 맞는 구강 저작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조한 철분강화보충식은 철분을 보강함과 더불어 유아의 발달 과정에 맞는 저작성을 지닌 고형물이 함유되도록 하였다. 또한 철분강화보충식은 단맛을 배제하고 우리나라 전통음식 맛의 기본인 장류, 젓갈류 등의 발효식품으로 조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철분강화보충식의 영양소 함량은 철분강화보충식 100g당 에너지 60.0㎉, 단백질 5.6g, 칼슘 22.0㎎, 철분 3.9㎎이었고 철분강화보충식의 1인 1회 분량은 50g이었다. 그리고 철분강화보충식의 기계적 텍스쳐 특성은 시판 죽 형태의 보충식보다 씹힘성, 경도, 검성이 크게 나타나 저작성이 우수하였다. 실험 Ⅱ에서 특정질환이 없는 건강한 유아에게 3개월간 하루 2회씩 실험 I의 철분강화보충식을 제공하였을 때, 중재기간동안 실험군이 철분강화보충식으로부터 섭취한 철분량은 1.8㎎/day이었다. 중재 후에, 실험군은 끼니에 대한 개념이 생겼고 채소류와 곡류를 비롯한 총 식품섭취량이 증가하였으며 음식을 통한 영양소 섭취량이 증가하여 식습관이 개선되었다. 중재 후 혈액의 철분 영양 상태도 hemoglobin, hematocrit, RBC(red blood cell) count, serum iron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TIBC(total iron binding capacity)도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가정에서 이유를 시행한 대조군에서는 실험기간동안 hematocrit와 serum iron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수치들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BSID-Ⅱ(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Ⅱ)로 조사한 MDI(mental developmental index)와 PDI(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모든 대상에서 정상적인 발달범주에 포함되었고 실험기간동안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철분강화보충식을 섭취한 후에, MDI와 PDI가 약간 상승되는 경향을 보였고, 인지기능과 동작기능 및 언어기능의 발달연령에서 대조군보다 많은 성장을 보여 주었다. 실험 Ⅲ에서는 생후 6~9개월의 철분 결핍성 빈혈 환아를 대상으로 대조군에게는 철분약제(훼럼키드액, 100㎖ 중 철(Ⅲ)로서 5.0g 함유, 중외제약)를 6㎎/㎏/day씩 1개월간 공급하였고, 실험군에게는 실험 I의 철분강화보충식을 실험군의 어린 월령에 맞춰 변형시켜 3개월간 공급하면서 중재 후 1개월과 3개월이 되었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중재기간동안 대조군이 약제로부터 섭취한 철분량은 대략 56.3㎎/day이었고, 실험군이 철분강화보충식으로부터 섭취한 철분량은 대략 6.9㎎/day으로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약 8.2배의 철분을 섭취하였다. 중재 후에, 실험군은 끼니 개념이 생겼고 채소류와 과일류를 비롯한 총 식품섭취량이 증가하였으며 식사에서 얻는 영양소 섭취량도 증가하였다. 중재 전 철분 결핍성 빈혈을 나타내었던 혈액지표는 중재 후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고,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우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실험군에서 혈청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와 ALT(alanine aminotransferase)가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혈청 Ig A와 Ig M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에게 결핍된 영양소를 음식(balanced diet)으로 제공함으로써 영양 개선과 함께 식습관 형성 및 심리·사회적 정서 발달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이유기의 이러한 효과가 유아기와 아동기, 나아가서는 성인이 된 후에도 지속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영양 상태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정서 기반이 미약한 영양취약집단을 위한 음식 중재 연구와 함께 이와 같은 연구 효과를 반영한 국가 보건 정책이 수립되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Ⅱ. 연구내용 및 방법 = 7 A. 실험 Ⅰ : 철분과 저작성을 보강한 철분강화보충식의 특성 = 7 1. 시판 보충식 제품의 현황 조사 = 7 2. 철분강화보충식의 제조 = 8 1) 재료의 구입 및 전처리 = 8 2) 철분강화보충식의 제조 = 8 3. 철분강화보충식의 영양성분 조사 = 12 4. 철분강화보충식의 기계적 특성 평가 = 12 B. 실험 Ⅱ : 철분강화보충식의 섭취가 건강한 유아의 철분 영양 상태 및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4 1. 실험 대상자 선정 및 설문 조사 = 14 2. 식이섭취 조사 및 신체계측 조사 = 16 3. 혈액 성상 조사 = 16 4.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Ⅱ를 이용한 발달 검사의 수행 = 17 5. 철분강화보충식의 중재 및 영양교육의 실시 = 20 6.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20 C. 실험 Ⅲ : 소아 철분결핍성빈혈 환아에서 철분강화보충식 섭취가 영양 상태에 미치는 영향 = 21 1. 실험 대상자 선정 및 설문 조사 = 21 2. 철분강화보충식의 제조 = 23 1) 철분강화보충식의 변형과 제조 = 23 2) 변형시킨 철분강화보충식의 영양성분 = 23 3. 실험군의 식이섭취 조사 및 신체계측 조사 = 25 4. 혈액 성상 조사 = 25 5. 약제와 철분강화보충식의 중재 및 영양교육의 실시 = 26 6.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27 Ⅲ. 결과 및 고찰 = 28 A. 실험 Ⅰ : 철분과 저작성을 보강한 철분강화보충식의 특성 = 28 1. 시판 보충식 제품의 현황 = 28 2. 철분강화보충식의 영양성분 = 31 3. 철분강화보충식의 기계적 특성 = 31 B. 실험 Ⅱ : 철분강화보충식의 섭취가 건강한 유아의 철분 영양 상태 및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 34 1. 일반사항 = 34 2. 실험 대상의 신체발달 = 37 3. 실험 대상의 식이섭취 조사 = 39 1) 식품군별 섭취량 = 39 2) 영양소 섭취량 = 42 4. 실험 대상의 철분 관련 혈액성상 = 46 5. 실험 대상의 발달상태 = 48 C. 실험 Ⅲ : 소아 철분결핍성빈혈 환아에서 철분강화보충식 섭취가 영양 상태에 미치는 영향 = 53 1. 변형시킨 철분강화보충식의 영양성분 = 53 2. 일반사항 = 55 3. 실험 대상의 신체발달 = 57 4. 실험 대상의 식이섭취 조사 = 58 1) 식품군별 섭취량 = 58 2) 영양소 섭취량 = 60 5. 실험 대상의 철분 관련 혈액성상 = 64 6. 실험 대상의 혈액의 일반성분과 면역성분 = 68 Ⅳ. 요약 및 결론 = 73 참고문헌 = 76 Appendix = 88 Abstract =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199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철분과 저작성을 보강한 보충식 섭취가 영유아의 영양 상태 및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Supplementary Diet Fortified with Iron and Masticatory Property on Nutritional and Developmental Status in Infants-
dc.creator.othernamePark, Hea Jin-
dc.format.pageⅹ,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