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2 Download: 0

이성천 대금독주곡 <봄이 오는 소리>에 관한 분석

Title
이성천 대금독주곡 <봄이 오는 소리>에 관한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Sounds of the coming spring>, Daegum solo, by Lee Sung-Chun
Authors
閔庚眞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그간 이성천의 많은 창작 작품들이 여러 논문을 통해 꾸준히 연구 되어 왔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금 독주곡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고는 이성천의 독주곡 48번 <봄이 오는 소리>가 어떠한 형식을 가지며 서로 다른 음악적 부분들이 어떻게 관련하여 전개되는지를 분석하여 그 내용과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형식에 따른 전개양상의 유기적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출현음과 선법, 선율양식을 중심으로 <봄이 오는 소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제 1악장 ‘살아있는 땅’ E♭ Key로 되어 있고, 박자와 템포가 자유롭다. 악장 전체가 한마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黃, 太, 姑, 仲, 林, 南, 無를 출현음으로 하는 林鍾平調로, 仲과 無는 선율에 변화를 주는 경과음으로 사용되었다. 1악장은 주선율-전위선율-역행선율-역행전위선율-종지부의 선율구조로 분석된다. 林鍾平調의 한국 전통 음계에 전위, 역행과 같은 서양음악 어법이 융화되어 독특한 음악적 색채를 드러낸 부분이다. 2. 제 2악장 ‘봄은 어머니의 가슴’ A♭ key의 3/4박자로, 2악장의 전반적인 음계는 黃鍾平調이다. 단, 26-44마디에서 林鍾界面調로 전조되어 변화를 보이는데, 이 조성변화는 45-67마디에서 黃鍾平調에 應이 특징적으로 추가된 음계로 회귀하고, 68마디부터 종지하기까지 黃鍾平調의 일관되는 형태를 보인다. 출현음은 黃, 大, 太, 夾, 仲, 林, 南, 無, 應 이다. 2악장의 선율구조는 크게 전주부+A+B+A+C+삽입구+A 로, 서양음악의 론도형식에 전주부와 삽입구가 포함된 형태이다. 주제의 재현과 변형, 박의 확대와 축소, 반복법과 생략법 등의 사용이 악장의 통일성과 다양성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3. 제 3악장 ‘대지의 노래’ 4/♩.박자로, 172마디를 기준으로 조성 변화가 나타난다. 102-171마디는 黃, 太, 姑, 仲, 林, 南, 應을 출현음으로 하는 黃鍾平調이다. 應을 통해 조성의 붕괴가 시도되지만, 이 시도는 일관된 선율 형성의 실패와 조성적 통일감 부족으로 인해 좌절되어 黃鍾平調 안에 흡수된다. 172-191마디는 黃, 太, 仲, 林, 南을 출현음으로 하는데, 출현빈도에 의해 太簇界面調로 분석된다. 3악장의 선율구조는 intro+A+삽입구+B+intro'+A'+종지부 의 형태이다. 이질적 동기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리듬이 산발적으로 분할, 나열되며 분산화음과 헤미올라가 곳곳에 등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요소의 혼합은 주제의 변주와 동형진행의 사용을 통해 통일성을 갖추고 있다. 4. 제 4악장 ‘아름다운 자연’ 6/4박자이며 ♩=80의 템포이다. 조성 변화에 따라 192-228마디, 229-235마디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92-228마디의 출현음은 휴 , 남, 黃, 太, 夾, 姑, 仲, 林, 南, 無, 應, 潢, 汰, 고, 중, 淋, 湳, 황 으로, 黃鍾平調의 성격을 띤다. 주요음 외의 夾과 姑, 無, 應 등의 다양한 음의 출현은 黃鍾平調에 독특한 조성감을 부여 한다. 229-235마디에 이르러 黃, 太, 姑, 仲, 林, 南을 출현음으로 하는, 南呂界面調로 조성 변화를 보이는데, 여기서 등장하는 仲과 林은 선법판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경과음이다. 4악장은 A+B+삽입구+종지부 의 선율구조이다. 4악장의 도입은 2악장의 주제를 동형진행을 통해 확장, 재현하여 악곡에 통일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도입의 선율 흐름은 도약 진행과 분산화음, 셈여림 등으로 강조되며 절정으로 향하는데, 이는 종지부에서 mp 의 정적인 분위기로 전환되며 종결한다. <봄이 오는 소리>의 분석에서 특별히 주목되는 것은, 한국 전통 음계와 서양음악 어법이 융합되는 동시에 긴장관계를 유지하며 독특한 색채를 지닌 한국 창작음악의 면모를 드러낸다는 점이다. 이는 현재 한국 음악이 서양 음악의 요소를 어떻게 수용하면서 그 특징을 지켜나가야 할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작품 중의 하나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During these days pieces of Lee Sung Chun has been continually studied through various treatises, although study of pieces for Daegum solo is totally absence. This study has inquired into which form does the Lee sung chun's solo piece #48 has composed, and think about how the music is unfolding by relation of different musical parts. To figure out the connection of processing form, this study made conclusion of fallow fact by appearing tones, mode and melodical form of . 1. Chapter 1 'Alive earth' Chapter 1. 'Alive earth' is composed to E♭ key which has freely tempo. The whole movement is made of single measure and it is 林鍾平調 which uses 黃, 太, 姑, 仲, 林, 南, 無 for it's appearing tones. 仲 and 無 are used for passing tune to give change to the melody. Chapter 1. can be analyzed to origin(main melody) + inversion + retrograde + retrograde-inversion + coda(finale). The main melody inverses ascent and descent form oppositely just like reflection of mirror, and it is reversing from the last tone to the first tone to retrograde. This part shows it's peculiar musical color by combining western music style to korean traditional music scale based on 林鍾平調. 2. Chapter 2 'Spring is mother's heart' Chapter 2 'Spring is mother's heart' is A♭ key for beat 3/4. The general scale of this Chapter 2. is 黃鍾平調 using 黃-太-仲-林-南 tones. Exceptionally the scale changes into 林鍾界面調 and reduces tones into 林-潢-汰 tones at 26-44measures. But this changes come back to form of 黃鍾平調 which adds 應 tone featurely at 45-67measures, and from 68measure to finishing it maintains 黃鍾平調. The appearing tones are 黃, 大, 太, 夾, 仲, 林, 南, 無, 應. Melodic form of Chapter 2. is composed by intro+A+B+A+episode+A which is the form of Rondo with intro on western music. It has following melodical mark and episode. Importing part A which is after intro, uses repeat by extend and reduce, and also abridgment. Part B develope by emphasizing tricky rhythm and reducing beat. Part A' which is extended part of part A is appearing again by adding six measures of extension in part into importing part A , and this extended part gives formal tension by shoving repeatedly 應 and 南. Part C is developed to have changes of rhythm by repeat and reduce , and episode comes without idiom, and it ends with 南 tone imperfectly at part A'' which is reduced form of theme part A. 3. Chapter 3 ' Song of the great earth' Chapter 3 ' Song of the great earth' is composed for 4/♩. beat, and has key change from 172 measure. From enter of chapter 3 to 102-171measures before the change is 黃鍾平調 using 黃, 太, 姑, 仲, 林, 南, 應 tones. The scale tries to be broken by 應 that intensively used at 133-137measures, but this try absorbs into 黃鍾平調 because of failure in melodical form and lack of united scale. measures from 172-191 uses 黃, 太, 仲, 林, 南 tones, and it considers to be 太簇界面調 using 太-林-南 tones by appearing frequency. The melodic form of chapter 3 is intro+A+episode+B+intro'+A'+coda. Heterogeneous motive shows variously and rhythm divides sporadically, either separated chord or hemiola appears on all sides and differential tune tries key change. But these changable facts are united by form of variation and sequence. 4. Chapter 4 'Beautiful nature' Chapter 4 'Beautiful nature' has beat 6/4 and ♩=80 tempo. As processing of melody,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 192-228measures and 229-235measures, although this two part has great differences at not only melody process but also scale and key. 192-228measures takes 黃, 太, 夾, 姑, 仲, 林, 南, 無, 應 tones and it composes 黃鍾平調 with 黃-太-仲-林-南 tunes. Beside main tones, various tones such as 夾, 姑, 無 and 應 add promotions to 黃鍾平調. 229-235measures takes key changes of this chapter 4 make ends of 南呂界面調 of 南-黃-太-姑, using 黃, 太, 姑, 仲, 林, 南 tones. 仲 and 林 are just passing tones. Chapter 4 has melodic form of A+B+episode+coda. Part A which is extend-repeated of part A at chapter 2, are processing equally to make melody comfortable. On the contrary, part B emphasizes separated chord by volume to lead music to the climax. In Episode, appearance of 夾 and 應 tones confuses 林鍾界面調 scale, and gives tension to the whole chapter. Ending part which shows most greatly climax through separated chord and sfz comes to silence mode at the end through mp. The main concept of this study we have to focus about is that this piece gathered korean traditional musical scale and western musical ex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it gave tension to the music so that korean creative music can express it's peculiar musical color. This should be considered to one of master piece that keeps korean traditional music's identity and also make harmony with western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