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5 Download: 0

수학 학습양식 구성요소와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Title
수학 학습양식 구성요소와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Other Titles
Preliminary study for factors of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and testing methods development
Authors
이상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하
Abstract
학습자가 소유하고 있는 수학에 대한 학습양식의 구성 요인을 알아보는 것은 학습자 내면에 존재하는 다면적이고 체계적인 변인과 학습 환경, 학습상황에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수학 학습양식과의 관계를 자세히 알아보는데 자료를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습자의 수학 학습양식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검사 도구로 수학 학습양식을 구성하는 요소를 밝히며 그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문제 1. 수학 학습양식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수학 학습양식의 구성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연구 문제 2. 제작된 수학 학습양식 검사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확인한다. 본 연구를 실시하기위한 표집대상은 서울 소재 4개 중학교 2학년 학생 711명으로 남학생 368명, 여학생 343명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연구자는 Entwistle과 Ramsden의 학습접근검사지(ASI : Approaches to Studying Inventory: )와 Dunn과 Price의 학습양식검사지(LSI : Learning Style Inventory)를 바탕으로 수학이라는 특정 과목에 국한하여 수정 보완된 수학 학습양식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검사 도구로 약 2주일간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담당교사의 협조 하에 학생들의 동의를 얻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 분석 결과 수학 학습양식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4가지가 추출되었다. 초기의 예상과는 달리 인지적 요인이 별도의 구인을 형성하지 못하였으며 선행검사 제작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정의적 상황요인, 타인에 대한 인식요인, 사회적 상황요인, 신체­환경적 상황요인이 수학 학습양식을 구성하는 4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는데 이는 박소현(2004)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이다. 둘째, 그러나 상기 검사 도구들이 국외, 교과 전반에 대한 학습양식을 검사하려는 것임에 반해 본 연구는 국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이라는 특정 과목에 국한하여 검사한 것이므로 검사결과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며 선행 검사 도구가 수학 학습양식을 검사하는 타당한 도구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각 요인별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정의적 상황요인 변수별 신뢰도 계수가 0.842, 타인에 대한 인식요인의 변수별 신뢰도 계수가 0.515이다. 사회성 상황요인 변수별 신뢰도 계수는 0.407, 신체­환경적 상황요인 변수별 신뢰도 계수는 0.245로 정의적 상황요인을 제외하면 그 수치가 다소 낮은 경향이 있으나 각 요인별 문항을 추가하여 보완한다면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충분히 높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수학 학습양식을 구성하는 요인이 부분적으로 파악되었으나 수학 학습양식의 구인에 대한 더 명확한 지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구인을 규명하고 그에 맞는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검사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A study of the factors of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that learners have provides dat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and systematic factors of learners, and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based on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analysis for testing methods development to measure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n objective and reliable approach to investigate the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RQ 1. What are the factors of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for the testing methods development? RQ 2. How is the suggested testing method for the mathematical learning style objective and reliable ? A total of 711 samples (368 males; 343 females) were collected from second year-middle school student at four schools in Seoul. Based on 'Approaches to Studying Inventory (ASI)' by Entwistle & Ramsden and 'Learning Style Inventory (LSI)' by Dunn & Prices, a testing method for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was developed. The developed method was tested among second year-middle school students for two weeks under the cooperation of teachers.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First, four factors of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were drawn from the tests. While cognitive factors, which were hypothized from the pilot study, were not selected, emotional factors, factors of recognition of another person, social factors an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drawn from the study. This result was similar to Park (2004)'s research.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suggest different conclusion from previous studies, because this study solely concentrated on field of mathematics for Korean students while previous studies measured learning styles in general. Therefore, the testing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would draw more appropriate result to measure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Reliability test among factors recorded .842 for emotional factors, .511 for factors of recognition of another person, .407 for social factors, and .245 for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The scores, except for emotional factors, tend to be slightly low, however, the score could be higher by adding additional reliable items.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Factors of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that found in this study were fragmented so that more in-depth knowledge will be necessary. Therefore, conceptualizing appropriate factors and development of objective and reliable testing methods would be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