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Authors
이정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동열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examine the current level of their capability of using information, and make a evaluation model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To perform this study, the standard and range of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were set and the evaluation questions in detail with creating the evaluation model were projected for each area. Also, a website was made to examine information literacy of undergraduate students at Ewha Womans University;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evaluation website were 140. With these experiments, the composition fields of information literacy were figured out with a statistic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of all, information literacy consists of six fields: information resource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thics. Second, the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shows their actual information literacy has no relation with the basic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major, grade, frequency of library usage. Generally, the average point of information literacy is low. Information analysis has the lowest point. The areas with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need, and information resource have the low points following information analysis area. On the other hand, the domain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ethics have the high points.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Korea has been providing the education on information literacy insufficiently and only teaching information technology. Third, the self estimate evaluation on information literacy shows that one’s ability on information literacy is distributed almost equally on each domain. Namely, the students who have the high point on information literacy think they have high level on each domain. Forth, in the self estimate part, it is analyzed that every area has to do with each other except for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ethics; however, actually,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ethics have strong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is examination represents the undergraduate students’ lack of understanding information literacy and their insufficient knowledge on each area. Fifth, the consequence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questions presents that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ormation ethics ha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sub-domains of these fields are rearranged into the field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thics. Sixth, the basic and advanced procedure are able to be developed through analyzing the degree of the difficulty of qu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the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evaluation factor, and evaluation procedure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 instruction guidance which is not focused on the students’ major and grade, but on the individual difference. First, the evaluation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consists of the purpose, plan, content, and the method and result of the evaluation. Second, the evaluation procedure of information literacy is presented with preparing for the evaluation, establishing of plan for the evaluation, producing of tool for the evaluation, collecting the material of the evaluation,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framing the report of the evaluation. Third, the design of the instruction and evaluation must be based on the level-oriented evaluation guidance for each domain. This guidance articulates that the basic level must include the ways of distinguishing the concepts and the kinds of informatio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information circulation, and searching information using information access tools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literacy. This level also should have ability to interpret the bibliography of searched information and to judge the propriety of information.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advanced level should correct subject keywords for required information constantly. With these keywords, the advanced level students need to access the database and be able to acquire the full-text through the network. Also, they should perceive the variety of the system of searching information and be able to apply those skills to the practice. Fourth, the evaluation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developed based on the CIPP model, includes the evaluation models of the factor analysis, the efficiency, the program, and the effect. The evaluation model of the factor analysis is made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bout needs for information literacy. The evaluation model of the efficiency is to optimize the environment of the program in using the compare actual situation data with the goals. The evaluation model of program aims to examine the program which is now being progressed. Finally, the evaluation model of the effect demonstrates the students’ degree of accomplishment and their attitude toward each information literacy goals. In brief, this study examines the undergraduate students’ current ability, and with the evaluating the students, the factor of each area of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evaluation guide with levels are created. Moreover, based on the level-oriented evaluation guide, the evaluation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will be the foundation which encourages to plan and observe the students degree of accomplishment. Based on the evaluation model and the instruction policy suggested from this study, the changes can be made for the university students, professors, librarians, and the university itself. First of all, the undergraduate students are capable of estimating their own level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recognizing the domains which need to be improved. By following the education program with the instruction guidance,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make a further improvement about information literacy. Second, professors and librarians can conduct more efficient instruction by applying the systematic standard and method of evaluation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Third, the university now can be aware of the students’ levels of information literacy from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fter examining the practicability of applying information literacy to the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universities, the universities can utilize the results to grope the plan for the students’ improvement. The results can also be used as resource which could be base for the administrative decisions. Further evaluation should be consistently conducted on students, professors and the program in order to enhance information literacy to the direction which corresponds with the demand of the period. Therefore, an alternative should be made in order to include the education evaluation in the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keep up the research in this field. In addition, research should be activated not only on information literacy in the university, but also on the extent, attributes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which could be applied on the business field.;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평가하여 현재 정보활용능력의 수준을 진단하고, 향후 정보활용능력 개발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보활용능력의 기준과 범위를 설정하고 평가모형을 각 영역별로 개발하여 세부적인 평가문항을 설계하였으며, 정보활용능력 웹 평가사이트를 만들어 이화여자대학교 학부 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였다. 정보활용능력 구성영역을 통계적 요인분석을 통해 밝혀내었고, 문항분석을 통해 수준별 교육 및 평가지침을 선정하여 이를 근거로 정보활용능력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정보활용능력은 정보자원 영역, 정보요구 영역, 정보검색 영역, 정보분석 영역, 정보기술 및 표현 영역, 정보윤리 영역 등 여섯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해 본 결과 전공, 학년, 도서관 이용빈도, 인터넷 이용시간 등 기초환경 변인과 정보활용능력의 실질 능력과는 차이가 없다고 밝혀졌다. 또한 정보활용능력의 평균점수는 대체적으로 낮았으며, 가장 낮은 영역은 정보분석, 정보검색, 정보요구, 정보자원 영역 순이다. 반면 정보기술 영역과 정보윤리 영역은 점수가 높았다.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미흡하며, 주로 정보기술을 중심으로 한 교육만이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정보활용능력의 각 영역에 대한 자가진단 측정은 실질점수 보다 평균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이는데 이것은 외국의 사례와 반대되는 연구결과로서 정보활용능력에 관한 개념인식과 자신감이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넷째, 정보활용능력의 자가진단 평가는 각 영역별로 균등하게 분포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즉 어느 특정 영역이 상대적으로 자가능력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지는 않으며, 자신의 정보활용능력이 높다고 평가하는 학생은 모든 영역에서 자신의 능력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다섯째, 자가진단에서는 정보기술-정보윤리 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영역에서 상호간 관계가 유의하다고 분석되었으나, 실질능력 상관관계에서는 정보기술-정보윤리 영역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이해와 각 영역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뜻하였다. 여섯째, 문항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보기술 영역과 정보관리 영역, 정보윤리 영역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들 영역의 세부 영역을 재조정하여 정보기술 및 표현영역과 정보윤리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일곱째, 평가문항지의 난이도 분석을 통해 각 영역별로 기초와 심화과정을 개발할 수 있었다. 연구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전공 및 학년에 고려하지 않고 개인별 수준차이를 중심으로 한 평가지침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평가요소 및 절차 그리고 정보활용능력 통합 평가모형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정보활용능력 평가요소로 평가계획, 평가목표, 평가내용 및 평가범위, 평가방법, 그리고 평가결과의 활용을 설정하였다. 둘째, 정보활용능력의 평가절차로는 평가 준비, 평가계획 수립, 평가도구 제작, 평가자료 수집, 평가결과 분석, 평가보고서 작성 및 활용단계를 제시하였다. 셋째, 각 영역의 수준별 평가설계를 하였다. 수준별 평가지침을 요약하면, 기초과정에는 기본적인 정보기술 능력이 바탕이 되어, 정보원에 대한 개념과 종류를 구분하고 정보유통구조를 알고, 정보접근도구를 활용하여 정보검색을 할 수 있는지, 또한 검색된 정보의 서지사항 해석과 그 적절성 여부판단을 할 수 있는지 여부가 포함되었다. 심화과정에는 요구되는 정보를 위해 주제 키워드를 지속적으로 수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원문을 획득할 수 있어야 하고, 주제별 정보원과 데이터베이스 및 디렉토리의 유용성 여부와 그 적용능력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정보검색 시스템의 다양성을 인지하여 그 특성에 따라 검색기법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하며, 검색된 정보는 내용분석을 통해 적합한 연구부분에 잘 적용할 수 있는지, 연구내용과 관련된 주제항목은 체계적으로 별도로 관리하고, 기관에서 제공하는 원문데이터베이스의 전송권한에 대해 알고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넷째, 정보활용능력 평가모형으로 CIPP모형을 근거로 개발된 요구분석 평가모형, 효율성 평가모형, 프로그램 평가모형, 효과성 평가모형을 포함하는 정보활용능력 통합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즉 정보활용능력의 필요성에 대한 상황을 파악하고 진단하기 위한 요구분석 평가모형과 프로그램의 목표와 계획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효율성 평가모형,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진단하고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 평가모형 그리고 학생들의 성취도 및 태도 영역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성 평가모형 등 4개 모형을 포함한 통합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에 관한 평가를 시도하여 정보활용능력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평가를 통해 정보활용능력의 각 영역별 요소와 수준별 평가지침을 개발하였다. 또한 정보활용능력 수준별 평가지침을 토대로 한 정보활용능력 평가모형은 각 대학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활용능력의 목표와 프로그램의 평가 및 학생들의 성취도 평가를 계획하고 측정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모형과 평가지침은 대학생 및 교수, 사서와 대학당국에게 향후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가져올 것이다. 첫째, 대학생들은 각 개인별로 자신의 정보활용능력 지수를 측정할 수 있고, 영역별로 부족한 부분을 인지하여, 향후 단계적 교육지침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정보활용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둘째, 교수 및 사서는 정보활용능력에 관한 기준과 정보활용능력 평가모형을 바탕으로 향후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체계적인 평가 기준과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셋째, 대학당국은 평가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수준을 인지하고, 대학교육과 연구부문에 정보활용능력 적용의 정당성을 검토하여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행정상의 의사결정에 근거가 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보활용능력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해당사자들 간의 협력체를 구성하여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해야 한다. 아울러 평가이론 및 평가방법, 평가도구에 대한 연구를 적용한 문헌정보학적 측면에서의 정보활용능력 교육 및 평가에 관한 연구도 요구된다. 향후 각 주제분야에 대한 정보활용능력의 범위와 개념설정과 대학 등의 교육현장 뿐 아니라 산업현장 및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정보활용능력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