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Shin, Kyung Rim-
dc.contributor.author金蕙英-
dc.creator金蕙英-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9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4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4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92-
dc.description.abstract가정간호사업은 2001년 전국의 의료기관으로 확대 실시되면서 가정간호수가로 인한 가정간호서비스의 질 관리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가정간호는 병원처럼 여러 의료 인력이 있는 개방된 공간에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가정에서 가정전문간호사 단독으로 제공하고 있어 지속적인 질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가정간호서비스 질 평가의 근거가 되는 가정간호표준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어서 가정간호사업 초기에 있는 우리나라 의료환경에 적합하고 다양한 가정간호 실무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정간호표준 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과 업무별 활동을 규명하여 이를 중심으로 가정간호의 바람직한 실무수준을 제시하고, 가정간호 질 평가의 근거가 되는 가정간호표준을 개발함으로써 가정간호서비스의 질 향상과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 연구로 표준개발의 기본원칙을 설정하여 이 원칙에 의하여 가정간호표준을 개발하였다. 먼저 문헌고찰과 실무조사 결과 확인된 역할과 업무별 활동은 전문가 합의를 통하여 수정 보완된 후 설문지로 개발되었다. 현장조사는 2004년 6월 4일부터 8월4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대구, 광주의 의료기관, 보건소, 공공의료기관, 민간단체, 종교기관에서 근무하는 136명의 가정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현장조사 결과 가정전문간호사의 7개 역할과 34개 업무 및 130개 활동이 규명되었고 ,이들을 근거로 가정간호표준안을 개발하였다. 가정간호표준안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은 가정간호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내용타당도 지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를 이용하였고 그 외에 일반적인 특성은 기술통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은 전문간호수행자, 상담자, 교육자, 관리자, 사례관리자, 연구자, 지도자로 규명되었다. 역할에 따른 34개 업무와 각각의 업무별로 130개의 활동이 확인되었다. 2. 가정간호표준안은 구조적 측면의 4개 표준안과 과정적 측면의 표준안 10개 그리고 결과적 측면의 표준안 1개가 개발되었다. 2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구조적 측면의 5개 표준과 과정적 측면의 표준 10개 그리고 결과적 측면의 표준 1개로 총 16개의 표준이 개발되었다. 3. 가정간호기준안은 16개 표준안에 대하여 53개 기준안이 개발되어 2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수정된 후 확정되었다. 4. 53개 가정간호 기준에 대한 191개 지표안이 개발되었고, 3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187개로 확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정간호표준은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과 활동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가정간호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정간호표준은 가정간호사업 실시기관에서 자체적으로 가정간호서비스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가정간호사업을 시작하는 기관에는 사업운영 기준과 관리기준, 그리고 사업에 필요한 공간 및 시설, 물품에 대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가정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가정간호 질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정간호표준을 기반으로 한 가정간호서비스 평가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Since the home health care program was expanded in 2001 to cover all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the issue of home health care quality management has been raised due to the low fees for home health care services. In addition, since home health care is provided solely and independently by the home health nursing specialist at the patient's home in contrast to a group of medical professionals working together in the open space of the hospital there is a strong need for on-going quality management. However, home health care standards, which are the basis for evaluation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are not yet well developed in Korea, where the home health care program is in its initial stage. The development of home health care standards suitable to the Korean medical environment and applicable in various home health care settings is, therefore, urgently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rable level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by identifying the roles and activities by task of home health nursing specialists as well as to raise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in home health care services. Itdevelops home health care standards as the basis for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home health nursing specialists. This is a methodological study that establishes the basic principl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home health care standards and then develops home health care standards based on those principles. The roles and activities by task were identified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and a state-of-the-practice survey, and were structured into a questionnaire after being reviewed and modified through a consensus of experts.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on 136 home health nursing specialists at medical institutions, public health centers, public medical institution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religious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Province, Incheon, Busan, Daegu, and Gwanggju from June 4 to August 4, 2004. Seven roles, 34 tasks and 130 activities were identified in association with home health nursing specialists, and a draft set of home health care standards wasdevelop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raft standards, five home health nursing experts were asked to rate each item of the standard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and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procedures. The stud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oles of home health nursing specialists were identifiedas professional nursing service provider, advisor, educator, administrator, case manager, researcher, and leader. Under theseroles, 34 tasks and 134 task-specific activities were identified. 2. The draft set of home health care standards included four structural standards, 10 procedural standards, and one standard on outcomes. The final set of 16 standards was developed through two rounds of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They include five structural standards, 10 procedural standards, and one standard on outcomes. 3. A draft set of 53 criteria on home health care was developed for the 16 standards. The final 53 criteria were developed through two rounds of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4. A total of 191draft indicators were developed for the 53 criteria. The final 187 indicators were developed through three rounds of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Since the home health care standard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focused on the roles and activitiesof home health nursing specialists, the standards can be used in various home health care settings. These standards should provide the criteria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required space, facilities, equipment, and supplies for institutions that are entering the home health care market, as well as the evaluation criteria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for institutions with existing home health care programs. An evaluation tool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ensure the high quality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서론 = 1 A. 연구배경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Ⅱ. 문헌고찰 = 5 A. 가정전문간호사 = 5 1. 가정전문간호사의 업무와 활동 = 6 2.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 = 8 B. 가정간호 질 관리 = 13 C. 가정간호표준 = 16 1. 가정간호표준 개발원리 = 17 2. 가정간호표준개발의 개념틀 = 18 3. 가정간호표준, 기준, 지표 = 24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6 A. 연구설계 = 26 B. 연구절차 = 26 1단계: 가정간호 표준개발의 기본원칙 설정 단계 = 27 2단계: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 규명단계 = 28 3단계: 가정간호표준안 개발 단계 = 32 4단계: 가정간호표준안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단계 = 33 5단계: 가정간호 표준 개발 단계 = 36 Ⅳ. 연구결과 = 37 A.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 규명 = 37 1. 문헌고찰과 실무전문가 조사결과 = 37 2. 전문가 합의 결과 = 38 3. 현장조사 결과 = 47 B. 가정간호표준개발 = 64 1. 가정간호 표준안 개발 = 64 2. 가정간호 표준안에 대한 내용 타당도 검증 결과 = 79 3. 가정간호 표준개발 = 113 Ⅴ. 논의 = 129 A.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활동에 대한 논의 = 129 1.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활동 규명과정 = 129 2.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 = 130 3.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수행을 위한 업무별 활동 = 132 B. 가정간호표준 개발과정에 대한 논의 = 134 1. 가정간호표준 = 134 2. 가정간호표준안 설정 및 내용타당도 검증방법 = 138 Ⅵ. 결론 및 제언 = 140 A. 결론 = 140 B. 제언 = 141 C. 간호학적 의의 = 141 1. 간호실무 측면 = 141 2. 간호연구 측면 = 142 3. 간호이론 측면 = 143 참고문헌 = 144 부록 1 가정간호 실무조사를 위한 설문지 = 151 Abstract = 2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134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정간호 표준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Home Health Care Standards-
dc.creator.othernameKim, Hae Young-
dc.format.pageⅶ, 25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