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의사결정 상황에서 행동과 비행동에 따라 경험하는 후회

Title
의사결정 상황에서 행동과 비행동에 따라 경험하는 후회
Other Titles
Experienced regret caused by action and inaction in decision making
Authors
박지숙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윤
Abstract
사람들은 매일 마주치는 크고 작은 의사결정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 중에서나 그 결과에 따라서 다양한 감정들을 경험한다. 후회도 의사결정과 관련된 여러 감정 중 하나로 의사결정자가 다르게 행동했더라면 현재 상황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거나 상상할 때 경험하게 되는 부정적이고 인지적으로 정의된 감정이다. 후회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의 조건이 필요한데 먼저 선택된 대안과 기각된 대안 사이의 차이를 지각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그것이 자신의 의사결정 때문에 생긴 결과임을 인지해야 한다. 사람들이 경험하는 후회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행동한 것에 대한 후회이고 둘째, 행동하지 않은 것에 대한 후회이다. 행동과 비행동으로 생긴 후회에 대한 연구 결과들은 상반된 것들이 많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행동과 비행동으로 생기는 후회가 다양한 조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후회이론에 바탕을 두고 실험 1, 2, 3을 진행하였다. 먼저, 실험 1에서는 행동을 하고 나서 후회하는 정도와 행동하지 않아서 후회하는 정도가 다르다는 선행 연구들(Baron & Ritov, 1994; Gilovich & Medvec, 1995; Kahneman & Tversky, 1982; Kinner & Metha, 1989)과 책임을 느낄 때 후회를 더 크게 느낀다는 연구들(Loomes & Sudgen, 1984; Frijda et al., 1989; Zeelenberg et al., 1998a) 그리고 과제가 중요할수록 결과에 대한 감정적 반응도 크다는 연구들(Zaichknwsky, 1985; Zeelenberg et al., 1996)에 관심을 갖고 행동유무, 책임유무, 과제중요도 고/저의 조건에서 경험하는 후회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행동 유/무 × 책임 유/무 × 과제중요도 고/저의 삼원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책임 유/무 × 행동 유/무의 이원상호작용 그리고 책임 유/무 × 과제중요도 고/저의 이원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각각에 대한 단순 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책임이 없는 조건에서 비행동으로 인한 후회가 행동으로 인한 후회보다 훨씬 더 낮게 나타났다. 행동을 하지 않은 경우 책임이 있는 조건에서 책임이 없는 조건에 비해 후회를 크게 느끼는 이유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 현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더 좋은 결과를 위해서는 행동을 했어야만 하는 책임이 의사결정 주체에게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책임을 많이 느낄수록 후회도 많이 한다는 연구 결과(Zeelenberg et al., 1998a)와도 일치하는 내용이다. 둘째, 책임이 있는 조건에서는 과제중요도에 따른 후회 차이가 없었지만, 책임이 없는 경우는 과제중요도 고의 조건에서 과제중요도 저의 조건보다 더 큰 후회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과제중요도가 높은 것은 책임이 있는 조건에서나 없는 조건에서 모두 높은 관여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제가 중요하지 않다면 의사결정 주체에게 책임이 없는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서 후회를 경험할 이유가 적다. 마지막으로 주효과를 살펴보면, 행동을 했을 때 하지 않았을 때보다 후회가 더 컸고, 책임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후회가 더 컸으며, 과제는 중요할 때 중요하지 않을 때보다 더 큰 후회를 느꼈다. 실험 2에서는 행동, 비행동에서 경험되는 후회가 개인의 귀인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행동(유/무) × 통제소재(내부/외부)의 이원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두 변수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게 나왔다. 내외통제소재에 대한 주효과도 없었고 다만 행동 유/무에 대한 주효과만 유의미하게 나왔다. 하지만,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는 달리 행동을 했을 때 보다 행동을 하지 않았을 때 더 큰 후회를 느끼고 있었다. 이에 의문을 갖고 실험 3을 진행하였다. 실험 1과 2를 비교 분석한 결과 실험 2의 결과는 과제가 처한 환경의 특성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실험 1의 행동유무 과제는 행동하지 않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상황이었지만, 실험 2의 행동유무 과제는 행동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상황이었다. 본 연구는 행동과 비행동에 따른 후회가 과제 상황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는 연구들(Baron & Ritov, 1994; ; Kahneman & Tversky, 1982; Kinner & Metha, 1989)을 근거로 실험 3을 진행하였다. 실험 3은 행동(유/무)의 일원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실험 3에서는 실험 1의 결과와 동일하게 행동을 했을 때 비행동 때보다 더 큰 후회를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현상은 단순히 행동과 비행동에 따라서 후회가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의사결정 상황에서 더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선택에 따라서 후회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People face various kinds of decision making problems in their daily lives. And during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or by the result of their decision they experience different feelings. Regret is one of the negative feelings which can be felt when decision maker recognizes or imagines that current situation could have been better if one had acted differently. Two conditions are required in order to experience regret: first one has to realize the value difference between chosen and rejected one, and second the decision maker should understand that the result was caused by the decision maker himself. Types of experienced regret can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caused by action and the other by inaction. Since studies have no consent on regret caused by action and inaction, this paper examined difference of regrets caused by action and inaction in various conditions. This paper contains three experiments. First, experiment 1 was based on former researches that stated regret degree caused by action and inaction is different(Baron & Ritov, 1994; Gilovich & Medvec, 1995; Kahneman & Tversky, 1982; Kinner & Metha, 1989), and former researches that proved people feel more regret with the presence of responsibility(Loomes & Sudgen, 1984; Frijda et al., 1989; Zeelenberg et al., 1998a), and researches showing that emotional responses are greater when the task gets more important(Zaichknwsky, 1985; Zeelenberg et al., 1996). Based on these former researches this paper examined how experienced regret differed under diverse conditions through 2(action/inaction) × 2(with/without responsibility) × 2(task importance high/low) three-way ANOVA. In result, two-way interaction of with/without responsibility × action/inaction and another two-way interaction of with/without responsibility × task importance high/low was significant. As two different two-way interactions were significant, simple effect test for each interactions was done. Result shows first, regret caused by in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regret caused by action under none responsible condition. The reason regret caused by action is felt much greater than inaction under none responsible condition is because action breaks the status quo. Normally inaction is the choice to maintain status quo so when action breaks this status quo responsibility for this action is attributed to the decision maker even under none responsible condition thus decision maker feels more regret. In contrast if decision maker didn't do anything and thus could maintain the status quo one does not feel much responsibility under none responsible condition and feels less regret. This phenomenon is in accordance with former research which proved that decision makers feel more regret when they felt or had more responsibility(Zeelenberg et al., 1998a). Second, people felt greater regret in high task importance condition than in low task importance condition only under none responsible condition. On the other hand, under responsible condition participants felt higher level of regret whether the task importance was high or low. This is because if the task importance is higher people tend to involve more to the task and feel more responsibility regardless of the manipulated responsibility condition they are in. In contrast, if the task importance is lower people have fewer reasons to feel regret about the negative results caused by none responsible decision task. Lastly, three main effects were significant in experiment 1. First experienced regret caused by action was higher than regret caused by inaction; second experienced regret was higher under condition with responsibility than condition without responsibility; and last, people felt more regret when the task importance was higher. Experiment 2 were performed to examine if regret caused by action or inaction showed any difference according to individual attribution disposition through 2(action/inaction) × 2 (internal/external attribution) ANOVA, In result, two-way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and only one main effect of action and inaction was significant. But contrary to experiment 1, in experiment 2 regret caused by inaction was higher than the regret caused by action. Comparing experiment 1 and 2, the contradictory results could be explained by different task situation of experiment 1 and 2. The task of action and inaction in experiment 1 was more normal to act rather and to inact, but the task of experiment 2 was vice versa. Thus to explain this contradictory results, experiment 3 was proceeded based on the researches that proved regret caused by action and inaction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ask situation(Baron & Ritov, 1994; Kahneman & Tversky, 1982; Kinner & Metha, 1989). Experiment 3 was tested through action/inaction one-way ANOVA. Result shows when the situation is normal to act, inaction causes more regret than the action while when the situation is normal to inact, action causes more regret than inaction. Result of experiment 3 shows that regret caused by action is not always higher than regret caused by inaction but it rather depends on the decision making situation. If the situation considers action to be normal inaction can cause more regret than action and vice versa.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