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종임-
dc.contributor.author강호원-
dc.creator강호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4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4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431-
dc.description.abstract제 7차 교육과정은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목표를 기본으로 하여 언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언어의 이해 능력뿐만 아니라 표현능력을 기르고 이를 실제로 사용해볼 수 있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어휘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나라 영어 교육에 있어서의 어휘 학습은 읽기 능력 신장의 주변부에 머물러있었던 것이 사실이며, 결과적으로 학교 교실현장에서 어휘 학습방법에 대한 기회나 어휘를 직접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었다. 또한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중ㆍ고등학교에서 학습해야 할 기본 어휘를 선정하고 상세화하여 제시하고 있으나 학습자들에게 구체적으로 어떻게 목표 어휘를 교수해야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어휘 학습을 효과적으로 이끌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몫은 여전히 교사와 학습자 개개인에게 맡겨진 실정이다. 어휘 학습을 읽기 과정의 부차적인 요소로 간주하는 경향은 자연적 접근법에 기반한 것으로서 어휘에 노출되는 기회가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어휘가 축적된다는 점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즉, 학습자는 다독을 통해 목표 어휘에 반복적으로 노출됨으로써 독해의 부산물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목표 언어 입력이 풍부한 상황은 ESL에서나 가능한 것이며 목표 언어 입력이 적은 EFL 상황에서는 사실상 어휘를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우연적으로 습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EFL 상황에서는 학습자들이 적은 입력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어휘 학습방법 및 전략이 필요하다. 최근 우리나라와 같은 제 2외국어를 학습하는 언어 환경에서는 암시적 어휘 학습뿐만 아니라 명시적 어휘 학습이 필요하다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이소영, 2004; 이재근과 정은숙, 2005; 한종임, 2004). 따라서 어휘 학습에 있어서 교사는 단순히 학습자 개개인에게 어휘 학습을 맡길 것이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어휘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사전에 어휘 학습방법 및 활동들을 계획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명시적 어휘 지도의 절차와 구체적인 지도 방법 및 학습 활동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읽기와 관련된 어휘 학습에의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한 가지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도 멀티미디어를 영어교육과정에 통합하려는 시도를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를 통한 영어교육의 다양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 학습의 한 방법으로서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을 제공하여 어휘를 학습하는 방법은 문서와 이미지, 음성정보를 결합하여 학습자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어휘의 형태와 의미의 연결을 촉진하고 학습자의 인지적ㆍ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어휘 학습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어휘 주석의 다양한 제시방법으로 인한 어휘 학습에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머무르고 있으며 최근 인터넷 기반의 어휘 학습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을 사용하는 현실과는 거리가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에 대한 연구 자체가 국내에서 미미한 실정이며, 특히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을 사용한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시도되지 않은 분야이다. 따라서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및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의 제시형태, 그리고 이와 연계된 어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인터넷상의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이 제공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시성을 형태 초점 교수(focus on form)의 이론적 기반하에서 살펴봄으로써,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의 가시성 유무가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을 통하여 암시적으로 어휘를 학습하는 상황을 넘어서 상대적으로 명시성이 강한 웹기반 어휘 후행 학습 활동을 학습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웹기반 어휘 학습 활동이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멀티미디어 어휘 학습과 관련된 효과적인 어휘 후행 활동 방법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또한 하이퍼링크의 가시성 및 웹기반 어휘 후행 학습 활동에 대한 설문 및 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반응과 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10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세 집단을 실험하였다. 세 집단은 각각 비가시적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을 제공받아 지문을 읽고 독해를 통한 어휘 후행 학습을 하는 집단, 가시적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을 제공받아 지문을 읽고 독해를 통한 어휘 후행 학습을 하는 집단,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시적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을 제공받아 지문을 읽고 웹기반 어휘 후행 학습을 하는 집단으로 구성된다. 학습 직후 1차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고, 일주일 후 동일한 어휘 평가를 다시 실시하여 기억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 및 웹기반 어휘 학습 활동에 학습자의 반응 및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웹기반 어휘 후행 학습 집단에서 10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직후 가시적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을 제공받아 어휘를 학습한 집단이 비가시적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을 제공받아 어휘를 학습한 집단에 비해 약간 높은 어휘 학습량을 보였으나 이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의 가시성의 유무가 1주 후의 어휘 기억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의 강조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히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의 가시성, 즉 입력 강화 자료를 통한 어휘 학습은 어휘를 단기적으로 기억하는데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기억하는데 있어서도 큰 효과를 거두기 힘들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웹기반 어휘 후행 활동 유형에 따른 어휘 학습에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웹기반 어휘 후행 학습 활동을 수행한 집단이 독해를 통한 어휘 후행 활동을 수행한 집단에 비해 큰 어휘 학습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웹기반 어휘 후행 활동을 통해 명시적으로 어휘를 학습함으로써 어휘 학습에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어휘 후행 활동의 유형에 따른 1주일 후의 어휘 기억도를 검증했을 때, 웹기반 어휘 후행 학습 집단이 어휘 평가의 절대적 점수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을 뿐만 아니라 학습한 어휘 중에서 장기 기억하는 어휘 기억도 또한 높았다. 따라서 웹기반 어휘 후행 활동을 통한 명시적 어휘 후행 학습은 목표 어휘를 단기적ㆍ장기적으로 기억하는데 큰 효과가 있었다고 하겠다. 셋째, 가시적ㆍ비가시적 하이퍼링크를 제공한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이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을 독해를 쉽게 할 수 있는 도구로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웹기반 어휘 활동에 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웹기반 어휘 후행 활동의 효과에 대해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특히 어휘의 의미를 기억하는데 효과적이었다는 응답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웹기반 어휘 후행 학습에 대한 심층 설문에서 웹기반 어휘 후행 활동이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여 어휘 학습에 도움을 주었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심층 설문 결과에서 본 연구에 사용한 어휘 후행 학습 활동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대한 심적 부담을 낮춰주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어휘를 학습하게 함으로써 어휘의 기억도를 높여주었으며 학습자들은 앞으로의 웹기반 어휘 후행 활동에 대해서도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멀티미디어 언어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좀 더 효과적이고 다양한 어휘 후행 활동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향후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을 활용한 어휘 학습이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효과적인 어휘 학습을 위한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의 사용가능성을 확인하고 앞으로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웹기반 영어 어휘 학습에 있어서 명시적 어휘 학습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앞으로 학습자들에게 명시적 어휘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영어 어휘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의 활발한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적용할 만한 후행 어휘 학습 활동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어휘 학습 활동을 고안할 때 교사 또는 과제 개발자는 어휘 학습 이론 및 연구결과에 기반을 둔 다양하고 창의적인 어휘 학습 활동을 제작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터넷과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지속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어 어휘 학습을 위한 다양한 온라인 프로그램 및 학습 사이트의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교사는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어휘 학습 상황을 이끌어가기 위한 학습자 통제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습 매체 및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 목표에 적합하도록 계획하고 조직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앞으로 멀티미디어 언어 보조 학습에 있어서 다양한 어휘 학습 과제를 개발하고 적용해보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As the Seventh National School Curriculum in Korea has emphasized both fluency and accuracy in language use, we have understood very well how important vocabulary is in English. Although basic vocabularies that students must study in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were presented in the list of the Seventh National School Curriculum, how to teach the vocabularies to students was not mentioned. Therefore, teachers have left vocabulary learning to individual students or just presented word lists to them. Many recent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multimedia dictionaries or glosses in terms of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methods. The studies show that multimedia dictionaries or glosses are helpful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vocabularies and they are useful in promoting the learn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vocabulary learning. One of the multimedia glosses is the hyperlink annotation in web-based reading. Due to the increase of web-based English learning, the effectiveness of hyperlink annotation itself and hyperlink visuality have been studied for several years. However, studies on hyperlink annotation has been limited and sufficient data has not been accumulated yet. In fact, the visuality of hyperlink could be understood as input enhancement from the view of Focus on For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visuality for vocabulary learning. In fac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hyperlink annotation is a kind of implicit language learning.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is as effective as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or is even more effective than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in an EFL situation. Therefore, we can assume that if web-based post vocabulary activities for explicit learning are provided to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will be more successf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visuality of hyperlink annotation and web-based post vocabulary learning on the Korean EFL learner's vocabulary acquisi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2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irstly, group A using unhighlighted hyperlink annotation and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ading. Secondly, group B using highlighted hyperlink annotation and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ading. Finally, group C using highlighted hyperlink annotation and web-based post vocabulary activities. The subjects had their first vocabulary test immediately and a week later a second unexpected vocabulary test was given to examine the retention of the acquired vocabulary. In addition, the attitudes toward the vocabulary learning though hyperlink annotation, web-based post vocabulary activities, and their opinions on the visual hyperlink annotation and web-based post vocabulary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f the visual hyperlink annotation. In addition, its effects on the retention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between the unhighlighted hyperlink annotation group (A) and the highlighted hyperlink annotation group (B). Second, the web-based post vocabulary activities group (C)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ading group (B) on the first vocabulary test. This result provides evidence that input enhancement of hyperlink visuality is not effective enough in EFL. Therefore, more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though web-based vocabulary activities is required to achieve highly effective vocabulary acquisition. Moreover, the two groups demonstrat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vocabulary reten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cated that the attitude toward hyperlink annotations and web-based pos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Students answered that web-based activities were helpful in remembering vocabulary meanings. Also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shows that the response to the visuality of hyperlink annotations and web-based pos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From the interviews, students answered that those activities were more helpful for learning meanings of words than for learning language forms. Especially, the need for various and well-designed web-based vocabulary activities were indicated in the interview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hyperlink annot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not only vocabulary learning but also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English language learning. The visua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but it has positives effects on vocabulary learning. That's why the visuality of hyperlink annotation should be used to enrich vocabulary input. Second, the explicit methods, web-based activities in this study, strongly influenced the learner's improvement in vocabulary acquisition and reten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of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Third, th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nd deep involvement in vocabulary learning are important for effective vocabulary aquisition. For that reason,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interesting and intrinsically motivated activities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Fourth, teachers or task designers should consider the newest vocabulary learning theories and studies to create various and effective vocabulary activities. In term of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other studies on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and tasks should be conducted constant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어휘 습득 = 3 B. 어휘 학습 및 교수 방법 = 4 C. 어휘 주석 = 13 D. 선행연구 = 15 Ⅲ. 연구 방법 = 23 A. 연구문제 = 23 B. 실험대상 = 24 C. 실험자료 = 26 D. 실험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 38 E. 연구의 제한점 = 4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3 A.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의 가시성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43 B. 어휘 후행 학습 활동 유형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50 C. 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의 가시성 및 웹기반 어휘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과 태도 = 59 Ⅴ. 결론 = 75 참고문헌 = 82 부록 = 90 ABSTRACT =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686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하이퍼링크 어휘 주석의 가시성 및 웹기반 어휘 후행 활동이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Visuality of Hyperlink Annotation and Web-based Post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on Korean EFL Learner's L2 Vocabulary Aquisition-
dc.creator.othernameKang, Ho-Won-
dc.format.pagex, 13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