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경림-
dc.contributor.author윤정희-
dc.creator윤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5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4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52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과민성 장 증후군의 유병율 및 스트레스 지각정도, 식습관, 수면의 질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청년기여성 건강의 간호중재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며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내에 3년제 간호학과 여대생 62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기간은 2004년 10월 20일부터 2004년 11월 10일까지였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 10문항, 과민성 장 증후군 사정 도구인 로마기준 II 10문항(Tompson et al.,1999), 스트레스 지각정도 8문항(GARS, revised by 고경봉, 1988), 식습관 18문항(대한 영양사회, 1991), 수면의 질 19문항(PSQI, 1989)을 측정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는 스트레스 지각정도 Cronbach's α값이 .84였고 식습관의 Cronbach's α값은 .78, 수면의 질은 Cronbach's α값이 .75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t-test, ANOVA, scheffe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52세였고 대상자의 629명중 로마기준 II에 의해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분류된 수는 27.98%(176명)였으며 설사형이 13.6%, 변비형이 30.7%, 교대형이 55.7%를 나타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정도는 혼자 사는 대상자(F=4.790 p=.001), 생리통을 제외한 복부 통증 및 복부불쾌감으로 인한 의료기관 방문횟수가 많을수록(F=3.088 p=.043), 약물 복용 경험이 있는 대상자(t=3.088 p=.002)가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았으며 식습관의 차이는 혼자 사는 대상자일수록(F=7.456 p=.000) 한달 용돈이 많을수록(F=7.184 p=.001)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방문은 2회 경험한 대상자가 방문 경험이 없는 대상자에 비해 식습관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F=3.180 p=.024). 수면의 질 차이는 이성과 동거를 하고 있는 대상자(F=5.087 p=.006), 혼자 사는 대상자(F=2.718 p=.029), 복통 및 복부불쾌감으로 의료기관을 자주 방문한 대상자일수록(F=7.017 p=.000), 복통 및 복부불쾌감으로 약물을 복용한 대상자(t=5.174 p=.000)에 있어서 수면의 질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3.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는 여대생이 대조군보다 일, 직업, 학교 등에서의 압박감(t=2.082 p=.038), 대인관계에서의 압박감(t=2.612 p=.009), 총 스트레스 지각정도(t=2.448 p=.015)가 높았으며 식습관의 차이에서는 과민성 장 증후군 여대생이 유지류의 섭취가 정상군보다 낮았다(t=2.299 p=.022). 과민성 장 증후군 여대생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수면의 질(t=4.759 p=.000), 잠들기까지의 시간(t=4.042 p=.000), 수면 시 장애정도(t=2.166 p=.035), 낮 시간 동안의 지장 정도(t=5.224 p=.000) 및 총 수면의 질(t=5.588 p=.000)이 낮았다. 4. 과민성 장 증후군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는 일, 직업, 학교 등에서의 압박감 정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F=4.711 p=.010) 사후검정 결과 집단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일상생활에 변화에 대한 압박감 정도는 설사형이 가장 높았으며(F=5.903 p=.003) 총 스트레스 지각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식습관에서는 식생활과 균형(F=3.166 p=.045), 성인병과 식생활(F=3.321 p=.038), 총 식습관(F=4.610 p=.011)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검정 결과 집단간의 차이는 없었다. 각각의 하부 항목에서는 유지류의 섭취(F=3.632 p=.028), 가공식품(F=3.717 p=.026), 흡연(F=3.167 p=.045)에 대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검정 결과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곡류 섭취에서는 변비형이 1.94점으로 교대형 2.30 점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F=4.707 p=.010). 과민성 장 증후군 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과민성 장 증후군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식습관,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또한 과민성 장 증후군과 관련된 다른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ollege women for prevalence of IBS and perceived stress, dietary habit and sleeping quality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nursing intervention in young women's health intervention. For this descriptive study, 629 student nurses attending colleges in Kyonggi-do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the survey conducted from October 20th to November 10th, 2004. The scale of survey consisted of 10 items about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10 Rome II items about perceived IBS(Thopmson et al.,1999), 8 items about perceived stress level(A global assessment recent stress: GARS revised in Korea version, 1988), 18 items about dietary habit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1991) and 19 items about sleeping quality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1989).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Cronbach's alpha =.84 for perceived stress, .78 for dietary habit, and .75 for sleeping quality.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for real numbers, percentages,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 subjects were aged 20.52 on average, and 27.98% (n=176) of them were classified as IBS affected, 13.6% of them were suffering from diarrhea, and 30.7% of them were suffering from constipation. 55.7% of the subjects showed such symptoms alternately. 2. As a result of surveying their perceived stress level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living alone(F=4.790 p=.001), or those who frequented the medical institutions due to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except for the period pains(F=3.088 p=.043), and those who had taken medicine(t=3.088 p=.002) more perceived a higher level of stress. On the other hand, those students living alone(F=7.456 p=.000) or spending more money tended to have an undesirable dietary habit(F=7.184 p=.001). Those students who had visited the medical institutions twice or more had a more undesirable dietary habit than those who had not(F=3.180 p=.024). Those students living with lovers(F=5.087 p=.006) or alone(F=2.718 p=.029), and those who frequented the medical institutions or had taken medicine more due to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showed a significantly poorer sleeping quality(t=5.714 p=.000). 3. The female students with IBS affected perceived more stress due to work, job, school life(t=2.082 p=.038) and pressure from human relationship (t=2.612 p=.009) than the other students. The former group were taking less oils and fat than the latter group(t=2.299 p=.022). Moreover, the IBS-affected group showed a lower quality of sleeping than the non-IBS group in terms of subjective sleep quality(t=4.759 p=.000), sleep latency(t=4.042 p=.000), sleep disturbance(t=2.116 p=.035), and day time dysfunction by poor sleeping(t=5.224 p=.000). 4. There were found some differences of stress level due to work, job and school life among IBS groups. As a result of post-test, however, such differences were little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ose students suffering from diarrhea felt most pressured for their every-day life(F=5.903 p=.003), but the total stress level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There were found some differences of dietary habit among groups in terms of balanced dietary life(F=3.166 p=.045), adult diseases and dietary life(F=3.321 p=.038) and the general dietary habit(F=4.610 p=.011), but such differences were found little significant as a result of post-test. The differences of oils and fat intake(F=3.632 p=.028), preference of processed foods(F=4.610 p=.011) and smoking(F=3.167 p=.045) among groups were found little significant as a result of post-test. However, those students suffering from constipation scored 1.94 in grain intake,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2.30 scored by the students with various symptoms alternating(F=4.704 p=.010)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leeping quality among IBS groups. It is hoped tha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ill be developed to lower IBS group's stress level and improve their dietary habit and sleeping quality, an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determine other factors related to young women's IBS and thereby, add some data to the database for development of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young women's heal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문헌고찰 = 7 A. 여대생의 건강 = 7 B. 과민성 장 증후군 = 10 C. 과민성장증후군의 관련요인 = 14 1. 과민성 장 증후군과 스트레스 = 14 2. 과민성 장 증후군과 식습관 = 17 3. 과민성 장 증후군과 수면의 질 = 18 Ⅲ. 연구 방법 = 20 A. 연구 설계 = 20 B. 연구대상 = 20 C. 연구도구 = 20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 24 E. 자료분석방법 = 24 F. 연구자의 윤리적인 측면 = 25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6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6 B.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정도, 식습관, 수면의 질 = 29 C. 과민성 장 증후군 유병율 및 유형 = 38 D. 과민성 장 증후군 유무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정도, 식습관, 수면의 질 차이 = 40 E. 과민성 장 증후군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 정도, 식습관, 수면의 질 차이 = 46 F. 연구의 제한점 = 54 Ⅵ. 결론 및 제언 = 55 A. 결론 = 55 B. 제언 = 60 참고문헌 = 61 부록1 연구참여 동의서 = 73 부록2 ◈ 다음은 일반적 특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 = 74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55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여대생의 과민성 장 증후군, 스트레스 지각정도, 식습관 및 수면의 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BS and Stress Perceived by College Women and Their Dietary Habit and Sleeping Quality-
dc.creator.othernameYoun, Jung-Hee-
dc.format.pageⅵ,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