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허은영-
dc.creator허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4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18-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stretchable materials are used more often than ever before in fash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study how to measure tensile property of various stretchable materials and how to apply them into garment patterns of those materials. This study focused only on knitted fabrics among other stretchable material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system by which tensile property of knitted fabrics can be applied.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follows. - The 24 sample fabrics were knitted by 8 different structures of 3 different loop sizes with same wool yarn. - Various measuring methods of tensile property were compared. As a result, knit high sensibility condition of KES-FB system was regarded as valid one for knitted fabrics. - The lowest and highest extensible sample materials were selected as the sample materials for tests of applying the tensile property in pattern alteration based on the tensile property. - Various alteration methods were tried with the tensile property of 12gf/cm into the samples mentioned above. The 4^(th) method was regarded as the most valid. The 4^(th) was fixed proportional alteration based on the reduction amount of bust girth, i.e. front(back) width and shoulder width reduced 60% of the bust girth reduction and neck point reduced 28% of the bust girth reduction. When the reduction was based on the proportion of the actual measurements, the alteration was too severe, so that the armhole curve was changed into very uncomfortable curve. - Tensile property of 12gf/cm were considered as appropriate for applying into pattern alteration in case of over or including the moderate stretch samples (25~35%). But for the stable stretch fabrics, such as milano rib stitch, tensile property of 20gf/cm was regarded more valid.;본 연구는 니트 의류제품의 패턴 제작시 신장특성 적용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패턴 디자인에 적합한 신장 특성 측정 방법을 선정하였으며, 신장 특성 데이터를 패턴 제작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1, 2차의 니트 실험복 제작 및 착용 평가를 통 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용 니트 원단은 소재에 따른 변화 요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wool 100% (2/48's×2)의 동일한 편사(knitting yarn)를 사용하여 편직하였으며, 원단의 조직은 8 가지 조직을 3 가지 밀도로 총 24 가지의 실험 원단을 편직하였다. 1차 실험은 패턴 부위별 신장율 배분 방식을 5 가지 방식(배분 방식 1, 2, 3, 4, 5)으로 실험하였으며, 2차 실험은 각 실험 원단별로 기준 신장율 설정을 위한 적정 하중 부과 실험으로 3 단계 하중[A(20gf/cm), B(12gf/cm), C(7gf/cm)의 신장율을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각 실험은 측정된 신장 특성 데이터를 실험 설계에 따라 패턴 및 실험복을 제작하였으며, 착용 외관과 착용만족도 및 동작 기능성의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신장 특성 측정 조건을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니트 원단의 신장율 범위의 파악에는 KES-FB System의 니트 고감도 조건의 최대하중(maximum load)시의 신장율을 사용하였으며, 패턴 제작에 적용하는 신장율의 경우 동작시의 체표 증가에 따른 여유량을 보상할 수 있도록 최대하중 이하의 하중별 신장율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둘째, 패턴의 부위별 신장율 배분 방식에 관한 실험으로 비율 배분 디자인(배분 방법 1)과 수정 배분 디자인(배분 방법 2, 3, 4, 5)의 5 가지 패턴 방식을 비교 실험한 결과, 외판 및 착용 기능성 평가에서 fabric 1-3(plain stitch)과 fabric 3-1(1×1 rib)의 2 가지 1차 실험 원단 모두에서 가슴둘레의 신장율을 기준으로 가슴둘레:100%, 허리둘레:100%, 엉덩이둘레:100%, 목너비:28%, 어깨너비:60%, 앞품/뒤품: 60%, 위팔둘레:50%, 손목둘레:25%의 신장율 배분 설계 방법 4가 가장 우수 한 평가를 받았다. 셋째, 니트 원단별 기준 신장율 설정을 위한 하중 부과 실험 결과, 니트 고감도 조건(knit high sensitivity condition)에서 코스(course) 방향 신장율이 moderate stretch(25∼35%) 이상의 신장율을 보인 실험 원단(course stretch 33∼84%)의 경우 외관과 착용 만족도 및 동작 기능성 평가 모두에서 코스(course) 방향의 니트 패턴 설계시에 12gf/cm 하중의 신장율을 적용한 하중 B의 실험복 평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moderate stretch(25∼35 %) 이하의 낮은 신장율(21%)을 보인 Fabric 8-1(milano rib stitch)의 경우 하중 A, B, C 의 모든 패턴이 본 연구의 니트용 기준 패턴보다 크게 제작되었으며, 외관 및 착용 만족도 모두에서 20gf/cm하중의 신장율을 적용한 하중 A의 평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장율을 적용한 패턴의 치수가 신체 치수 이상이 되는 범위에서는 니트 패턴의 설계시에 moderate stretch(25∼35%) 범위의 원단보다 큰 20gf/cm하중이 기준 신장율로 적합하며, moderate stretch 이하의 원단인 경우 전체 신장율의 반영 비율을 높이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섯째, 니트 패턴의 웨일(wale) 방향의 설계시에는 웨일 방향의 신장율을 적용하지 않고 니트의 신장 거동에 따라서 코스(course) 방향의 신장시 웨일(wale) 방향으로 늘려주는 본 연구의 패턴 설계 방식이 fabric 5-2(1×l purl)를 제외한 7 종류의 실험 원단에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fabric 5-2(1×1 purl)의 경우 웨일 방향의 형태안정성이 낮은 원단으로 웨일 방향 신장이나 처짐성을 제거할 수 있는 추가적인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다양한 신장 특성을 보이는 니트 의류제품의 패턴 설계시에 적절한 측정 조건의 필요성과 기준 하중의 조건이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와 같이 객관적인 물성 데이터의 적용은 지금까지의 경험에 의한 패턴 제작 방식을 정량적인 방식으로 체계화시키는데 기초가 될 것이며, 특히 소재적인 특징이 다양한 니트 의류의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ⅹⅰ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니트의 조직 및 특성 = 5 B. 니트 의류제품의 생산 = 10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1 A. 실험용 니트원단 제작 = 23 B. 실험용 니트원단의 신장 특성 측정 및 분석 = 28 C. 피험자 선정 및 계측 = 33 D. 실험복 제작 = 35 E. 실험복 착용 평가 및 분석 = 49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52 A. 실험용 니트 원단의 신장 특성 = 52 B. 패턴 부위별 신장율 배분 = 67 C. 니트 패턴의 기준 신장율 설계 = 108 Ⅴ. 결론 및 제언 = 187 A. 결론 = 187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189 참고문헌 = 190 Abstract = 1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0858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니트-
dc.subject의류제품-
dc.subject패턴 제작-
dc.subject신장 특성-
dc.title니트 의류제품의 패턴 제작시 신장 특성 적용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nsile Property of Knitted Fabrics and their Application into Knitted Garment Patterns-
dc.format.pagexii, 19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